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28 23:58
과거에 뭐뭐했다면 과거에 이러저러했을것이다.
가정법은 3개가 있는데...가정법, 가정법과거, 가정법 과거완료 a라면 b일것이다. 에서 과거에 뭐뭐해서 지금이렇다가 가정법/ 과거에 뭐뭐했다면 과거에 이러저러햇을것이다 가정법과거/ 더옛날에 이러저러했으면 과거에 이러저러할것이다./가정법과거완료인걸로 알고있습니다.
10/04/29 00:04
S + V + as if 가정법 과거(S + 과거동사 or 조동사 과거 + 동사원형)
S + V + as if 가정법 과거완료(S + 조동사 과거 + have p.p) 앞의 S + V 가 직설법이고 as if 이후가 가정법이라고 생각하시면 직설법 부분과 가정법 부분의 시제가 일치하면 as if 이후에 가정법 과거 쓰시고 직설법 부분보다 가정법 부분의 시제가 앞선 시제면 as if 이후에 가정법 과거 완료 쓰시면 됩니다. 솔직히 위의 해설을 보면 저도 좀 헷갈리네요.(제가 배운 거랑 방식이 달라서 그런지 몰라도 말이죠.)
10/04/29 00:14
검색해보니 적당한 설명이 있는 듯하여 가져옵니다.
'as if' 앞뒤 동작의 시점이 일치하면 가정법 과거를, 'as if' 뒤에 오는 동작의 시점이 먼저이면 가정법 과거 완료를 쓴다. You sound as if you were my mother.(너는 마치 내 어머니처럼 말을 한다.) You sounded as if you were my mother.(너는 마치 내 어머니처럼 말을 했다.) You look as if you had seen a ghost.(너는 마치 귀신이라도 봤던 것처럼 보인다.) You looked as if you had seen a ghost.(너는 마치 귀신이라도 봤던 것처럼 보였다.) 지금 말하고 있는 과거 시점에 다리가 붙어 있었던 것 같다는 거니까 가정법 과거를 쓴다는 거죠. d번이라면 한 한시간쯤 전에 바닥에 붙어있었던(혹은 그때쯤부터 붙어있어왔던) 다리처럼 느껴졌단 이야기가 될 겁니다. 뭐, 굳이 못 쓸 건 없지만, 좀 이상한 이야기가 되죠.
10/04/29 03:58
have p.p 계열은 대체로 상황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데 목적을 둡니다. 시간축 자체에 목적이 있는 건 아닙니다.
I saw a cat. (고양이를 봤어. 지금도 보고 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과거"에 봤다는 뜻 전달이 목적) I've seen a cat. (나 고양이를 봤어. 고양이를 봤다는 상황/상태가 중요. 즉 고양이 본 적 있다는 거죠) 그래서 앞문장은 보통 이런 느낌이죠. I saw a cat yesterday (나 어제 고양이 봤어). 아랫문장은 이런 느낌이죠. I've ever seen a cat before(나 전에 고양이 본 적 있어). 현재완료는 그 상황/상태 시제가 현재인 것이고, 과거완료는 과거인 것이죠. 위 지문에서 (d)를 붙이면 뜻이 어색해집니다. 다리가 바닥에 붙었던 일이 있었고 그 상황과 상태는 어떤 시점(과거)까지 그 상태가 유지 됐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 문장이 되려면 뒤에 상황을 부연하는 추가 상황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가령 엄마가 나를 부르기 전까지(before my mom called me)라든가.
10/04/29 04:15
근데 앞에가 과거니까 뒤에도 당연히 시제를 맞춰줘야 하니 b를 골랐으면 막장인가요?
해석이야 분석을 안해도 시제 따라 하면 자연스럽게 되고요. 이런식으로 하면 틀리게 되는 경우도 생기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