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26 18:43:34
Name 김기현
Subject 왕의 남자를 보고
나는 영화를 즐겨 보는 편이 아니다. 영화관에 가기엔 귀찮은데다 사람이 북적거리는 곳은 질색이다. 비디오를 보기엔 촌구석 대여점의 대여료가 비싸다. DVD를 볼 수 있는 기계는 집에 없다. 컴퓨터로 다운받아 보는 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런 취향과 형편으로 인해 영화를 보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그래서 보고 싶었던 영화들마저도 안 봤던 경우가 허다하다. 7개월을 기다리다 영화개봉을 며칠 앞두고 책을 사서 본 나니아 연대기가 대표적이라 하겠다.



앞으로의 글은 왕의 남자를 보실 분들은 읽지 마세요.























영화 왕의 남자를 봤다.
영화다운 영화 왕의 남자를 봤다.


먼저 짧은 감상을 쓴다.

영화는 시작부터 속도감이 있었다. 흥겨운 가락과 빙글빙글 춤추며 도는 사람들, 주고받는 대화와 함께 아슬아슬한 줄타기의 놀이로 시작했다. 그리고 이러한 시작은 영화가 끝날 때까지 끊이지 않고 반복되어졌다. 감정이입이 될 겨를이 없다고 생각했었다. 너무나 빠른 이야기 전개에 감정이 자꾸만 끊겨지고 억눌러졌다. 하지만 전개과정이 놀이라는 것을 통해 이뤄져 웃음을 자연스레 유발했다. 그리고 결국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억누르고 억눌렀던 감정을 한꺼번에 터뜨리게 만들었다. 나는 장생이 두 눈을 잃게 되어 간수에게 금붙이 이야기를 해주는 장면에서부터 울음을 참을 수 없었다. 그때부터 영화가 끝이 날 때까지 눈물을 흘렸다. 나는 이미 장생에게 감정이입이 되어 있었다. "징한 놈의 이 세상, 한 판 신나게 놀다 가면 그 뿐..."


어쭙잖은 영화분석과 나의 생각을 쓴다.

1. 장생과 공길의 이름에 대해 생각해봤다.
장생(長生;오래도록 살아있다.)과 공길(共吉;함께 하면 좋다. 좋은 일이 있다.)이라고 내 멋대로 생각했다. 영화 안에서 장생은 처음부터 죽을 위기에서 살게 된다. 그리고 한양에서 왕을 가지고 놀음을 놀다 처선에게 붙잡혔다가 살게 되지만 왕을 웃겨야만 살 수 있었다. 연산 앞에서 놀이를 하다 이미 죽게 되었다고 벌벌 떨고 있는 세 명의 놀이패와는 대조적으로 끝까지 살려 발버둥 친다. 그리고 살게 된다. 이후에도 영화 중 장생은 몇 번이나 죽게 될 위기에서 결국 살게 된다. 하지만 모든 위기의 순간들 가운데는 공길이 있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공길은 장생의 생사의 갈림길에 함께 있다. 또한 공길은 장생이 있어 사냥터에서도 녹수의 모함을 받을 때에서도 살게 된다. 처음엔 공길(空吉)이라고 생각했었다. 길한 일, 좋은 일이 하나도 없다. 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결국 마지막 엔딩씬을 생각하면서 공길(共吉)이라고 확신을 했다.

2.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지?
영화의 도입부분의 위기, 장생과 공길의 도망 이후 위기의 해소방법이 독특했었다. 야트막한 언덕에서 숨을 내몰아 쉬면서 쉬던 장생이 갑자기 나무 작대기를 하나 집어 들고 맹인흉내를 내기 시작하고 공길은 단박에 이해했다는 듯이 둘만의 놀음이 시작된다. 잊을 수 없는 대사 중 하나가 여기서 나온다.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지?” “아,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지?” 둘은 그렇게 같이 있다는 것에 기뻐한다. 영화는 이렇게 위기의 해소를 보여준다. 그리고 영화의 막바지 최고조의 위기에 이르러 진짜 맹인이 되어버린 장생이 올라 있는 줄 위에 공길이 올라서서 줄을 다리로 퉁길 때 그 때의 대사는 없지만, 서로를 확인하게 되고 둘의 마지막 줄타기 놀음으로 위기를 해소한다.  
장생에게 있어 최고조의 갈등은 처선이 장생에게 “공길이를 버려”라고 말하며 풀어주었을 때가 아니었을까? 이후 당연하다는 듯 무모하게 연산과 공길 앞에 나타나게 되지만,

3. 똑같은 필체 / 놀이꾼-광대
놀이꾼들을 모집할 때 똑같은 필체라니 좀 의아스러웠다. 아무리 배우고 가르쳤다지만 이라고 생각했지만 역시나 써먹었다.
놀이꾼과 광대는 당시 홀대받던, 천대받던 사람들이었다. 약자들 중의 약자들이었다. 하지만 살고자 몸부림치는 그들, 그리고 진정으로 슬픔과 설움을 아는 이들의 꾸밈없는 웃음과 한을 볼 수 있었다. 최초 연산의 앞에서 놀음을 놀 때 죽을 위기에서 살아나 첫 밥상을 받았을 때 주고받던 대화들, 장생의 말 “배고파 죽을 뻔했네!”와 웃음을 참지 못해 밥알을 내뱉는 육갑과 킬킬대는 칠득과 팔복, 미소 짓는 공길을 보며 이것이 약자들의 삶이다. 라고 생각했다. 밥상 앞에서의 장생의 대사가 기억나지 않는다. 명대사였다고 생각했는데 인터넷에서도 좀처럼 찾아 볼 수가 없다. 전부 자극적인 대사들 뿐.

4. 장생역의 감우성 / 황산벌의 감독이었던 이준익
알 포인트라는 영화를 통해 감우성을 알게 되었다. 왕의 남자를 본 뒤 감우성이라는 배우를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나 장생이 공길을 버리고 궁을 떠나려 할 때 칼을 휘두르며 줄을 끊으려 하는 장면이 감우성이 제안한 장면이란 사실을 들었을 때 앞으로 지켜봐야 할 배우라고 생각했다. 황산벌을 보면서 킬킬 거렸다. 왕이고 장수고 뭐든 권위를 깎아내리는 이준익 감독은 그 깎아내리는 것을 항상 웃음으로 자연스레 이끌어낸다. 주목해야할 좌파성향의 감독이다.  장생(떳떳한 약자)과 연산(약자를 이용하는 강자)의 갈등을 예로 들어보자. 장생이 줄타기를 하며 연산에게 하는 대사를 보자. “내 살다 살다 별별 잡노옴을 다 봤는데, 이곳에 와서 잡노옴 중에 잡노옴을 하나 봤지.”

5. 영화를 보는 내내 장생에게 감정이입이 되어버려 연산이나 녹수, 공길의 배역에 자세히 파고들지 못했다. 또한 처선의 역할도 마찬가지이다. 기회가 된다면 몇 번 다시 봐야겠다. 영화감독 이준익씨는 네 명(장생과 공길, 연산과 녹수)의 시선으로 영화를 볼 수 있다. 라고 했다. 그만큼 영화의 이야기 구조는 탄탄하다.

6. 영화를 보기 전까지 이준기, 이준기라고 하도 떠들어대서 궁금했었는데, 난 또 뭐라고. 그리고 이준기, 이준기라고 떠들어대면서도 쉬쉬하던데, 난 또 뭐라고. 개인적 이해와 견해의 차를 인정하지만 동성애라고 떠들 만큼의 내용은 없다고 생각된다. 난 영화를 보는 내내 저것이 바로 공동체의 기쁨이라 생각했다. 존재의 그 자체를 기뻐하는 것. 함께 살아가는 것 그 자체를 기뻐하는 것. 기쁨을 사랑으로 바꾸어도 되겠다. 마지막 엔딩씬의 존재를 묻는 물음과 그것에 대한 대답을 들으면서 그렇게 생각했다.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냐?" "아,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지..." "아니, 아니 우리 모두 여기 있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양이혀
06/01/26 19:03
수정 아이콘
밥상 앞에서 육칠팔 트리오 중 한사람이 " 우리 이러다 벼슬까지 주는거 아니오? " 그러자 장생이 " 양반이든 광대든 그게 무슨 상관이야. 광대는 밥만 잘 얻어 먹으면 되지. " 정도의 대사를 날리죠^^. 그리고 엔딩씬은 사실 숨겨진 대사가 있답니다! 저도 2번이나 보고도 못 찾았던 대산데, 한번 더 보시는 것도 괜찮으실 듯...(..영화사 알바 아닙니다~!!)
머찌구니
06/01/26 19:35
수정 아이콘
'왕의 남자' 정말 수작이죠. 제가 본 한국영화 중 손가락에 꼽힐 만한 영화네요. 안 보신 분들은 꼭 영화관에서 보세요. 눈물 찔끔 흘렸다는~
06/01/26 19:47
수정 아이콘
실망했음
어딘데
06/01/26 19:48
수정 아이콘
이런 좋은 영화를 만들어낸 이준익 감독이
이번이 두번째 작품이고 영화 공부를 체계적으로 하지 않은 제작자 출신이란건 정말 놀라운거죠
현금이 왕이다
06/01/26 20:28
수정 아이콘
스크린쿼터 축소 발표가 났군요...
협상 테이블에 앉기도 전에 발표를 해버렸습니다.
쿼터 축소 찬/반을 떠나 도대체 우리의 외교'기술'은 이 정도 밖에 안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드는 군요.
My name is J
06/01/26 20:44
수정 아이콘
이 영화 최대의 강점은 너무나 다양한 시각과 너무나 다양한 해석이 공존할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 나름의 시각과 감상이 아전인수격으로 끼워맞추는 것이 아니라 각기 보는 입장에 따라 나름의 근거를 갖추고 있지요.
결국 멜로 라인에 굴복해버린 사람이지만 이런 감상도 좋은데요.
모든건 바로 영화의 이야기가 가진 힘이 아니겠습니까.

너무나 완전무결-해 보이는 장생보다는 (그에게는 순간의 갈등-혹은 타락-이 보이지 않아요.) 이리저리 흔들리고 약해지는 연산과 공길에게 조금더 공감했지만.. 마지막 씬에서의 장생은 그런 생각이 그저 제대로 공감하지 못했기에 생긴 오해라고 말해주었지요.
또 보게 된다면..이번에는 장생의 입장에서 영화에 몰입하고 싶습니다.

뭔가 냉정해보이는 감상은 하고 싶지 않았는데........으하하하-
06/01/26 21:14
수정 아이콘
마지막대사는 사실 , 산사람과 죽은사람을 구별하는거 그거인가요 ?
그리고 , 스크린쿼터는.. 잘했다고 봅니다 .
이정도면 경쟁력도 쌓았다고 보고.. 문제는 배급사의 횡포겠죠 .
CJ... 문제는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525 이런 맵은 어떨까요? [13] SomeOne3336 06/01/27 3336 0
20523 기술유출 유죄 실형 판결 [42] jjune3551 06/01/27 3551 0
20522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 [36] 박서3605 06/01/27 3605 0
20521 소설 게이샤의 추억, 말년병장. 파란만장한 인생에게. [8] 시퐁3769 06/01/27 3769 0
20518 아마겟돈 & 딥임펙트 이 두 재난영화에 대하여. [23] Ace of Base4794 06/01/27 4794 0
20516 한 올 빠진 수건 [3] Rosicky3604 06/01/26 3604 0
20515 흰 머리 두 가닥을 뽑으며 [7] Timeless4391 06/01/27 4391 0
20514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영화 추천합시다~ [43] nuzang4740 06/01/27 4740 0
20512 독일월드컵 시뮬레이션 본선 투표결과 [13] 램파드와제라3370 06/01/26 3370 0
20511 도대체 뭐가 문제지? [39] 셋쇼마루사마3427 06/01/26 3427 0
20510 스타리그 16강 종족당 진출 비율 [13] 닭템3784 06/01/26 3784 0
20509 드디어 시작됩니다. 신한은행 OSL 8강 [34] 초보랜덤3591 06/01/26 3591 0
20506 새로운 랭킹방식 도입과 앞으로 랭킹예상 [16] 가승희3578 06/01/26 3578 0
20504 [잡담]삼박토스, 좀 올라오라구!! [5] 뛰어서돌려차3317 06/01/26 3317 0
20503 국립대가 돼고 송도로 옮기는 인천대의 성장가능성에 대해서 [21] 밥은먹고다니3785 06/01/26 3785 0
20502 왕의 남자를 보고 [7] 김기현3624 06/01/26 3624 0
20501 @@ 2005년 최고의 히트유닛 ... ? ...!! [41] 메딕아빠5594 06/01/26 5594 0
20499 나의 날개가 잘리고 그곳에 두손이 생기다. [10] GRIND3215 06/01/26 3215 0
20498 [꽁트] 그해 여름 [2] ohfree3886 06/01/26 3886 0
20496 불후의 명작.. 슬램덩크 [38] Attack4366 06/01/26 4366 0
20493 [영화]홍콩영화에 대한 추억_골든하베스트 [23] [NC]...TesTER4393 06/01/26 4393 0
20492 엥...? 뭐죠 이 어이없는 상황은-_ - [11] ☆FlyingMarine☆4463 06/01/26 4463 0
20491 Unofficial Story [2] 루트2645 06/01/26 26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