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24 11:48:58
Name Akira
Subject [8강 2경기 리뷰] 관심 받고 싶은자와 관심 받고 있는자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1주차 2경기.
투명테란 이재호 vs 슈팅스타 이제동

이재호선수는 어느 순간부터 꾸준히 양대리거이면서도, 관심 받지 못했습니다.
프로리그에서도 꾸준한 성적을 거둬주고 있으면서도, 세종족을 상대로 모두 강력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마치 예전의 전상욱 같지만서도, 역시 꾸준히 강한 선수들의 한계점을 들어내는 듯
일정 이상의 성적을 거둬 주지 못했으며 항상 같은 팀의 김택용 선수에게 발목을 잡혔었죠.
특징있는 색깔이 없다.
근래 들어 가장 잘하는 테란하면 역시 박성균, 진영수, 이재호, 이영호, 신희승.
프로게이머와 해설자 사이에서 이선수가 높이 평가 받는건 묵묵하고 꾸준하고 끈기있는 강력함 임에도
역시 스타 팬들에게는 화려한 선수들에게 눈이 가는건 어쩔수 없나 봅니다.

반면 이제동 선수는 데뷔때부터 압도적인 저저전으로 프로리그 신인왕, MVP를 차지.
이듬해에는 저그에게 상성을 앞선다는 테란 압살의 시작.
제동리스크는 알고도 못막는다. 제동리스크는 터렛도, 발키리도, 베슬도 두려워 하지 않는다.
어느새 무탈리스크를 대표하는 선수가 되었습니다.
프로리그 MVP, 신인왕, 다승왕을 모두 받은 유일한 선수. 천하제일 스타리그 우승자.
대 저그전 공식전 11연승, 대 테란전 공식전 10연승.
이 19세의 소년은 첫 개인리그의 진출부터 강력한 로열로더 후보로 꼽히며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그런 두 사람의 대결
이재호선수의 최근 모습은 16강 3전전승으로 박성준 선수를 상대로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조1위로 올라왔지요.
반면 이제동 선수는 프로리그에서 박정욱 선수에게 일격, 저저전에서 2패.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이재호 선수의 승리를 예상한 분들도 많았죠.

경기의 양상은 이렇습니다.
이제동 3시, 이재호 12시
이제동 선수는 오버로드 첫 정찰에 성공합니다.
그러나 이 오버로드로 들키지 않게 배럭만 살짝 보고 방향을 옮겨서 마치 9시에서 온것처럼 오버로드를 움직입니다.
이재호 선수는 3시로 가던 SCV를 이제동 선수의 본진 입구에서 저그의 본진을 확인하지 못하고 9시로 돌립니다.
이렇게 이재호 선수는  이제동선수에 대한 정찰이 늦어 지게 됩니다.
오버로드로 테란의 개스 채취를 확인하고 3해처리가 아닌 2해처리를 선택하게 되죠.
벌처를 대비해 1성큰과 2챔버로 이제동선수는 아예 입구를 틀어 막아 버립니다.
개스채취도 들키고 정찰도 실패하고, 벌처로도 아무것도 못한 이재호선수는
이미 불리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는지, 어쩔수 없는 멀티를 선택한 느낌이었습니다.
레이스로 오버로드를 몇기 잡아 주었지만, 드론 피해는 없었고, 곧 나온 무탈과 스컬지에 의해 레이스의 역활은 끝나고 맙니다.
이제부터는 제동리스크의 시간, 터렛과 발키리로 방어를 생각 했던 이재호선수는
이제동의 스컬지 숨기기 컨트롤에 발키리를 잃고 터렛을 전혀 두려워 하지 않는 제동리스크에 스타포트가 부서지고 맙니다.
바이오닉 병력이 없는 상태에서 무탈을 너무 의식한 나머지 터렛을 너무 많이 지었고
결국 무탈, 저글링 조합에 무너지며 GG를 선언하고 말지요.

엄재경 해설이 게임 시작전 이런말을 했죠.
듣기론 이제동선수가 테란전을 연습하면 이 카트리나는 몇판 졌지만, 다른맵은 다 이긴다고 하더라.
그러니 이재호선수는 여기서 잡아야 한다. 다음맵은 몽환이니까.

연습경기에서도 다 이긴다고 스스로 얘기하는 선수의 자신감.
상대 테란의 빌드를 알면 절대 지지 않는 저그.
대 테란전의 스페셜리스트.
확실히 테란들이 이제동선수하고 게임을 하면 무탈에 겁을 먹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솔직히 겁나죠. 터렛을 도배해도 무시하고 깨버리는데...

이재호선수는 자신의 색깔로 경기를 끌고나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기전의 달인, 참을성의 왕자, 투명 드랍쉽, 투명 레이스
막고 막고 참고 참는 이재호의 색깔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24 12:04
수정 아이콘
이재호 선수가 요즘 그 말씀대로

"내 방어력을 토대로, 네가 무엇을 하든 다 막아보이고, 이겨주겠어!"

라고 생각했다가 패하는 모습이 잦은 것 같습니다. 한상봉 선수와의 경기도 그랬고, WCG 국가대표선발전에서 마재윤 선수와의 경기도 그랬죠.
07/11/24 13:14
수정 아이콘
어제의 경기는 이제동 선수의 오버로드 트릭과 이재호 선수에 대한 대응플레이를 너무 완벽했기 때문에 이재호 선수 아무것도 못하고
패배를 하였죠. 정찰운도 없었을뿐더러, 상대가 뮤탈이 나오는 시점에 본진에 생산건물이라곤 1개의 팩토리와 1개의 스타포트였습니다.
아마도 이번 경기를 계기삼아 다음 부천에서의 승부에서는 자신의 색깔을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테란다운 테란이 아닌가 싶기도 한 이재호 선수... 지켜보겠습니다.
해피새우
07/11/24 14:15
수정 아이콘
이재호 선수가 "무관심"이 된 가장 큰 계기는 스타크래프트 동영상 겔러리에 떠돌던 그 문제의 동영상 때문아닌가요 ?
the hive
07/11/24 16:37
수정 아이콘
모사이트 갤러리의 노x8x라는 사람덕이기도
07/11/24 21:36
수정 아이콘
그 유명한 이재호스페셜?????
라구요
07/11/25 06:51
수정 아이콘
저그입장에서 쉽지않은 테란이었습니다...
그 짧은순간에서의 스콜지의 결단력.......
이제동이 아니었으면.... 다른저그들 무너졌을지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20 캐리어의 몰락 [22] 선비테란7877 07/12/07 7877 1
33119 과연 오늘 3.3절에 버금가는 기적이 일어날것인지.. [62] 처음느낌7648 07/12/07 7648 1
33118 오늘 서바이버 토너먼트 4조, 5조 경기 결과 및 짤막한 감상 [18] The xian5782 07/12/06 5782 1
33117 프로리그 10주차 엔트리 - 마재윤 선수 랜덤 출전/머머전/역시나 50% 넘는 동족전 [50] The xian9632 07/12/06 9632 1
33116 프로리그 홈 앤 어웨이 방식은 어떤가요? [11] 지나가다4406 07/12/06 4406 0
33114 팀리그에 대한 저의생각..(반대의견) [50] 서성수4272 07/12/06 4272 2
33113 스타챌린지 2007 시즌2 전적현황(진행중) [5] 프렐루드4596 07/12/06 4596 0
33111 스타리그 8강 마재윤 vs 김택용 2경기의 중국 팬들 반응 [32] 드림씨어터10505 07/12/06 10505 0
33109 오오오! 서지훈 선수! [22] My name is J7565 07/12/05 7565 0
33108 위메이드 4연승이군요. 엄청난 상승세! [22] 헤나투6815 07/12/05 6815 1
33107 프로게이머 박태민 [58] 비밀....9524 07/12/05 9524 0
33106 MSL 4차 곰티비 서바이버 박지호vs이성은 해설에 오류가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99] 밀가리10795 07/12/05 10795 9
33105 언젠가는, 랜덤본좌가 등장할 수 있을까요 , .. [21] Lupus5754 07/12/05 5754 1
33103 가능성이 없어 슬픈 종족, 테란 [44] 볼텍스7065 07/12/05 7065 4
33102 송병구!! [33] 종합백과6898 07/12/04 6898 0
33100 진정한 팀 대 팀의 대결이라는 측면에서의 팀리그에 대한 생각 [45] 블레싱you4326 07/12/04 4326 1
33099 선수추천을 위한 자료입니다. [2] 프렐루드5116 07/12/04 5116 1
33098 07시즌. 현재까지 선수들의 커리어 순위 정리. [26] Leeka6685 07/12/04 6685 1
33096 김택용 vs 송병구 2007시즌 승률비교 [38] 6278 07/12/04 6278 0
33095 김택용선수와 마재윤선수의 EVER스타리그 8강 경기가 끝났을때_ [11] 아뵤7132 07/12/04 7132 3
33094 프로리그 이런 방식은 어떤가요? <에결에 비중을 높이자> +++ [16] 메렁탱크4336 07/12/04 4336 1
33093 세레모니의 역사 [26] 노맵핵노랜덤6818 07/12/03 6818 0
33092 프로리그 시스템, 이런 건 어떨까? [6] Velikii_Van4475 07/12/03 44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