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07 23:30:10
Name 삼성전자홧팅
File #1 프로리그.xlsx (43.1 KB), Download : 63
Subject [스타2]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4시즌 1R 2주차 Review
Best Team : 진에어 그린윙스
1주차에서 김유진 선수가 부진하며.. 첫 패를 거두며 좋지 않은 출발을 보였지만.. 2주차에서 조성주 선수의 활약에 힘입어 2연승을 거두며.. 상위권에 오릅니다.. 그리고. 허리 라인인 이병렬 선수와 김도욱 선수와 하재상 선수가 승리를 거두며.. 허리라인 역시 튼실한 모습을 보이며.. 점점 강팀의 면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제 김유진 선수만 부활하면.. SKT T1 팀을 막을 팀으로 거듭나게 될 것 같습니다.

Worst Team : CJ Entus
이유: 아 프로리그 개막전에는 모든 이들이 강팀이라고 예상을 했지만. 지금까지 3전 전패라는 아쉬운 모습을 보인 CJ 이제부터 단 한경기라도 지게되면 1라운드 포스트시즌에 못 올라가게 되는데.. 그리고 신동원 선수가 장기전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전패를 거두고. 그리고 프로토스의 양에이스 김정훈 선수와 김준호 선수가 동시에 승리를 거두지 못하면서.. 부진하고.. 이 세선수가 어서 부활을 보이지 않으면.. 이러다 전패할수도 있습니다.

Best Player : 한지원
이유: 저번 1주차에서 아쉽게 MVP를 놓친 한지원 선수 정윤종 선수와의 대결에서. 왜 자신한테 MVP를 안 줬나며.. 자신의 극강의 경기력을 선보이며.. 최강 프로토스인 정윤종 선수를 압살을 하며.. 승리를 거두는 모습을 선보이며.. 4전 전승으로 다승 1위에 오르는 한지원 선수 입니다.. 이번에는 Weekly MVP에 오르길 바랍니다.. 그리고 비록 팀은 져서 팀이 1위에 오르는 데는 실패를 거뒀지만.. 이렇게 계속 승리를 거두면 신인왕과 다승왕을 동시에 차지하는 조성호 선수에 이어 2번째 선수가 될 것 같네요.

Worst Player : 신동원
아 초중반에는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이기나 싶지만.. 후반에 좋지 못한 경기력을 선보이며 3연패를 거두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언제즘이면.. 후반의 경기력마저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첫 승을 거두는 모습을 보여줄지..

Best Match : 장현우 대 황규석
두 선수다 좋은 경기력을 보이며.. 역전에 재역전을 거듭하는 좋은 경기를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중계진이 이 경기를 극찬을 했죠...
그리고 황규석 선수는 드랍쉽에 유령을 태워서 내려서 emp를 쏘는 모습을 선보이는 장면이. 제일 이 경기의 백미였죠..

Worst Match : 김도욱 대 주성욱
두 선수 다 좋지 않은 경기력을 선보이며.. 조공 경기라고 OME 매치임을 보여줬는데.. 제발 담 경기부터는 두선수 모두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미움의제국
14/01/07 23:34
수정 아이콘
신동원 무감타군 운영은 worst of worst였네요.
미카즈키요조라
14/01/07 23:41
수정 아이콘
신동원은 현재까지 졌던 경기들이 죄다 후반까지 가서 역전패에 가깝게 패배한지라 트라우마가 되는게 아닐까 우려스럽습니다.
하후돈
14/01/07 23:41
수정 아이콘
와 이번에도 엑셀로 만들어주셨네요! 매번 수고가 많으십니다.
초반 10여분만 보면 신동원 선수가 거의 저그 TOP3안에 들어간다고 생각하는데 왜 후반전만 가면..ㅠㅠ
CJ의 추락이 정말 예기치 못한 결과네요. 조금더 분발해주기를 바라고..
음 이형섭 전 Fou감독님이 xp에 남긴 글을 보면 Fou선수들(고병재, 이동녕, 남기웅, 안상원, 이인수 등) 의 이적이 거의 마무리가 되었다고 하는데
적어도 이선수들중 한명정도는 프라임에 가야 팀간 전략차가 조금이나마 좁혀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민트홀릭
14/01/07 23:43
수정 아이콘
우선 T1의 대항마로는 진에어 또는 케티(통신사 라이벌전이라서 각성할지도?로 생각하고요

베스트 플레이어는 역시 한지원이죠.
MVP 내놔 하는 경기력이 어휴;;

워스트 플레이어는 신동원 선수라는데 동의합니다.
분명 중반까지는 잘하는데..
후반 집중력에서 밀리는게 경험부족이라서 그런걸까요;
오늘 김대엽선수도 신노열 경기에서도 후반 집중력 부족이 보이더군요..

베스트 경기는 본문에도 나와있듯이
어제 난타전이 이어진 프로스트 대혈투죠..
서로 등을 지고 건곤일척의 싸움을 이어가는 그때 부료선 이엠피가 대박이었습니다.
그래서 프라임 경기는 한경기밖에 경기장에서 못본 것은 ㅠㅠ

매주 리뷰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애벌레의꿈
14/01/07 23:45
수정 아이콘
테란주간이었던 2주차였던 것 같네요. 정말 재밌었습니다.
사심 좀 가득 담아 베스트 팀은 지금까지 전승인 SK T1에 주고 싶고,베스트 플레이어는 조성주 선수나 전태양 선수 주고 싶습니다. 둘다 자신감과 플레이가 진짜 우와 소리 나오게 하더군요( 이영호, 정윤종,원이삭 김민철 등등의 선수들은 죄송하지만 원래 잘하려니...지면 이상하려니 생각합니다)
여담이지만 DK가 밸런스 패치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만큼 지금 프로리그 양상이 너무 재밌네요
카페르나
14/01/07 23:45
수정 아이콘
한지원 선수는 아마 WCS 아메리카기 때문에 중간에 사라질수도 있어서 다승왕이나 신인왕은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아마 신인왕은 조성주 선수가 될 것 같고, 다승왕은 경쟁이 제법 치열할 것 같아요.

신동원 선수는 신노열 선수와 퓨전을 해보는 것이...... 정말 초중반 잘해놓고 후반가면 다양한 패턴으로 경기를 지니까 말이죠. 예전 GSL에서도 최근 IEM에서도 토스에게 져서 탈락했는데, 신동원 선수가 분명 토스전을 잘하는 건 맞는데 정작 결과는 계속 패배로 쌓이니까 본인도 부담이 있을 것 같네요.
낭만양양
14/01/07 23:52
수정 아이콘
아.. 한지원 선수가 중간에 빠져버리면 IM은 누굴 데리고 겜해야 할지.. 송현덕 선수도 중간에 빠질것이고.. 아직 경기는 없지만 정종현. 임재덕 선수도 빠질것이고..
헤나투
14/01/07 23:51
수정 아이콘
전 다른것보다 테란들이 선전해줘서 리그가 재밌어진거 같아요. 첫주차에 토스가 너무 많이 나와서 우울했거든요.
이제 선수들 경기력도 많이 올라와서 치열한 순위싸움이 될거 같네요.

라고는 썼지만 누가 SK를 막을수 있을지...
콩먹는군락
14/01/07 23:57
수정 아이콘
테란이 선전을 넘어 리그를 씹어먹고 있죠..
하후돈
14/01/07 23:54
수정 아이콘
하나만 덧붙이자면 IM이 리퀴드랑 연합팀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리퀴드의 송현덕 선수만 프로리그에 나온다는 것이 너무 아쉽습니다 ㅜㅜ
윤영서 선수는 개인리그에 집중하겠다고는 했지만, 올 한해 WCS가 고작 3번밖에 없어서 일정이 그리 빡센편도 아니고, 드림핵, IEM 말고 다른 해외 프리미어급 대회들이 많은 것도 아니고..
다음라운드부터라도 IM팀으로 합류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윤영서 선수의 후반 토스전 운영을 너무나 보고 싶기에..
파란만장
14/01/08 00:10
수정 아이콘
그렇죠 이신형 선수는 어쩔수 없다 쳐도 윤영서-조성주-전태양-이영호 테란 대전 한번 크크
낭만양양
14/01/07 23:55
수정 아이콘
전 사심 담아서 Best Match 는 '한지원 vs 정윤종' 경기요. 한지원 선수의 정말 깔끔한 운영도 돋보였지만 그 상황에서도 자기가 어떻게하면 이길지 계속해서 두드리는 정윤종 선수도 인상적이였습니다.

2주차까지 느낀건 SKT가 강하네요. 막을팀이 IM.진에어.KT 정도로 보고 있었는데 IM은 일단 실패 진에어.KT가 막을수 있을지도 기대됩니다. 오늘 경기를 봐서는 삼성도 충분히 해볼만할 것 같아요. 그나마 다행이라는건.. 프로토스가 성적이 안좋으니.. 프로토스 많은 SKT는 이제 힘들다.. 라고 우겨봅니다. 흐흐
콩먹는군락
14/01/07 23:58
수정 아이콘
사실 SKT가 꼭 테란이 약한팀은 아니라는게 함정이죠. 저그도 2명이나 있고..
파란만장
14/01/08 00:01
수정 아이콘
편파 불판이나 올리시는 분이 후기라고 올리고 참.. 어처구니가 없네요
추천드렸습니다.
그나저나 신노열과 신동원은 같은 저그에 같은 신씨인데 왜..?!
14/01/08 00:11
수정 아이콘
한지원 선수는 작년 후반기에 쭉 래더 그랜드마스터 최상위권을 달리던 유저여서 터지나 기대했는데, 진짜 터졌네요. IM팀 입장에서는 엄청난 보물입니다. 주 전력들 많이 떠나서 한지원 선수 없었으면 정말 PRIME과 비슷한 성적 거둘 뻔 했어요.
하후돈
14/01/08 00:1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저렇게 프로토스가 약해보여도..실제로 레더에서 만나면 그냥 학살당합니다 ㅜㅜ
토스 상대로 저그들이 저렇게 운영하기가 프로에서도 상위권 아니면 쉽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컨트롤 할게 너무 많아요..ㅠ
군단숙주, 살모사, 감염충 동시 컨트롤 난이도가 거의 최상급인데다가 무리군주는 속도가 느려서 조금이라도 놓치면 그냥 점멸 추적자에게 전멸당하고 말죠.
그러니 군락 유닛을 유려하게 운영하는 김민철, 신노열 같은 선수들은 정말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봤을 땐 인간이 아니에요..크크
저그인
14/01/08 00:17
수정 아이콘
이번주 weekly mvp는 정말 혼돈이네요. 이영호, 한지원, 조성주 선수 중 누가 받을 지 궁금해집니다.
worst 팀으로 선정된 cj가 이렇게 부진할 줄은 정말 예상 못 했습니다. 에이스라고 부를 만한 선수가 지금 없네요...
특히 신동원 선수가 작년에는 토스를 정말 잘 잡았는데, 올해는 자원만 먹방하고 후반 교전에서 다 말아먹었네요. 아직도 초중반 운영은 거의 최정상급이던데요...

이번주 토스의 멸망, 테란의 전승이 프로토스리그라고 불리는 프로리그의 다음 주 엔트리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 기대됩니다~.흐흐.
14/01/08 00:22
수정 아이콘
전태양도 있습니다.
낭만드랍쉽
14/01/08 00:27
수정 아이콘
김기현 선수.
직관했었는데 정말 잘만든 SF대작 영화 관람한 기분이었습니다.

정말 직관 꿀 잼! 프로리그 화이팅!
14/01/08 00:28
수정 아이콘
저도 얼른 직관가서 스크린 체험해보고싶네요
가루맨
14/01/08 01:47
수정 아이콘
베스트 매치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는 사실 명경기가 많이 나와서 딱히 한 경기를 못 고르겠네요. ^^;
14/01/08 11:1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best match는 신노열 선수의 후반운영 경기입니다..
마XX의 전성기를 떠올릴 정도의 완벽한 판세 장악능력이 놀라웠습니다.
로로좌가 정말 눈호강시켜줘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불확정성
14/01/08 11:45
수정 아이콘
CJ 엔투스는 정말 의외입니다. 박용운 감독에 김준호 선수와 신동원, 정우용 선수가 IEM 우승, 4강, 진출 등 좋은 기량을 보였고 갓습생 김정훈 선수의 합류로 SK 다음이지 않을까 했는데 하위권이라뇨.

한지원 선수와 조성주 선수의 신인왕 경쟁도 기대되고 다승왕 경쟁도 재미나고. 프로리그 재밌습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185 [하스스톤] 전설의 유저가 드리는 소소한 팁 [16] JayK10446 14/01/09 10446 0
53184 [LOL] 롤챔스 4강 SKT T1 K vs KT Bullets 리뷰 #1 [33] 노틸러스16222 14/01/09 16222 22
53183 [LOL] SKT K VS KT B. 선수 별 개인 평가. [39] Leeka9290 14/01/09 9290 1
53182 [LOL] 조은나래씨 인터뷰 어떻게 보시나요? [173] HBKiD11877 14/01/08 11877 6
53181 [LOL] SK의 독주. 과연 누가 막을것인가? [94] 헤븐리10183 14/01/08 10183 1
53180 [기타] 6년 전과 다른게 없는 e-sports 관람 시스템 [20] 무관의제왕7766 14/01/08 7766 1
53179 [LOL] SKT K. 롤챔스 최초 15연승 달성. [91] Leeka9113 14/01/08 9113 1
53178 [기타] [스타1] PGR21 Broodwar Starleague 결승결과 & 후기 [6] 옆집백수총각6874 14/01/08 6874 3
53177 [LOL] 초보를 가르치는데 다이아가 필요할까? (부제 : 롤하는 그녀들) [58] 애매호모8569 14/01/08 8569 1
53176 [스타2] "그냥 써보는" 프로리그 직관기 [26] 노틸러스8427 14/01/08 8427 11
53175 [기타] 차세대 콘솔 전쟁. 1차 지표가 공개되었습니다. [29] Leeka7728 14/01/08 7728 1
53174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4강 A조 프리뷰 [188] 노틸러스10923 14/01/08 10923 6
53173 [스타2] 비상하라 스타크레프트2 그리고 프로리그 [20] 풀잎녹차7805 14/01/08 7805 14
53172 [스타2]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4시즌 1R 2주차 Review [23] 삼성전자홧팅6373 14/01/07 6373 5
53171 [LOL] 남친이 저보다 판을 잘읽네요 크크크크 [49] 헤더8694 14/01/07 8694 1
53170 [LOL] 탑라인 이야기 [52] 레몬커피8201 14/01/07 8201 2
53169 [LOL] 블레이즈가 NLB 결승을 확정지었습니다. [36] Leeka7972 14/01/07 7972 0
53168 [LOL] 한국 서버 최고의 아마추어 서포터 "쿤냐앙" [33] JoyLuck14607 14/01/07 14607 2
53167 [LOL] 3번째 격돌. SKT K VS KT B 매치 프리뷰. [34] Leeka7094 14/01/07 7094 1
53166 [도타2] Best Plays of the Week (12월 4주차 결승), 그리고 시즌3 [7] 염력의세계6971 14/01/07 6971 0
53165 [기타] 나의 FM 입문기 [30] 박동현12503 14/01/07 12503 3
53164 [기타] [문명5] 구입하고 3일이 지났습니다. [72] 삭제됨11689 14/01/06 11689 7
53163 [LOL] 고수어워드 - 롤 시즌3 어워드 수상. [20] Leeka11341 14/01/06 1134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