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8/18 13:22:22
Name Leeka
Subject [LOL] 시즌3 -> 시즌4 써킷포인트 변경. 그 나비효과는?
1. 서두

시즌3에서.. 나진 소드가 전설의 16강 2연 광탈 -> NLB 우승으로
롤드컵 한국 1번 직행 티켓을 잡으면서 생긴..
여러 이슈들로 인해. 시즌 3에서 시즌4로 가면서 점수 방식이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롤챔스 준우승 200 -> 225
NLB 우승(롤챔 기준 5위) 100 -> 75
NLB 준우승(롤챔 기준 6위) 70 -> 60


2. 현재 팀 별 점수

1위 - 삼성 블루 : 675
2위 - 삼성 화이트 / SKT K : 525
4위 - KT A :  440
5위 - 나진 쉴드 : 375
6위 - KT B : 200
7위 - CJ 블레이즈 : 195


3. 시즌3 점수로 바꿔본 팀 별 점수

1위 - 삼성 블루 : 675
2위 - SKT K : 550
3위 - 삼성 화이트 : 500
4위 - KT A : 440
5위 - 나진 쉴드 : 350
6위 - CJ 블레이즈 : 220
7위 - KT B : 200


4. 결과

결과적으로 시즌3과 시즌4의 점수 기준이 변하면서 생긴 나비효과는
SKT K 2위 / 삼성 화이트 3위 ->  두팀 공동 2위로 직행 선발전
CJ 블레이즈 6위로 선발전 / KT B 7위로 탈락 -> KT B 6위로 선발전 / CJ 블레이즈 7위로 탈락


2개의 나비효과가 생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삼성, KT는 이득.. SKT, CJ는 손해를 봤다고 하면 될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접니다
14/08/18 13:29
수정 아이콘
기회 받은만큼 잘하자 크트비
어쩌다 보니 작년도 그렇고 나그네선수 소속팀은 포인트 아슬아슬 잘 받는거 같아요
설마 크트비가 롤드컵진출?
14/08/18 13:32
수정 아이콘
그래도 SKT1 K는 2위결정전도 있고 롤드컵 진출전에서도 높은 위치에서 경기를 하지만 CJ블레이즈는 서킷포인트 변경으로 제일 손해를 본 팀이네요
호랑이기운
14/08/18 13:42
수정 아이콘
서킷포인트 변경이 참 잘 한것 같네요
스크 입장에선 시즌3 소드같이 8강 연탈에도 불구하고 직행 수혜팀이 될 뻔했고
삼성 입장에서는 두번이나 스크를 8강 탈락을 시켜놓고도 밀릴 뻔했는데
둘이서 선발전으로 겨루게 되었으니요 흐흐 암튼 27일에 있을 선발전이 기대됩니다.
단지날드
14/08/18 13:47
수정 아이콘
sk-k도 소드처럼 nlb2회 우승했으면 직행이었죠 크크크 확실히 서킷 상위권 팀들에겐 nlb에서 주는 약간의 서킷포인트증가도 참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시즌 3소드 한번은 16강 광탈...ㅠ
호랑이기운
14/08/18 13:50
수정 아이콘
그렇죠 마찬가지로 블레이즈도 nlb에서 더 분발했다면 선발전이고요
단지날드
14/08/18 13:52
수정 아이콘
플레임이 페북에 왜 그랬을까 하고 글쓸만하죠 현재의 블레이즈가 선발전을 뚫을수있을까엔 물음표가 붙지만 그 가능성조차도 아에 없애버린 상황이니 진짜 cj양팀이 선발전에 한팀도 없는게 좀 낯설긴합니다. 작년에 그렇게 폼 떨어졌다고 욕먹어도 롤챔스는 8강아니면 4강에 선발전엔 두팀다 나갔었는데 말이죠
랜슬롯
14/08/19 05:39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그 욕먹은 부분들이 더큰 약점으로 들어나서 이렇게 4강 8강도 못가고 떨어진건지모르죠. 실제로 눈에 보이는 뻔한 약점을 지닌 팀은 이제 8강권에 들기 쉽지않죠. 워낙 팀들의 실력들이 올라가고 팀간의 격차도 조금씩 좁혀지고 있는 상황이기때문에
저 신경쓰여요
14/08/18 15:33
수정 아이콘
누가 이득을 보고 손해를 봤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를 잘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이해득실이랑 관계 없이 말하자면, 이 변경은 참 잘한 일인 것 같아요. NLB를 폄하하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현실적으로 구조 자체가 바뀌지 않는 이상 NLB는 결국 롤챔스 8강 탈락 팀들의 장인 것인데 점수가 너무 높기는 했었던 것 같거든요. 아련히 떠오르는 잭패의 멘트가...!? 크크
타임머신
14/08/18 19:08
수정 아이콘
NLB를 너프시킨 소드의 위엄... 옛 팬으로서 눈물이 흐릅니다. 게다가 깨알같이 손해는 CJ와 SK가...
14/08/19 00:09
수정 아이콘
경기는 더 많이 시키는데 75점은 또 너무 적은 느낌이.. 85~90점 주면 좋겠어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189 [LOL] 팀 게임에서 개인의 기량 평가란... [17] 레몬커피11318 14/01/09 11318 7
53188 [LOL] 롤챔스 4강 SKT T1 K vs KT Bullets 리뷰 #2 [23] 노틸러스13667 14/01/09 13667 13
53186 [LOL] SKT K에게 1경기가 중요한 이유. [62] Leeka10539 14/01/09 10539 0
53185 [하스스톤] 전설의 유저가 드리는 소소한 팁 [16] JayK11931 14/01/09 11931 0
53184 [LOL] 롤챔스 4강 SKT T1 K vs KT Bullets 리뷰 #1 [33] 노틸러스18014 14/01/09 18014 22
53183 [LOL] SKT K VS KT B. 선수 별 개인 평가. [39] Leeka10898 14/01/09 10898 1
53182 [LOL] 조은나래씨 인터뷰 어떻게 보시나요? [173] HBKiD13422 14/01/08 13422 6
53181 [LOL] SK의 독주. 과연 누가 막을것인가? [94] 헤븐리12130 14/01/08 12130 1
53180 [기타] 6년 전과 다른게 없는 e-sports 관람 시스템 [20] 무관의제왕9389 14/01/08 9389 1
53179 [LOL] SKT K. 롤챔스 최초 15연승 달성. [91] Leeka10584 14/01/08 10584 1
53178 [기타] [스타1] PGR21 Broodwar Starleague 결승결과 & 후기 [6] 옆집백수총각8276 14/01/08 8276 3
53177 [LOL] 초보를 가르치는데 다이아가 필요할까? (부제 : 롤하는 그녀들) [58] 애매호모9925 14/01/08 9925 1
53176 [스타2] "그냥 써보는" 프로리그 직관기 [26] 노틸러스10030 14/01/08 10030 11
53175 [기타] 차세대 콘솔 전쟁. 1차 지표가 공개되었습니다. [29] Leeka9867 14/01/08 9867 1
53174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4강 A조 프리뷰 [188] 노틸러스12699 14/01/08 12699 6
53173 [스타2] 비상하라 스타크레프트2 그리고 프로리그 [20] 풀잎녹차9413 14/01/08 9413 14
53172 [스타2]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4시즌 1R 2주차 Review [23] 삼성전자홧팅7867 14/01/07 7867 5
53171 [LOL] 남친이 저보다 판을 잘읽네요 크크크크 [49] 헤더9855 14/01/07 9855 1
53170 [LOL] 탑라인 이야기 [52] 레몬커피9532 14/01/07 9532 2
53169 [LOL] 블레이즈가 NLB 결승을 확정지었습니다. [36] Leeka9509 14/01/07 9509 0
53168 [LOL] 한국 서버 최고의 아마추어 서포터 "쿤냐앙" [33] JoyLuck16221 14/01/07 16221 2
53167 [LOL] 3번째 격돌. SKT K VS KT B 매치 프리뷰. [34] Leeka8768 14/01/07 8768 1
53166 [도타2] Best Plays of the Week (12월 4주차 결승), 그리고 시즌3 [7] 염력의세계8394 14/01/07 839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