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Date 2002/04/17 14:44:35
Name 유희
Subject 국내최고의 게이머
대중적인 의미로선 황제 임요환이나 폭풍왕 홍진호를 들겠지요.
그러나 나같으면 다른 사람을 꼽습니다.
프로게이머, 또는 스타크래프트 플레이어가 아닌 단순한 게이머라는
단어니까요.

신의욱. 스타크래프트를 즐기는 다수는 그 이름을 모르겠지요.
그는 스타크래프트는 잘 하지 않으니까.
신의욱은 거의 96년부터 세계최고의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버쳐파이터 말입니다. 근래에 일본의 철인들과 대결을 벌였는데
100전 19패, 81승. 대회에선 9전 9승.  

그것도 국내의 버쳐파이터는 VER.B이고 일본은 VER.C인데도.
스타로 비교하자면 1.07로만 플레이하던 사람이 1.08에 적응되있는
고수들을 상대로 무패를 기록한 거죠.  
또한 철권도 상당한 실력이고, 액시즈 대회에도 출전했으며.
스타크래프트 초창기에 그 당시의 프로게이머들과 대등한 경기를 벌였을 정도입니다. 어떤 게임이든간에 최고의 센스를 가졌다고 일컬어지곤 하죠.
임요환이 현재 최고의 명성을 자랑하는 스타크 플레이어긴 하지만 신의욱은 한 게임을 5년 이상 최강의 자리를 유지했으며, 그 외 다수의 게임도 상위급입니다.

스타크래프트만이 유일한 게임이다......라는 분들에게 시야를 넓혀보라는 뜻에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뭐, 스타크래프트와는 관계없는 이야기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신의욱 선수..'꼬마 아키라' 로 유명하죠-0-
강남역 오락실(지금은 없어졌지만)에서 장발의 그가 아키라를 하는 걸 보고 반해서-_- 저도 초보자용라우에서 여태 고수용 아키라로 뻘짓하고 있는중입니다-_-;;;

온겜넷서 옵저버 하시는거 까지는 뵈었는데 역시 가닥이 있으신지 잘하시더군요^^

게임 잘하시는 분들이 다 인정한답니다 그의 게임 감각을 말입니다. 특히 버파같은 게임에 대한 감각은 우주 최강!! 이라더군요-.-
김두한
갑자기 신의욱 군 야그가...아키라키드 신화죠...버파게임의 세계최강...버파2의 아키라키드의 아키라 캐릭이 무적이라 게임 제작사인 세가에서 버파 3에서 아키라를 약화시켰다는 풍문도 있었죠. 버파4 100인쿠미테(100명 상대로 도전받기) 에서 81승 19패... 그 패들도 초반의 패지 몸풀리까 승률 높아졌고...이 분이 온게임넷도 나왔군요..
02/04/17 18:29
수정 아이콘
더 대단한 것은 그 81승 19패의 기록도 일본의 둥근 레버에 적응이 덜 되어있을 때 세운 것이라는 거죠. 사실 국내에선 스타, 좀 더 확대해서 RTS장르의 게이머가 주를 이루는데 이런 격투게임의 플레이어들도 빛을 봤으면 좋겠습니다.......또 PS2정식 개방도 했는데 그란트리스모 대회라던가 위닝6(이제 일주일이다~!)대회도 있었으면.......
과일파이
WCG는 다음 대회에 버파4를 추가시켜라!!+_+/
김명훈
재밌는 생각이시네요....WCG에 비디오 게임도 포함한다면 한층 재밌어질듯....일본인들이 많이 올테니 외화벌이도 되겠구요..^^
드랍쉽은 날.아
글세요. 그래도 전 광빠라서
임요환에 1표.
제 생각엔 모른다고 생각이됩니다.
항즐이
02/04/18 04:46
수정 아이콘
아키라 꼬마 신의욱 군이 제가 고3인 97년에 일본에서 우승했을때 인터뷰가 인상적이었죠. "국내 예선에서 우승하는게 훨씬 어려웠다." -_-;;
madjulia
스타만큼 대중적이진 못했지만 아케드도 많은 스타들을 배출 했었드랬지요-_-.
저기 말한 의욱이나. 익수군 같은분들이 대표적인분인데
알만한 분들은 아실겁니다 익수군은 철권 세계대회 우승자구요 의욱이는. 버파 3까지 재능을 보여주다가 철권을 해버리는바람에-_- 조금 .. 근데 요즘은 겜티비 버파4 해설자로 나오더군요.
아실만한 분들은 아실겁니다. 97년전에도..
지금의 방송이나 그런거 만큼은 못하지만
뒤에 갤러리들 모인상태서 젝키 기술하나에 열광하거나 헤이하치 풍신한방에 열광하던 게이머들이 있단 사실을
걍 옛날 생각나서 몇자 긁적여 봤네요^^;;
나도화랑
madjulia 님.. 참고로 장익수군은 세계대회 출전을 한적이 없죠. 사실상 세계최고는 분명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석동민군이 처음 세계대회에서 우승을 했고 그담에 장익수군이 우리나라에서는 우승을 했지만 장수원군이 세계대회에 대신 나가서 우승한걸로 알고있습니다.(자세한 내막은 모릅니다만...ㅡㅡ;)
목록 삭게로! 맨위로 수정 삭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296 마엘스톰과 사이오닉스톰을 조합하여 [8] 유희1697 02/04/18 1697
2295 " 파이트 클럽" 진짜 재밌던데여..^^ 왕마귀1345 02/04/18 1345
2294 고수의 핸디캡.. [9] damyo1449 02/04/18 1449
2293 예선전 성적이..... [3] 비오는소리1221 02/04/18 1221
2292 김정민선수의 오래된 인터뷰 내용 (2000년 가을) -펀글- [4] Rodeo_JuNO1500 02/04/18 1500
2286 음.. 사족하나 달면. [1] 희상이아빠2584 02/04/18 2584
2285 걱정해 주시는 분들이 고마워서... [23] p.p2176 02/04/18 2176
2284 헉.. 지금 gembc에.... [10] 항즐이2534 02/04/17 2534
2283 브루드 워 숨겨진 미션 [19] 유희5888 02/04/17 5888
2282 그런데 왜 커프리그는,.. [1] 최형도1457 02/04/17 1457
2281 엄청난 설문조사(?)-_-; [19] -_-공부최강자1687 02/04/17 1687
2280 [주간동아]저 많은 ‘게임보이’들을 어찌할꼬 [42] 총과장미2138 02/04/17 2138
2291 [re] [kid] 펀글 러쉬를 마치며.. [8] kid1186 02/04/18 1186
2290 [re] [kid] 조용준 기자님께.. [펀글 러쉬 04] kid1299 02/04/18 1299
2289 [re] [kid] 조용준 기자님께.. [펀글 러쉬 03] kid1265 02/04/18 1265
2288 [re] [kid] 조용준 기자님께 [펀글 러쉬 02] kid1278 02/04/18 1278
2287 [re] [kid] 조용준 기자님께.. [펀글 러쉬 01] kid1280 02/04/18 1280
2278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11] 승민아빠1296 02/04/17 1296
2277 kpgr 결승전 4게임 모두 세로 아니면 가로로 걸렸다 [1] 김현1193 02/04/17 1193
2276 [스포츠투데이기사]전용준 "더이상 오버하지 않겠습니다" [4] Dr. Lecter1688 02/04/17 1688
2275 프로게이머... [5] bangdol11349 02/04/17 1349
2273 프로게임계가 사는 방법....... 단 한가지의 방법 [9] Naosella1390 02/04/17 1390
2271 국내최고의 게이머 [9] 유희4535 02/04/17 45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