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12/22 13:35:16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윈터. 8강 매치 1주차 프리뷰.
1. SKT K VS 삼성 블루

* 특이사항 : SKT K 는 대뷔이후 지금까지. 삼성을 제외한 팀에게 진적이 없음.
- 삼성 블루( 스프링 2:0승, 섬머 2:0 승, WCG 0 : 2 패)
- 삼성 오존( 롤챔스 스프링 12강 0:2패, 롤챔스 스프링 4강 1:3패, 실내무도 1:2패, AMD 0:2 패, 섬머 4강 3:1 승)
* OMG와의 롤드컵, 소드와의 스프링 12강은 1:1로 무승부 처리됨.
* 그 외 모든 경기에선 무승부조차 없이 전부 승리.

상대전적
롤챔스 스프링 13 -  SKT K 2 : 0 삼성 블루
롤챔스 섬머 13 -  SKT K 2 : 0 삼성 블루
WCG 선발전 - SKT K 0 : 2 삼성 블루


세계 최강 SKT K와..
그 SKT K를 이겨본적이 있는.. 삼성의 격돌입니다.

삼성이 일을 낼 수 있을 것인지 - 아니면 예상대로 SKT K가 이길 것인지.


2. KT Bullets  VS CJ Blaze

* 특이사항 : 두팀은 WCG를 제외하고 모두 KT가 일방적으로 이김...
윈터 12강 - 2:0
윈터 4강 - 3:0
인천 무도 아시안게임 예선 - 2:0
섬머 8강 - 3:2
롤드컵 선발전 - 3:0
WCG 예선전 - 0:1
총 13승 3패.  
써킷포인트 관련 리그에선 11승 2패.


그렇게도 KT를 피하고 싶었던.  CJ 블레이즈는 또 KT를 만났습니다..

이번에야말로 롤챔스에서 설욕을 할 수 있을것인지..

반대로 KT의 경우.. 늘 천적처럼 냠냠하다.. 최근 WCG 에서 처음으로 일격을 맞았는데. 그에 대한 복수를 할 것인지도 기대되네요.



3. 특이사항들

SKT / KT는  삼성 블루 /  CJ 블레이즈 상대로 롤챔스에선 전부 이겼으나, WCG에서는 졌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롤챔스 복수전 VS WCG 복수전.. 이라고 해도 될것만 같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녀시대김태연
13/12/22 13:42
수정 아이콘
SK대 삼성 전적은 놀랍네요 크크크.
오니즈카군
13/12/22 13:51
수정 아이콘
흠 여담이지만
롤 판에서 WCG 우승은 롤드컵과 상당한 차이가 있는것 같네요?
13/12/22 13:54
수정 아이콘
WCG에 유럽/북미의 강팀들이 하나도 안나오기 때문에. WCG 우승은 그냥 이벤트 대회 우승 정도 위상입니다..
(WCG에 중국팀 제외하고, 해외 강팀이 아에 안나옵니다.)

겜빗, 프나틱, C9등의 강호들이 아에 참가를 안하니까요.

롤판에서의 커리어는.. 시즌3부터는
롤드컵 >>>>>>>>>>> 자국 정규리그 >>>>>>>> 그 외 대회들.(WCG, IEM, 실내무도등) 의 위상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시즌2까지는 각 리그들에 써킷포인트를 부여했고.. IPL과 같은 거대 대회들이 있어서 대회별 위상이 다릅니다만..
문제는 시즌2에선 WCG는 하지 않았다는거..)
13/12/22 16:04
수정 아이콘
롤 뿐만아니라 지금 WCG의 위상이 많이 내려갔죠
13/12/22 16:09
수정 아이콘
축구에서 월드컵-올림픽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올림픽 축구 우승도 대단한 영예지만 월드컵에 비할바가 아니듯 wcg우승도 대단한 거지만 롤드컵엔....
13/12/22 13:56
수정 아이콘
SKT K vs 삼성 블루는 미드, 바텀 싸움이 기대됩니다. 양쪽 다 피지컬이 장난이 아니에요. 밴픽만 잘 준비해가면 블루가 큰 일 한번 낼 수 있다고 봅니다.


KT B vs 블레이즈의 기존 전적은 정글러 클래스 차이가 많이 보인 경기들이었기 때문에 데이드림이 들어간 블레이즈는 기대하게 만드네요.
13/12/22 14:00
수정 아이콘
뭐.. 사실 KT와 블레이즈는

탑이 라간일때, 썸데이일때, 인섹일때.
정글러가 카카오일때, 인섹일때. 를 가리지않고 블레이즈가 지긴 했는데..

블레이즈의 멤버 구성이 데이드림+엠페러로 변한뒤 격돌은 처음이긴 하죠.. 흐흐.
Gorekawa
13/12/23 11:34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KTB가 블레이즈에게 강한 이유는 그냥 미드 바텀 듀오 떄문이라는 결론이....크크
육류의 강함과 바텀 듀오의 힘이 크긴 컸나봐요.

데이드림 + 엠퍼러로 바뀐 뒤에는 블레이즈가 한번 이겼죠. WCG 와카전에서
개인적으로 정글러는 카카오가 우위에 있지만 바텀 듀오는 대등하다고 봅니다. 라인전에서는 마파 스코어가 조금이나마 더 안정적이긴 해도
한타페이지에서 엠퍼러가 매우 잘해서...
13/12/22 13:57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 입장에선 어짜피 그땐 헬리오스 있던때라 지난상대전적은 크게 의식할것 까진 없어 보입니다.
물론 뭐 그렇다고 데이드림이 카카오를 능가할거라는 생각은 하지않고 최소한 그때보다야 상황이 더 좋다는 거죠.

원딜과 정글러 지금 둘다 업그레이드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니 KTB6 vs 블레이즈4 정도로 봅니다.(예전엔 9:1정도 느낌이라면 말이죠)
어짜피 새로들어온 선수들이야 KTB에대한 트라우마같은거 못느낄테고(어짜피 그때 내가 뛴것도 아닌데 해봐야 알지! 하고 패기는 보일듯)

문제는 계속 져본 기억에 패기싸움부터 밀려서
'아 이번에도 지지 않을까..후..' 이런 생각을 가진 멤버가 있지 않을까 걱정인거죠.

플레임,엠퍼러,데이드림은 정말 평소실력대로 잘해줄거라 봅니다.
라엘란
13/12/22 14:08
수정 아이콘
그걸 제일 의식하는 선수가 엠비션인거 같아요. 플레이나 인터뷰에서 류나 페이커가 잘한다고 인정하는걸 넘어서 피하고 싶다거나
부담스럽다는 식의 뉘앙스로 말을 많이 했죠. 실제로 경기 내에서도 저 두선수만 만나면 기세부터 밀려서 수동적인 플레이가 많았고..
데이드림이 얼마나 게임을 잘 풀어주는지가 관건인듯 싶네요.
wing tree
13/12/22 14:17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는 지금까지 KT전중에서 이번이 제일 할만할겁니다.
기대도 많이 되구요.
Rorschach
13/12/22 14:35
수정 아이콘
삼성 블루 / 블레이즈 승이 나올 가능성이 충분해보입니다. 그래서 더 재밌을 것 같아요.
아무튼 누가 이기든 제발 총 10경기! 크크
13/12/22 14:45
수정 아이콘
skt k가 언제 패배할지가 가장 궁금하네요

영원히 다 해먹을 것 같던 cj도 예전에 비해 떨어졌고
가장 공격적으로 게임을 흔들던 나진 소드도 떨어졌고
숨막히던 운영의 오존까지 기량이 떨어졌는데

과연 이번 왕좌에 앉은 skt는 언제까지 갈지
HOOK간다
13/12/22 14:56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는 좋아졌죠 전력이.. 프로스트가 바닥으로 떨어졌고... 크크크 ㅠㅠ
뚜루뚜빠라빠라
13/12/22 14: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폰 선수는 페이커 선수 바로 다음티어에 위치하는 미드라이너라고 생각하고

데프트 선수는 한국 원거리딜러 원탑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블루 한번 기대해봅니다
바다님
13/12/23 02:00
수정 아이콘
거기다 데프트 선수와 호흡을 맞추기 시작한 하트 (구 츄냥이) 선수의 서포터 적응력과 기량이 지금 물 올랐다고 볼 수 있죠.
저번에 카르마로 "츄냥이가 미쳤어요!" 란 말이 튀어 나오도록 최상의 이해도를 보여줬고, 요새 솔랭에서 서포터로 승률이 높습니다.
최근에 2등인가 4등 까지 찍었을거예요. 삼블 바텀 듀오가 한번 일을 내주면 재미있어질거라 봅니다.
13/12/22 14:48
수정 아이콘
흑흑 블레이즈.. NLB로 갑시다
곱창전골
13/12/22 15:43
수정 아이콘
4강급 멤버가 8강에 몰려있어서 많이 아쉽지만, 그만큼 명경기가 펼쳐지리라 기대되네요.
블레이즈도 케티비상대로 가장 할만한 상황으로 올라왔고 블루도 skt-k 상대로는 나쁘지 않구요. (wcg에선 아예 찍어눌렀죠)
롤챔스때문에 크리스마스를 집에서 보내야하는 어쩔수 없는 상황이라니.. 휴..
13/12/22 21:24
수정 아이콘
하하하... 이분께서..... 거짓말을....
생겨요
13/12/22 17:04
수정 아이콘
KT-블레이즈전에 모든이들의 예상을 깨고 잭선장이 출격할지도 크
Island sun
13/12/22 19:58
수정 아이콘
모든이들의 예상을 깨고 블루와 블레이즈가 4강에서 만났으면 좋겠네요 크크
블루는 페이커에 그리밀리지 않다고 생각되는 폰이 있고, 데프트선수도 굉장히 잘하는거 같아서 기대됩니다
블레이즈는 이제까지 상대전적은 헬리오스랑 잭패가 있었을때의 상대전적이라 금요일 경기는 상대전적이 상관없다고 생각되네요. 하지만 저번 섬머때 베인으로 커튼콜을 받은 잭패가 출전한다면.... 크크

무조건 두경기 모두 블라인드픽까지 갔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수요일에는 데이트가있어서 못봄니다만.....크크 금요일엔 혼자 각잡고 봐야죠크크
13/12/23 11:53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는 류와 엠비션의 관계때문에 힘들다고 봅니다.
MLB류현진
13/12/22 21:27
수정 아이콘
영원한강자는없죠
최연성이 리그를 미친듯 휩쓸었지만 조작저그나오고 하락세 뜬금은퇴했죠
레몬커피
13/12/23 03:48
수정 아이콘
전 첫경기는 K가 무난히 이길거라고 생각합니다
폰선수가 굉장히 잘하지만 당시 WCG예선때의 페이커 솔킬같은건 진짜로 상대편이 생각하지 못한 킬각을 잡아서 해낸(그러니까 정말로 기량적으로
대단한)거라기보다는 페이커가 말도안되는 무리한 딜교환하다가 망한거라서, 그 임팩트있던 한때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보면 페이커에는 한참
못미친다고 생각합니다.
롤챔스 예선 보면서는 아무래도 팀간 전력차도 있어보이고 K역시 WCG때 어이없던 경기력을 기억한다면 블루를 기피하기보다는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을 거 같고요.
Gorekawa
13/12/23 11:43
수정 아이콘
에이콘의 로밍이 기가 막혔죠. 레넥톤으로 한번 로밍와서 킬내주더니, 그 이후로는 무한 솔킬. 롤챔스 결승처럼 페이커가 자력으로 류를 수 차례 솔킬
냈던 것과는 확실히 다르긴 합니다.

SK가 똑같은 실수를 범하진 않고 싶다면 임팩트가 에이콘을 라인에서 묶어놔야 되요.
성시경
13/12/23 09:19
수정 아이콘
KT 대 Blaze 는 정말 원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블레이즈는 거의 다른 팀이라 흐흐
Gorekawa
13/12/23 11:29
수정 아이콘
SKT T1 K팀과 삼성 오존은 "서킷포인트가 달린 대회" 를 기준으로 보면
(리그피디아에서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아 대회는 프리미엄급 대회로 인정하지만)

4승 6패로 생각만큼 차이가 나진 않네요. (프리미업급 이하 메이저급 대회까지 전부 포함하면 그떄는 5승 10패로 꽤나 크지만)
스프링 시즌 0대2도 이미 8강 진출 확정 난뒤여서 트롤픽이 나온 경기라....푸만두의 리신 정글...투정글 뉴메타라고 했었나 크크
13/12/23 11:55
수정 아이콘
kt 대 블레이즈의 키는 엠비션이라고 봅니다. 엠비션이 날뛰면 대등할테고 그전처럼 류한테 주눅들어있으면 3:0으로 셧아웃될거 같습니다.
13/12/23 18:18
수정 아이콘
삼성 블루 vs SKTK는 폰 선수 컨디션이 키 포인트일꺼 같아요.
저번 WCG 불밤과의 결승에서 느꼈는데 폰선수보면 잘할때는 정말 페이커가 부럽지 않은데 못할땐 좀 무리하다 말리는 경향이 있는듯합니다.
폰 선수가 페이커선수와 50:50을 해줄 수 있는 컨디션이라면 다른 라인도 해볼 만 할꺼 같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저번에 한번 졌지만 여전히 SKTK 가 우위에 있을꺼 같아요

블레이즈와 KTB는 저번 WCG에서 블레이즈가 한번 이긴 경험이 있는 게 큰 힘이 될 것 같아요.
블레이즈가 항상 쫄아서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어쨋든 최근 6개월 간의 전적은 3:3 이니 만큼 쫄지 말고 맨탈 잡고 경기했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109 [LOL] 2013년 롤챔스 윈터 마지막 경기. KT B VS 블레이즈. [133] Leeka9707 13/12/27 9707 1
53108 [LOL] 삼천포 티모의 다이아1 달성 그리고 탈퇴 [12] 대경성8607 13/12/27 8607 1
53106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8강 B조프리뷰 [140] 노틸러스9232 13/12/27 9232 0
53105 [기타] [스타1] 어제 굉장히 재밌는 경기가 있었습니다. [6] 영웅과몽상가8911 13/12/26 8911 4
53104 [스타2] "PGR21 스2 모임"을 홍보합니다. [51] 캐리어가모함한다8541 13/12/26 8541 4
53103 [LOL] LOL 에서도 매크로가 있는 듯 싶습니다. [32] 서큐버스15274 13/12/26 15274 0
53102 [스타2] fOu 팀이 해체 소식을 알렸습니다. - 향후 스2 판도는? [35] Quelzaram10517 13/12/25 10517 0
53101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8강 A조 프리뷰 [136] 노틸러스11344 13/12/25 11344 2
53100 [하스스톤] 도흑사성으로 전설 달성했습니다. [34] 낭천9637 13/12/24 9637 0
53099 [스타2] StarCraft II Top 5 Highlights 2013 결산 [16] GB8107 13/12/24 8107 7
53098 [기타] [스타1] PGR APM 150 이하 리그 참가 모집 [76] BIFROST8325 13/12/24 8325 2
53097 [스타2] 2013년 12월 넷째주 WP 랭킹 (2013.12.29 기준) - 프로리그를 앞두고 [4] Davi4ever6202 13/12/23 6202 1
53096 [기타] [프야매] 13 두산 토요명전 기념 13 두산 선수 소개를 해봅니다. (스압) [71] 에반스11370 13/12/23 11370 10
53095 [하스스톤] 드디어 전설등급이 되었습니다. [27] 바이11519 13/12/23 11519 1
53094 [도타2] 도타2 홍보에 대한 또다른 단상. [161] 삭제됨12032 13/12/22 12032 4
53093 댓글잠금 [도타2] PC방 홍보는 다른 손님들에게 반감을 많이 주네요 [348] 영원한초보16882 13/12/22 16882 3
53092 [기타] [스타1] Pgr21BroodwarStarleague 4강 공지 [15] 유자7934 13/12/22 7934 2
53091 [LOL] 롤챔스 윈터. 8강 매치 1주차 프리뷰. [29] Leeka8212 13/12/22 8212 3
53089 [스타2] 2014 시즌 래더 맵이 공개되었습니다. [18] 저퀴10812 13/12/21 10812 0
53087 [하스스톤] 5등급 기념 도적 덱 공개 [28] 지니쏠11109 13/12/21 11109 0
53086 [기타] 게임은 스포츠인가? 아니면 그저 오락인가? [39] 부침개13080 13/12/20 13080 2
53085 [기타] 제 마음대로 뽑아보는 올해의 게임 [32] 저퀴8842 13/12/20 8842 0
53084 [하스스톤] 게임에 존재하는 운이라는 요소. (하스스톤을 접었습니다.) [91] csfeel13449 13/12/20 1344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