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10 17:38:19
Name Rein_11
Subject [스타2] 2014 1R 3주차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 개인적인 관심 매치
먼저 게임뉴스 게시판의 보도자료님의 글에서 이번주 match업을 가져옵니다. 
개인적으로 관심가는 매치들을 한번 끄적끄적 적어봅니다. 저퀴님, 하후돈님, 노틸러스 님에 비하면 많이 부족할 거 같습니다..
그냥 어떤 경기들이 있는 주의 환기도 하시고, 가볍게  읽어 주세요...^^

https://pgr21.com/pb/pb.php?id=gamenews&no=6754


[제일 관심가는 팀별 매치]

이번 주 제일 관심이 가는 매치는 전통의 통신사 라이벌 KT대 SKT가 될거 같습니다.
SK의 4대장 - 어윤수, 원이삭, 김민철, 정윤종 , KT의 3대장 - 이영호, 전태양, 김대엽, 여기에 김명식 선수가 출전하는군요.. 

개인적으로 보기에 이번 매치는 SKT가 확실히 유리해 보이는 매치업이라 보입니다.
지금까지 꾸준히 원이삭 선수가 이영호 선수에게는 강했고, 이영호 선수는 장기인 저그와의 매치전이 아니라는 점이 좀 KT에게는 좀 아쉬울거 같습니다.
이영호 선수가 어윤수를 만나는 것이 최선이었고, 아니라면 적어도 김민철을 만나는 것이 더 나았을거 같습니다.
SKT 입장에서는 프저전의 강자 어윤수에게 프로토스를 붙였고, 팀의 에이스인 철벽에게 요즘 hot player인 전태양을 붙인게 꽤나 유리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프프전 작대기싸움의 황제인 정윤종에게 김대엽을 붙인것 또한 SKT에게 상당히 유리해 보입니다.

1경기를 SKT가 이기면 3:0이 나올 가능성이 크고. 1경기를 KT가 이기면 4경기가 분수령이 될거 같습니다.
최근 프로리그에서는 폼이 않좋긴 하지만, 엊그제 CODE A를 뚫은 김대엽의 단단함도 무시하기 힘들어서 이 경기는 지켜봐야 겠습니다.
4경기에서 SK가 이기면 3:1, 4경기에서 KT가 이기면 에결에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벨시르잔재의 경우 프로토스가 좋은 맵인데, 여기서 SK는 2장의 카드가 있는 반면에 KT는 김대엽 1장, 더군다나 SK는 원이삭, 정윤종...
이 맵에서 1R에서 갓습생 김정훈에게 패했던 이영호를 내기 쉽지 않은 거 같아서 아무래도 전략적인 카드가 많은  SKT의 유리함이 점쳐집니다..
뭐 KT로써는 언제나처럼 이영호라면... 혹은 김대엽의 단단함을 기대해 봅니다.

개인적인 예상은 3:0 혹은 3:1로 SKT의 승리를 예상합니다.


[관심 가는 개별 매치] 

1.
[저그 신동원 vs 플토 송현덕 - 프로스트 ]
[플토 김도우 vs 저그 신동원 - 세종 과학 기지]

신동원 선수가 연속으로 프로토스들을 만나는데 상대 선수들이 만만치 않은 선수들입니다.
스2 초기부터 두각을 나타냈던 우승자 출신의 송현덕 선수와 종족 변경 후 제 2의 인생을 살고 있는 김도우 선수..
지난주에 후반운영의 미숙함을 보이며 연속으로 패배를 맛본 신동원선수가 과연 명예 회복을 할지 주목됩니다.
신동원 선수가 우승자 출신의 클래스 있는 선수라는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인데 뭔가 멘탈적으로 후반 운영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로로의 경기를 잘 참고하면 좋은 성과가 있지 않을가 싶습니다.

2.
[저그 김정우 vs 저그 한지원 - 세종 과학 기지]
[저그 김민철 vs 저그 김정우 - 아웃 복서]

김정우 선수는 저저전만 2번을 연속하는데 최근 대세 저그 한지원과 저그 원탑 김민철을 만납니다.
김정우 선수는 팀의 에이스로써 CJ의 하락세를 막아야할 막중한 임무가 있으니 부담감이 매우 클거 같습니다.
한창 물이 올라있는 한지원 선수는 우승자 출신의 강자 김정우 선수까지 잡아낼지 궁금합니다.
이 경기 한지원 선수가 이기면 이번주 weekly 한번 줘야죠..

철벽 김민철과 매 김정우는 사실 스1 때 부터 둘다 엄청나게 주목받던 신인이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양대 저그 명가인 대인배-김민철-김명운과, 마XX-김정우-신동원이 팀으로 엮여 있어서 관심이 많았었습니다.
진정한 저그 명가는 어느 쪽 일지 항상 궁금했었는데.... (에이 이 마XX만 아니었어도 진짜....에휴...)
스1 때, 김정우는 격납고에서 이영호를 역스윕하면서 우승을 경험하며 차세대 저그로 인정을 받았지만 김민철은 김정우보다 커리어는 낮은 상황이었습니다.
스2에 와서 이제는 상황이 바뀌어 김민철이 우승을 경험하고 명실상부한 원탑저그로 성장한 반면, 김정우는 그 포텐셜을 터뜨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경기는 저저전임에도 예전 신노열 vs 강동현의 GSL 결승만큼 기대가 많이 되는군요..

3. 
[테란 조성주 vs 저그 박수호 - 프로스트]

난전의 대가들이 만났습니다.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테란과 저그의 대결입니다.
둘다 정신없이 피지컬 위주의 경기를 하기로 유명한데...죄근 엄청난 상승세인 조성주를 박수호 선수가 잡아낼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지난 GSL에서 이신형을 잡아내며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줬떤 박수호 선수의 경기력이 이번 경기에도 나올 수 있을지..
아니면 아쉽게도 조성주의 이해할 수 없는 컨트롤에 허무하게 굴복당할지 궁금합니다.
객관적으로 조성주 선수가 좀 유리해 보이긴 하는데..경기가 빨리 끝난다면...조성주의 승,
장기전으로 간다면 박수호 선수에게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4.
[플토 장현우 vs 저그 신노열 - 벨시르 잔재]

로로갓의 프로토스전입니다.
이전 경기에서 군락운영의 정수를 보여주면서 테란이고 프로토스고간에 후반 운영으로 압살하던 로로가 프로토스 강자 장현우 선수를 만납니다.
우선 과연 이번에도 살모사를 볼 수 있을지 정말 궁급합니다.
장현우 선수는 흔한 말로 뽕도 잘 뽑는 스타일이고, 후반운영도 나쁘지 않습니다.
과연 장현우 선수는 초반에 승부를 걸지, 아니면 후반 운영으로 넘어가서 보란듯이 로로갓을 넘을 수 있을지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될 거 같습니다.

5.
[플토 원이삭 vs 테란 이영호 - 우주 정거장]
[테란 이영호 vs 플토 송현덕 - 벨시르 잔재]

이영호 선수가 연속으로 프로토스 강자 2명을 만납니다.
최근에 인터뷰에서 프로토스 전을 꾸준히 연습했다고 하던데...그 특훈의 효과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언제나처럼 이영호라면....이라는 전율을 느끼게 해 줄 수 있을지 기대도 되고 걱정도 되고 뭐 그렇습니다..^^

6.
[저그 김한샘 vs 플토 송병구 - 세종 과학 기지]

마지막으로 송병구 선수의 매치입니다.
두말 필요 없습니다. 그냥 최고의 관심매치입니다. 아마 다른 분들에게도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엊그제 송병구 선수가 지옥의 CODE A를 뚫었습니다. 이걸 발판삼아 송병구 선수가 12연패의 늪에서 좀 헤어나올 수 있을지..
아니면 신인 김한샘선수의 패기에 눌려 또 어이없이 13연패까지 가게 될지...
어느 쪽이 이기건 당연히 노력의 결과고 축하드려야겠지만...제 .마음 한구석에서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확정성
14/01/10 17:43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와 원이삭 선수의 전적이 4승 6패로 나오는데, 이번에 승리해서 동률부터 만듭시다.
14/01/10 17:44
수정 아이콘
이 둘의 기싸움이 장난아니죠....정말 재미있을거 같습니다..^^
14/01/10 17:44
수정 아이콘
가져오는 건 상관 없지만, 제 글에서 어떤 걸 가져오신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엔트리는 보도 자료 아니었나요?
14/01/10 17:47
수정 아이콘
헉 보도자료 님의 글이었군요...^^
당연히 저퀴님일거라고 생각했네요...죄송합니다..흐흐..
수정했습니다.
kimbilly
14/01/10 18:30
수정 아이콘
옆 게시판에 올라온 게시물을 그대로 퍼오시는 것은 적절치 않아보입니다.
해당 게시물 링크로 대체 처리합니다.
프로솔로
14/01/10 17:47
수정 아이콘
요새도 통신사매치하면 직관가기 힘들까요?
14/01/10 17:48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저는 요즘 안가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지방이라..
가보신 분이 이야기 해주실거 같습니다..^^
14/01/10 18:03
수정 아이콘
힘들지 않을 겁니다.
율곡이이
14/01/10 17:49
수정 아이콘
티원은 어떤 팀이랑 붙어도 에결까지는 가서 질거 같은 강해보이는 엔트리라.... 에결로 끌고 가는거 아니면 kt 가 질거 같네요
14/01/10 17:52
수정 아이콘
그렇죠...요즘 T1은 정말 무슨 예전 레알, 요즘 뮌헨 보는거 같습니다..
어지간 하면 에결까지만 끌어도 성공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미움의제국
14/01/10 18:22
수정 아이콘
이영호 원이삭!!
14/01/10 18:35
수정 아이콘
KT 갓명식이 나오네요. 저그전으로 iem 한국예선 결승간걸로 기억하네요.
14/01/10 21:44
수정 아이콘
이영호vs원이삭/송현덕
조성주vs박수호
정말 기대되네요
가루맨
14/01/10 22:04
수정 아이콘
Rein_11님께서 보편적인 관점에서 잘 분석해 주셨네요.
SKT 대 KT의 경기에 대한 개인적인 예상을 첨언해 보자면, 3세트보다는 2세트의 변수가 좀 더 크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합니다.
그 이유는
2세트 : 어윤수 선수 쪽에 무게감이 쏠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어윤수 선수도 이해하기 힘든 하드 스로잉을 종종 하는 선수라서 김명식 선수가 온라인 상에서 보였던 강력한 모습을 방송 경기에서도 보여 준다면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물론 김명식 선수가 방송 경기에서 약한 모습을 이어간다면 어윤수 선수의 무난한 낙승이 예상되구요.
3세트 : 김민철 선수는 그나마 힘 싸움 위주의 물량형 테란에게 좀 약했지, 견제 위주의 테란에게는 워낙 강한 면모를 보여 왔죠. 반면 전태양 선수는 아무도 예상치 못 했던 코드A 예선 탈락의 여파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Rein_11님께서 언급해 주신 경기 외에 개인적으로 기대되는 경기를 추가해 보자면,
김구현 대 이영한 : 평범한(?) 경기가 나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김유진 대 조중혁 : 공격적인 스타일의 두 선수가 맞붙는데, 김유진 선수가 연패를 끊어낼 수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파란만장
14/01/12 09:42
수정 아이콘
오늘부터 시작이군요 흐흐 기대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212 [기타] [스타1] 스타리그 앞으로가 더 기대됩니다. [13] 영웅과몽상가7558 14/01/12 7558 7
53211 [LOL] 나오는것만 나오면서도. 안나오는게 나오는 롤챔스. [67] Leeka11363 14/01/12 11363 2
53210 [LOL] 빠른별은 어떻게 꿀빨러가 되었나 [118] Quelzaram14537 14/01/12 14537 10
53209 [기타] 게임 소개 : SMITE - 신성 모독이다! [1] 이호철7850 14/01/12 7850 1
53207 [LOL] LOL이 E-sports로 적당하다고 생각하세요? [88] 멍하니하늘만9690 14/01/11 9690 1
53206 [LOL] 개발되다가 전면중단된 챔프 모음 1탄 [25] 버스커버스커35676 14/01/11 35676 7
53205 [기타] 행복한 피아니스트 [21] 절름발이이리7899 14/01/11 7899 1
53203 [LOL] 롤챔스 역대 펜타킬 기록들. [28] Leeka10910 14/01/11 10910 0
53202 [기타] [스타1] PGR APM U - 150 리그 8강 진행 경과 [20] BIFROST7183 14/01/11 7183 0
53201 [LOL] 우리는 제대로 된 인터뷰를 듣고 싶다. [207] aura12257 14/01/10 12257 10
53200 [LOL] 실드, 경기 잘봤습니다. [88] emonade9218 14/01/10 9218 4
53199 [LOL] 롤챔스 스프링 우승 VS 섬머 우승팀이 격돌합니다. [42] Leeka7796 14/01/10 7796 1
53198 [LOL] 2012 봄의 영웅들은 어디로 갔나 [50] 사과씨8141 14/01/10 8141 2
53197 [기타] 일본 SC2 웹진 StarCraft Times 대표 Sugeo씨와의 저녁식사 [16] 라덱7370 14/01/10 7370 2
53196 [스타2] 2014 1R 3주차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 개인적인 관심 매치 [15] Rein_116747 14/01/10 6747 2
53195 [LOL] 빠른별이 은퇴했습니다. [46] 왼손은그저거들뿐8829 14/01/10 8829 2
53193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4강 B조 프리뷰 [138] 노틸러스9713 14/01/09 9713 0
53192 [LOL] NLB 결승 대진이 확정되었습니다. [30] Leeka9362 14/01/09 9362 3
53191 [LOL] sk와 kt 1경기에서의 카카오 카직스의 의미(?) [37] mix.up8768 14/01/09 8768 4
53190 [하스스톤] 이 게임은 30점만 깎으면 이깁니다 - 주문도적 소개글 [24] be manner player11973 14/01/09 11973 2
53189 [LOL] 팀 게임에서 개인의 기량 평가란... [17] 레몬커피9271 14/01/09 9271 7
53188 [LOL] 롤챔스 4강 SKT T1 K vs KT Bullets 리뷰 #2 [23] 노틸러스11987 14/01/09 11987 13
53186 [LOL] SKT K에게 1경기가 중요한 이유. [62] Leeka8926 14/01/09 892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