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09 18:09:09
Name be manner player
File #1 하스스톤_전설(1).jpg (301.0 KB), Download : 44
File #2 하스스톤_전설(2).jpg (60.0 KB), Download : 36
Subject [하스스톤] 이 게임은 30점만 깎으면 이깁니다 - 주문도적 소개글




0. 주문도적이란?

하스스톤은 상대 영웅의 체력 30을 0으로 만들면 이기는 게임입니다. 이를 위해 유저들은 보통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1) 필드에 있는 상대 하수인을 정리한 이후 마지막으로 상대의 영웅을 공격
2) 필드를 상대에게 조금씩 내주면서 시간만 끌고 상대의 영웅을 집중 공격

하지만 내가 저코스트 하수인 위주의 덱(이하 위니덱)을 쓰면 상대의 광역기술에 녹아버리고,
내가 고코스트 하수인 덱(이하 빅덱)을 쓰면 상대의 위니덱 혹은 저격 마법 때문에 제대로 카드 내보지도 못하고 패배하고,
광역 주문 위주 덱을 쓰면 상대의 빅덱에 무너지고, 상대 영웅을 저격하는 덱을 쓰면 상대의 회복 및 도발에 막히고..
어떤 덱을 써도 상대와 나의 상성이 안좋으면 이기기 힘들죠. 반복해서 상성 때문에 게임을 진다고 생각하면 이성이 무너지고요.
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주문도적 덱은 범용성 높은 주문카드들 때문에 어떤 상대를 만나도 최소한 상성이 밀리지 않습니다.
그러면서도 몇몇 덱을 상대로는 극단적인 우위에 있죠. 서론이 너무 길었네요.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1. 카드 소개

0코스트 : 그림자 밟기*2 / 기습*2

그림자 밟기는 주로 3가지 용법이 있습니다. 리로이 + 그림자 밟기 / 드로우 카드 + 그림자 밟기 / 요원 + 그림자 밟기
내 카드가 모자라면 카드를 뽑는데 쓸 수도 있고, 데미지가 모자라면 데미지를 추가하는데 쓸 수도 있습니다.
기습은 그냥 사기카드입니다. 단독으로 써도 강력하고, 흙점쟁이 + 기습 / 가젯잔 + 기습 / 하늘빛 비룡 + 기습 / 기습 + SI:7 요원 등등 수많은 응용도 가능합니다.

1코스트 : 황금골 보병*2 / 맹독*2 / 사악한 일격*1

위니덱에서는 은빛십자군종자를 선호하지만, 이 덱은 다른 도발 하수인을 넣을 자리가 없어서 황금골 보병을 넣었습니다. 초반에는 상대의 위니를 억제하고, 중반 이후에는 카드 연계의 발판이 되거나 내 고급 하수인 및 영웅을 지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맹독은 1/1무기에 쓰느냐 아니면 1/2무기에 쓰느냐 라던가, 이번턴에 쓰느냐 다음턴에 쓰느냐 등의 타이밍이 중요한 카드입니다. 물론 그냥 써도 좋기는 합니다만, 맹독을 쓰기전에는 한번 더 생각해주세요. 지금이 최적의 타이밍이 맞는지.
사악한 일격은 초반에는 사용을 자제하시고, 중반 이후 연계 재료나 마무리 용도로 쓰면 됩니다.

2코스트 : 데피아즈단 두목*1 / 풋내기 기술자*2 / 코볼트 흙점쟁이*1 / 독칼*2 / 절개*2 / 폭풍의 칼날*2

데피아즈단 두목은 요새 추세에 그리 좋다는 느낌이 안 듭니다. 동전 데피아즈단 콤보 웬만하면 안쓰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카드가 많은 분들은 에드원 벤클리프로 대체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풋내기 기술자는 그냥 있으면 고민없이 쓰시면 됩니다. 여유가 있다면 기술자 1장을 빼고 혈법사를 넣는 게 좋습니다.
흙점쟁이는 보통은 아끼는 게 좋지만 초반에 낼 카드가 없으면 너무 아끼지는 마시고 바로 내세요.
독칼은 지금 영웅 능력을 쓰는 게 좋은지 이걸 쓰는 게 좋은지 한번 생각해보고 쓰시고, 절개는 웬만하면 중반부터 씁시다.
폭풍의 칼날은 1) 맹독의 영향을 받고, 2) 주문 공격력의 영향을 받으며, 3) 상대 영웅 본체에도 데미지가 들어가고, 4) 사용시 무기가 꺠지는걸
신경 쓰셔야 합니다.

3코스트 : SI:7 요원*2 / 칼날 부채*2

요원의 연계시 2데미지 효과는 요정용에게도 들어갑니다. 3/2 하수인 잡는데 성공하면 4~5코스트급 활약입니다.
칼날 부채는 가끔 적 하수인이 하나도 없더라도 내 패를 보충하기 위해 써아햘 때도 있습니다.

4코스트 : 리로이 젠킨스*1 / 보랏빛 여교사*2

이 덱은 보통 8-11턴에 게임을 끝내면서 16-24장의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3판 중 2판 이상은 리로이 그밟 콤보를 쓸 수 있습니다. 그림자 밟기를 다른 용도로 쓰는 건 진짜 다급할 때 뿐이고, 웬만하면 리로이를 위해 남겨놓읍시다.
보랏빛 여교사는 높은 체력, 좋은 특수 능력 때문에 저격 마법을 빼내기 쉽습니다. 보통 하늘빛 비룡 및 가젯잔 경매인이 견제를 덜받게 하는 용도로 씁니다. 만약 선생님이 제자를 하나 이상 기르는데 성공한다면 웬만하면 이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5코스트 : 하늘빛 비룡*2 / 가젯잔 경매인*2

둘 다 낼 수 있으면 바로바로 내주는 게 좋습니다. 저격당하면 어떻게 하냐고요? 아직 3장 더 있으니 괜찮습니다.
1~4코스트 하수인들이 워낙 어그로를 잘끌기 때문에, 의외로 1-2턴 이상 생존하면서 게임을 캐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가젯잔 경매인이 살아있다면, 아무리 불리해도 당신은 아직 패배한게 아닙니다.

2. 운영법

기초적인 카드 사용법은 위에 적었고, 이번에는 각 직업을 상대로 어떻게 게임을 풀어나가야 하는지를 적겠습니다.

공통 : 어느 직업을 상대하든 후턴이 유리하고, 기습/맹독이 없으면 첫 패 전부를 교체하시기 바랍니다.

전사 : 전사는 기본적으로 한방을 추구합니다. 위니 키우기 /용암거인+전쟁노래 사령관 / 알렉스트라자+무기의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도적의 필드 장악력은 전사 따위가 따라올 수가 없는 만큼 위니는 차분히 잡아주시면 되고, 상대 체력을 15이상 깎지 말고 카드를 모으며 기다리다가 한방에 끝내주시면 됩니다. 첫 패에 리로이가 있으면 남겨놓으시고, 리로이가 없으면 기습과 맹독을 제외한 모든 카드를 교체하세요. 카드를 25장 뽑아서 그 중에 리로이가 나오면 8.5 : 1.5로 이기고, 안나오면 5 : 5 입니다.

주술사 : 내 하수인을 3-4마리만 유지하면서 상대 본체를 노리면 됩니다. 주술사는 회복이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쉬운 편입니다만, 토템 뽑기를 유희왕처럼 하고 번개 폭풍 데미지가 항상 최대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마음을 비우시면 됩니다.

도적 : 첫 패에 동전/기습/맹독/폭풍의 칼날 중 하나는 있어야 상대가 됩니다. 만약 이 중 아무 것도 없다면, 상대도 말렸기를 빌 수밖에 없네요.
동전 데피아즈단 콤보는 기습+독칼/ 기습+영웅 능력 등에 쉽사리 무력화되므로 도적 상대로는 별로입니다.

성기사 : 성기사 영웅 능력이 도적 영웅 능력에 너무 무력하기 때문에, 초반 필드 주도권이 도적에게 있습니다. 상대는 4턴부터 6턴까지 진은검, 평등, 신성화, 광기의 화염술사로 필드를 역전하려고 하는데, 보랏빛 여교사, 황금골 보병, SI:7 요원이 위 카드들에 상성상 우위입니다. 이 카드들로 탱킹을 해서 필드 우위를 뺏기지 않는데 성공한 다음에 하늘빛 비룡/가젯잔 경매인으로 굳히기 들어가면 됩니다. 상대가 키카드를 써도 역전을 못하게끔 유도하시면 됩니다.

사냥꾼 : 안 보여요.. 그래도 공략을 적자면, 개들을 풀어라의 너프 이후 사냥꾼은 비밀 카드 덱과 하수인 중심 덱으로 나뉘었습니다. (그런데 둘 다 약해서 하던대로 하면 되요) 상대가 비밀을 깔면 '가장 약한 하수인부터 공격하고, 가장 약한 하수인부터 필드에 내려놓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드루이드 : 드루이드 상대로 무난히 중후반 가면 불리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드루이드는 보통 10턴 이후에나 게임을 끝낼 수 있기 때문에, 영웅 체력이 빠지는 걸 겁내지 마시고 느긋하게 운영하다가 8-10턴쯤에 킬각을 잡으시면 됩니다. 특히 절개를 허수아비골렘이나 숲의 수호자 잡는다고 낭비하시지 마시고, 나중에 영웅이나 도발 하수인 잡는데 쓰시는게 중요합니다. 상대가 정신자극이 2장이면 3 : 7, 1장이면 5 : 5, 0장이면 8 : 2입니다.


 


흑마법사 : 흑마법사는 보통 극단적인 위니덱 아니면 극단적인 빅덱인데, 위니덱 상대로는 9 : 1로 유리합니다. 폭풍의 칼날/맹독/기습/칼날 부채를 최우선해서 손에 쥐시고, 거침없이 카드를 소모하면서 잡아내세요. 흑마 위니덱이 예전에 5코스트 눈보라 상대하는 것도 벅차했는데, 이 덱은 2-3코스트에 광역기가 있습니다. 지독히 재수가 없는 경우가 아니면 안 집니다. 흑마 빅덱은 의외로 이 덱으로 상대하기 가장 껄끄러운 편인데(벤클리프가 있다면 좀 달라질지도) 흑마 빅덱은 법사한테 너무 약해서 잘 안보이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됩니다.


 


사제 : 사제는 기본적으로 초반이 너무 약합니다. 그래서 최근의 사제 덱은 초반을 극복하기 위해 광기의 화염술사, 신성한 폭발, 아키나이 영혼사제 + 치유의 마법진을 쓰는데, 이걸 연속적으로 3-4번씩 당하는게 아니라면 보통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4-5코스트 하수인 하나와 맹독을 최우선으로 잡는게 좋습니다.


 


마법사 : 상대가 마나지룡을 첫 패로 가지면 나도 기습/맹독이 있어야 5:5 싸움이 가능합니다. 아니면 못 이기고요. 제가 3급부터 전설까지 만난 상대 중에 70%가 대회에 입상한 하수인 위주 마법사 덱인데, 뭐 그 덱 상대로 5.5 : 4.5로 계속해서 조금씩 이기면서 전설을 찍기는 했습니다만, 상대할 때 혈압 오르지 않게 관리 잘하셔야합니다.. 마법사 유저 중에 90%는 불덩이 작렬 쓰면서 도발 누르는 정신병자들이니까, 멘탈 관리를 위해 미리미리 차단해놓으세요. 일단 기습과 맹독을 이용해서 필드 주도권을 한번 잡았으면, 그다음부터는 내 본체가 얻어맞든 말든 적 영웅을 때려서 얼음 방패를 뚫어내야합니다. 보통은 막타용으로 쓰던 리로이도 법사전에서는 아끼지 말고 팍팍 쓰세요. 법사의 광역기는 강력한 대신 고코스트기 때문에, 상대는 내 필드를 정리하거나 내 본체를 때리거나 둘 중 하나밖에 못합니다. 법사와의 대전은 한마디로 줄이면 진인사대천명입니다. 최선을 다한 다음, 화염구/불작이 없기를 하늘에 비는 수밖에 없습니다..


 


3. 마치면서


 


사실 인벤에 올라오는 수상덱 베껴서 쓰면 상위권 올라가기 쉽습니다. 그런데 재미가 없죠. 나말고도 이 덱 쓰는 사람이 수백 수천명이니까요. 이 덱을 쓰시면서 어느덱을 만나도 각종 주문으로 상데를 베어넘기고, 판마다 20장 이상씩 시원시원하게 카드 뽑아쓰면서 리로이로 막타 넣을 때면 어느새 헤드셋/스피커 볼륨을 높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다들 주문 도적으로 즐거운 하스스톤 플레이하시길 바랍니다.


 


그런데 저는 오늘 입영신청을 했으니 이제 게임할 날도 몇 달 안남았군요. 에휴 하스스톤 안할란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모모리
14/01/09 18:14
수정 아이콘
요새 이 덱 꽤 보이더군요 사악한 일격이나 코볼트가 보인다 싶으면 죄다 이 덱이에요.
be manner player
14/01/09 18:22
수정 아이콘
이 글 쓰면서 검색해보니까 어떤 분이 며칠전에 도탁스에 제 덱이랑 컨셉이 비슷한 덱을 올리셨더군요. 6장 정도가 다르긴 한데..
http://cafe.daum.net/dotax/ONTY/64 이 덱도 참고해봐야겠네요.
mockingbird
14/01/09 18:17
수정 아이콘
재밌어 보이네요 리로이만 있다면 해보고 싶네요
be manner player
14/01/09 18:24
수정 아이콘
혈법사나 벤클리프는 저도 없어서 안쓰고 있습니다만, 리로이는 어떻게든 만들어야 승률이 나옵니다.
리로이로 18데미지 넣는 판이 전체 1/3은 되니까요.
14/01/09 18:18
수정 아이콘
와우 웃긴닉 모음에서 '지능에도적' 이 이유있는 이야기였군요.
be manner player
14/01/09 18:25
수정 아이콘
크크크 다음에는 주문주술사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14/01/09 18:20
수정 아이콘
체력 8회복 카드를 들고 있는 드루이드나, 회복카드를 다수 들고 있는 성기사 상대로는 어떤가요?
be manner player
14/01/09 18:28
수정 아이콘
성기사는 7턴은 되야 체력 회복할 여유가 생기고, 드루는 9턴은 되야 체력회복 할만합니다.
도적의 필드 주도권이 워낙에 강력하기 때문에, 그전에 섣부르게 체력회복하느라 마나 낭비하면 필드에 3/5랑 4/4 하수인 서너마리가 있는 꼴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그때쯤 되면 리로이로 12-18데미지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6정도 체력 회복하는 게 크게 까다롭진 않았습니다.
모챠렐라
14/01/09 20:13
수정 아이콘
하아 전 리로이랑 왜이리 연이 없을까요 ㅜ
저도 리로이 잼 하고싶어요

근데 오픈베타랑 카드는 언제쯤 풀릴까요?
카드 풀리길 대비하면서 골드 모으고있는데 지름신의 유혹이...
be manner player
14/01/09 21:06
수정 아이콘
리로이는 가루 모아서 만들어도 후회안하는 전설입니다 크크
오픈베타는 곧 할 거 같은데 신규 카드추가는 언제가 될지 모르겠네요.
모챠렐라
14/01/09 21:08
수정 아이콘
크크 신규카드 발매되면 5만원+골드 모은거 털어서 카드깡 하려고요...
리로이 안나오면 제작인겁니다 크크
탱구와레오
14/01/09 20:35
수정 아이콘
여교자 한장자리에 밴클..
점쟁이 자리에 탈노스 넣어도 될려나요?
be manner player
14/01/09 21:07
수정 아이콘
네 저는 카드가 없는 관계로 아직 못써봐서.. 이부분은 잘 모르겠네요 흑흑
Nexen Heroes
14/01/09 21:30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재미있겠네요. 사실 다른 직업도 그렇지만 도적은 특히 내가 당하면 현란하고 멋있어보이는데 해보니 난 안 되는 그런 직업같네요 ㅠㅠ

혹시 리로이를 로켓병으로 대체해서 써도 될런지.. 궁금합니다.
14/01/09 21:49
수정 아이콘
로켓병보다는 마나골렘이었던가? 상대 마나 늘려주면서 등장하는 녀석이 좋을 것 같습니다.
be manner player
14/01/09 22:02
수정 아이콘
윗분도 써주셨지만, 비전 골렘(3코스트 4/2)이 로켓병보다 더 낫고, 만약에 비전 골렘 만들 마나가 안된다면 늑대기수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로켓병은 너무 무거워요.
14/01/09 23:20
수정 아이콘
굉장히 재밌으면서도 잘 짜여진 덱이네요.

황금골 보병 -> 남쪽바다 갑판원, 데피아즈단 -> 벤클리프 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1렙에 노움도 나쁘지 않은 것 같고 여교사 하나 빼고 흑기사나 실바로 바꿔도 괜찮을 것 같네요.
be manner player
14/01/09 23:34
수정 아이콘
황금골 보병/남쪽바다 갑판원/오염된 노움/은빛십자군 종자/가혹한 하사관은 취향인 거 같아요.
전 도발 + 체력 2를 좋아해서 황금골 보병을 선택했지만 다른 하수인들도 충분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흑기사나 실바는 이론상으로는 마나커브가 좀 꼬이더라도 성능이 압도적이라 괜찮을 듯 한데, 제가 직접 써보지를 못해서; 뭐라 말씀을 못드리겠네요.
14/01/09 23:23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덱 운영하다 지겨워져서 요새 해적, 무기 도적덱 쓰고 있는데 승률도 괜찮고 재밌더군요.
be manner player
14/01/09 23:36
수정 아이콘
법사만 안만나면.. 재밌죠 크크
리산드라
14/01/10 09:54
수정 아이콘
냉혈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be manner player
14/01/10 13:11
수정 아이콘
일단 이덱에 연계카드가 너무 많아서 냉혈까지 넣으면 연계가 골치아파지고, 또 냉혈은 내 하수인이 살아있고 적 도발 하수인이 없어야 이번턴에 데미지를 줄 수 있는데 사악한 일격은 언제나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점 때문에 사악한 일격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LittleGray
14/01/10 11:21
수정 아이콘
좋은 덱이네요. 뭣보다 도적의 가장 큰 고민인 패말림이 별로 없어 패를 경쾌하게 이어가는 점이 정말 좋은 거 같아요.

중간에 실바랑 요정용 벤클리프 정도만 추가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be manner player
14/01/10 13: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재밌게 써주세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212 [기타] [스타1] 스타리그 앞으로가 더 기대됩니다. [13] 영웅과몽상가7558 14/01/12 7558 7
53211 [LOL] 나오는것만 나오면서도. 안나오는게 나오는 롤챔스. [67] Leeka11363 14/01/12 11363 2
53210 [LOL] 빠른별은 어떻게 꿀빨러가 되었나 [118] Quelzaram14537 14/01/12 14537 10
53209 [기타] 게임 소개 : SMITE - 신성 모독이다! [1] 이호철7850 14/01/12 7850 1
53207 [LOL] LOL이 E-sports로 적당하다고 생각하세요? [88] 멍하니하늘만9690 14/01/11 9690 1
53206 [LOL] 개발되다가 전면중단된 챔프 모음 1탄 [25] 버스커버스커35676 14/01/11 35676 7
53205 [기타] 행복한 피아니스트 [21] 절름발이이리7899 14/01/11 7899 1
53203 [LOL] 롤챔스 역대 펜타킬 기록들. [28] Leeka10910 14/01/11 10910 0
53202 [기타] [스타1] PGR APM U - 150 리그 8강 진행 경과 [20] BIFROST7183 14/01/11 7183 0
53201 [LOL] 우리는 제대로 된 인터뷰를 듣고 싶다. [207] aura12256 14/01/10 12256 10
53200 [LOL] 실드, 경기 잘봤습니다. [88] emonade9218 14/01/10 9218 4
53199 [LOL] 롤챔스 스프링 우승 VS 섬머 우승팀이 격돌합니다. [42] Leeka7796 14/01/10 7796 1
53198 [LOL] 2012 봄의 영웅들은 어디로 갔나 [50] 사과씨8141 14/01/10 8141 2
53197 [기타] 일본 SC2 웹진 StarCraft Times 대표 Sugeo씨와의 저녁식사 [16] 라덱7370 14/01/10 7370 2
53196 [스타2] 2014 1R 3주차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 개인적인 관심 매치 [15] Rein_116746 14/01/10 6746 2
53195 [LOL] 빠른별이 은퇴했습니다. [46] 왼손은그저거들뿐8829 14/01/10 8829 2
53193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4강 B조 프리뷰 [138] 노틸러스9713 14/01/09 9713 0
53192 [LOL] NLB 결승 대진이 확정되었습니다. [30] Leeka9362 14/01/09 9362 3
53191 [LOL] sk와 kt 1경기에서의 카카오 카직스의 의미(?) [37] mix.up8768 14/01/09 8768 4
53190 [하스스톤] 이 게임은 30점만 깎으면 이깁니다 - 주문도적 소개글 [24] be manner player11973 14/01/09 11973 2
53189 [LOL] 팀 게임에서 개인의 기량 평가란... [17] 레몬커피9271 14/01/09 9271 7
53188 [LOL] 롤챔스 4강 SKT T1 K vs KT Bullets 리뷰 #2 [23] 노틸러스11987 14/01/09 11987 13
53186 [LOL] SKT K에게 1경기가 중요한 이유. [62] Leeka8925 14/01/09 892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