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4/22 17:35:52
Name 빛속의어둠
Subject 글을 길게 쓰는 노하우가 있나요??
레포트때문에 시달리는 대학교 1학년입니다. ㅠㅠ
근데 보면 레포트 분량이 진짜 장난 아닌데 글을 진짜 길게 못쓰겠거든요...
고등학교때도 글 분량때문에 10점받을꺼 9점받고 그랬거든요..
혹시 글을 길게 쓰시는 노하우가 있다면 가르쳐주세요 ㅠ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izardMo진종
10/04/22 17:40
수정 아이콘
설명을 자세하게 하면 되지 않나요? 그게 더 어렵죠. 긴설명도중에 하나 잘못 나가면 끝이니까요.
분량때문에 점수가 떨어지기 보다는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팩트하나를 놓치신게 아닐지;;

과목이든 교수든 요구하는 바가 다르죠. 포인트 하나만 잡기를 원하거나 주절주절 쓰기를 원하거나. 그걸 파악하는게 우선일듯 합니다. 공대에선 길어봐야 소용이 없거든요;; 문과대는경험을 못해서 패스,,
10/04/22 17:43
수정 아이콘
글은 줄이는 것보다 늘리는 게 어렵습니다.
일단 적정 분량보다 30% 정도 더 쓰는 걸 추천합니다.
그러니 쓰고 싶은 말은 일단 다 쓰고, 이후에 불필요한 것들을 지워나가는 거지요.
뭐 많이 쓰다 보면 늘리는 스킬도 생기기는 하지만, 쓰고 싶은 거 다 쓰고 불필요한 부분을 지워나가는 게 훨씬 수월합니다.
츄츄다이어리
10/04/22 17:45
수정 아이콘
저도 고학년은 아니지만 굳이 노하우랄 것이 있다면, 자료수집이 무엇보다 중요해요.(인문적 글쓰기의 경우)
글은 영감이 아니라 자료로 쓰는 거랍니다. 최대한 많은 자료를 평소에 쌓아두는 게 중요해요.
그리고 글을 쓰기 전에 최대한 개요를 정교하게 짜세요. 주장하는 바에 대한 근거를 항목별로 2가지 이상은 붙여주는 게 좋아요.
예상되는 반론 같은 건 미리 생각해 두었다가 글에 덧붙이시면 분량은 물론 글의 완성도도 올라가는 효과가 있답니다.
왜자꾸시비네
10/04/22 17:49
수정 아이콘
군더더기나 중문 복문을 마구 넣어서 강제로 잡아늘이는 방법이 있겠구요.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체적으로 쓰기 싫은 글을 써야할 때 짧아집니다. 쓸거리를 늘리는게 근본적인 해결책이죠.
10/04/22 18:06
수정 아이콘
글도 말도 그렇지만 아는 만큼 쓸말과 할말이 많아지는 법이더군요..;
주제에 대해 떡밥(?)이 될 만한 요소들을 많이 찾아보세요-
고래밥
10/04/22 18:16
수정 아이콘
정말 안된다 싶으면 한글에서 전부다 블록지정 하시고 Shift+Alt+Z!!
The xian
10/04/22 18:25
수정 아이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제에 대해 되도록 자세하게 조사하면 글은 자연적으로 늘어나더군요.
그만큼 쓸 거리가 많아지니까요. 글은 자료로 쓰는 것이 맞고, 아는(혹은 떠오르는) 만큼 쓸 말과 할 말이 많아집니다.

그런데 저의 경우로만 한정하자면 저는 초등학교 때부터 글을 늘리는 것보다 줄이는 데에 상당히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처음에 글쓰기를 배우게 된 동기나 타고난 성향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 것 같습니다.
켈로그김
10/04/22 18:26
수정 아이콘
일단 띄어쓰기를 철저하게 지켜주시고요.
자간확장, 글 크기 11~12정도로 살짝 확대하시고요.
음.. 그러게 말입니다..;;
빛속의어둠
10/04/22 19:28
수정 아이콘
ㅠㅠ 수시 논술 쓸때도 생각나네요 그 때도 분량 채울려고 땀 뻘뻘흘렸는데; 결국 광탈;; ㅠㅠ

기말의 사나이가 되야겠네요!
ChojjAReacH
10/04/22 21:28
수정 아이콘
일단 글을 쓸 때의 주제를 바탕으로 목차를 생각해두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뭘 적어야될지 감이 잡히거든요. 그냥 즉흥적으로 쓰다보면 생각 못하고 빼먹는것도 있고 그런데 뭘 해야하는지 정해져있으면 거기에서 자료를 더 찾을 수 있고 좋은 점이 많죠. 글도 좀 더 논리적이게 구성되구요.
9th_Avenue
10/04/22 22:28
수정 아이콘
음.. ChojjAReacH님의 의견이 도움이 되시겠네요. 글은 사실, 간략하고 짧게 줄여서 쓰는게 정말 극악의 난이도 입니다.
점차 학기 지나시면서, 자료수집하는 노하우를 익히신다면, 관련자료의 양은 어마어마해질거예요..
문제는 그 자료를 어떻게 논리적인 방법으로 편집을 해서, 하나의 글로 만들어 내는 부분입니다. 가끔씩 교수님들이 분량제한
주지 않으시는 레포트가 있는데, 그런 레포트는 통상 15~20p정도 해가시면 됩니다. 그 이상은 오바에요.

평소 레포트 내서 거의 최고점만 받았던 나름의 노하우는, 남들이 길게 자료로 승부 할 때, 독특한 자료 + 교수님이 수업시간 언급한
방향 ..나만의 시각.. 뭐 이런 걸 기준으로 글을 썼습니다..
절대 많이 쓴다고 좋은 레포트는 아니니까요.. 지금부터, 늘리는 것을 의식하는 것 마세요. 학년이 올라갈 수록 자연습득합니다.
다만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방법만 신경써주시면, 4학년때는 레폿 마스터!!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878 실의에 빠진 친구를 위한 책 추천해주세요.. [10] StepByStep1826 10/04/22 1826
79877 만화의 한장면인데 알려주실분 [6] StarT2142 10/04/22 2142
79876 남녀 관계의 미묘한(?)상황에 대해 질문드려요~ [26] 신민아2540 10/04/22 2540
79875 최근 10경기 질문입니다 [3] X맨2093 10/04/22 2093
79874 체중감량? 헬스 관련 질문입니다. [8] CreativE2225 10/04/22 2225
79873 만능 pgr, KTX 예매 관련 질문입니다 [2] 그랜드2116 10/04/22 2116
79872 지금 일본에서 접속 중이신 분... [8] nicht1916 10/04/22 1916
79871 MSL 다시보기는 주로 어떤 경로로 하시나요? [3] 또치2863 10/04/22 2863
79870 안전거래 질문 여쭤봅니다. [3] 현상1755 10/04/22 1755
79869 가끔씩 핸드폰이 문자 수신을 못하는 것 같습니다. [2] airmoo2171 10/04/22 2171
79868 전자책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1] 비내리는숲2117 10/04/22 2117
79867 이 꽃들의 이름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6] 싸나이로망1747 10/04/22 1747
79866 글을 길게 쓰는 노하우가 있나요?? [11] 빛속의어둠5661 10/04/22 5661
79865 게임 이론과 생물학(진화 생물학, 집단 생물학)에 관련된 도서 추천 바랍니다. [2] 멍멍깽깽꿀꿀2460 10/04/22 2460
79864 1Q84에 대한 질문입니다. [11] 슈슈2406 10/04/22 2406
79863 MS 엑셀 그래프 질문입니다. [2] KnightBaran.K2106 10/04/22 2106
79862 마구마구 설치오류질문드립니다. [2] o파쿠만사o3053 10/04/22 3053
79861 자게에 "정장" 관련 글을 찾습니다!!!유유 [6] 뒤질랜드2273 10/04/22 2273
79859 4/21텍크 박상현캐스터 입은 정장 관련요.. [1] 상한우유2237 10/04/22 2237
79858 창피한지만 한가지 질문할께 있어서 글을올립니다, [3] 쟈이로우a2100 10/04/22 2100
79857 호환이 안되는 CPU와 메인보드를 사용중입니다. [2] 클라세2305 10/04/22 2305
79856 토익시험볼때 지우개로 답 수정할때... [2] Yuki3723 10/04/22 3723
79855 기업은행무통장입금에대해 [3] 오월2501 10/04/22 25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