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23 00:55
제일 마지막입니다.
일단 확률 자체가 0≤P(x)≤1 이므로 1번과 3번은 모두 통과입니다. 만약 waterword님이 말씀하신 이유대로 1번이 틀리다면 3번도 틀린 것이겠지요. A집합과 A의여집합의 1은 반드시 1입니다. 확률의 조건에 관한 것이건 아니건 저건 절대로 틀릴 수 없는 규칙입니다. 4번은 확률의 합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 같은데 특정 사건들의 합을 합한 것은 1을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교집합이 될 확률을 빼줘야 그 합이 1이 되는 것이죠. 4번이 항상 옳은 명제가 되려면 상호배반사건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합니다. 교집합의 확률이라면 아무래도 확률의 조건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가 있겠지요.
10/04/23 01:00
그렇군요 어중간하게 알다보니 1을 넘어선다고는 생각못하고 확률의 합은 무조건 1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일단 위에 틀린글은 삭제해야겠네요
10/04/23 01:04
대학교 수학과 수업 몇개 줏어들으면서 학부 확률론이나 확률과정 배울때는 사실 시작이라 할 수 있는 probability space 나 measure space 에 대한 엄밀한 정의없이 넘어가도 문제없었는데, 나중에 고생하게 되더군요.
책에 잘 안나와 있거나, 안 배우고 넘어갔으면 나중에 시간 있으실 때 http://en.wikipedia.org/wiki/Measure_space http://en.wikipedia.org/wiki/Probability_space 요기부터 시작해서 한번 익히고 넘어가는 것도 좋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