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22 20:37
글쎄요~ 게임이론의 태생이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니 만큼 진화게임이론의 시작은 동물의 행태연구였지만 발전하면서는 결국 인간으로 돌아왔지요. 'Evolutionary' 라는 키워드를 가지지만 사회과학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책들이 대부분인데요. 이런 책으로는 "이타적 인간의 출현" 을 읽어보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실망이었고, 얼마전에 같은 저자가 쓴 "게임이론과 진화 다이내믹스" 라는 책이 있던데 목차만 봐도 실망이어서 스킵한 기억이 있습니다. 번역서 또한 잘 안 보이네요 :)
원서가 괜찮으시다면 아싸리 이 분야의 대가이자 왠지 경제학자의 최고봉에 있을것만 같은 이름인 존 메이나드 스미스의 Evolution and the Theory of Games 를 보셔도 괜찮겠네요
10/04/22 23:57
매트 리들리의 [이타적 유전자] 추천해 봅니다. 리처드 도킨스옹의 추천사가 붙어있는 책이죠. 게임이론적 접근도 책 중간 즈음에 나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게임이론이 메인인 책은 아니고, 진화론-생물학 쪽으로 유명한 저자의 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