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4/18 20:59
고1인데 무슨 문/이과 타령하세요 -_-;; 고2때 문/이과 결정하잖아요.
제가 서강대 경영학과 다니는데요. 아직은 1학년이죠 -_-; 여튼 경영학 공부도 장난 아닙니다만 -_-;; 공대보다야 낳겠죠^^; 돈관리하는과는 재무과를 말씀하시는것 같고 경영이라함은 무조건 사람만 관리하는게 아닙니다^^;;
05/04/18 21:01
경영학과 대학교 교재 한번 봤는데 왠만한 이과생들도 손도 못대는 문제들 많습니다. 수2에 나오는 공식이나 그래프 투성이고 고등학교 때 이과에서 수학 꽤나 했다는 친구들도 설설깁니다.
05/04/18 21:02
경영학과는 문과쪽이죠.. 학교에 따라서 이과를 받아주는 곳도 있고 안 받아주는 곳도 있습니다만, 보통은 문과로 가는게 유리합니다. 과학은 전혀 상관 없고요.. 수학을 가로 선택하느냐 나로 선택하느냐에서 가로 선택해서 잘 치면 더 좋다는 식입니다.
경영학과에서 진로는 다양합니다. 아마 가장 진로가 다양한 분야인 듯 해요. 경영학 전공으로만 따질 경우 일반적 기업 취업시 기업형 인재의 경우 인사, 조직, 마케팅 등의 프로젝트 쪽으로.. 관리형 인재의 경우 재무, 회계쪽으로 진로를 잡습니다. 물론 컨설팅 펌, CPA가 각각의 최고 꽃이라고들 이야기 되고요.. 사(私)기업 취업을 고려할 때에는 대기업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사시에는 MBA를 기업에서 보내주기도 합니다. 요즘은 주요 대기업들은 우수인재우선양성제도를 다 가지고 있고요. 행시, 사시 같은 고시분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금융권(은행, 국책금융공사, 증권사, 투자IB 등) 진출도 모색하고요. 문과쪽 사회, 국사 등은 그저 외우면 됩니다 -_- 외우고, 개념정리 해주고.. 암기하고.. 이해하면 되죠. 흐름표를 그릴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됩니다.
05/04/18 21:04
저희 학교의 경우 경영학과에서 배우는 수학으로는 행렬, 미분 등의 심화된 단계를 배웁니다. 문과에서 가르치는 건데도 예전 6차 교육과정의 자연계 수학II 보다 어렵습니다 -_-;; (물론 수II 했을 경우 쉽게 진도가 나갑니다.) 수학을 배우는 이유는 계량, 생산 등을 다루기 위해서이니.. 필수적입니다. 비록 EXCEL이 계산해 준다고 해도..
05/04/18 21:05
경영은 큰 맥락으론 인사관리 재무관리 마케팅 생산관리 등으로 나뉩니다. 이과의 교차 지원이 가능한 곳도 많긴하고요... 일반적으로 인기학과 축에 속하는....; 음.... 지금 1학년이라 잘은... 모르지만 계량경영학이나 회계쪽에 수학이 꽤(?) 필요 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05/04/18 21:10
회계에 수학은 그렇게 필요가 없습니다. 어차피 계산기 들고 시험치는 과목인데다, 쓰이는 수학적 툴도 그리 고차원적인 수학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회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좌변과 우변이 딱 맞게 떨어지게-_-;; 덧셈뺄셈을 잘해주는게 어쩌면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죠. 계량경영 쪽에는 수학이 필요하긴 합니다만, 정작 계량경영때에는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다 계산해 주죠; 물론 그 수학적 원리, 수학적 모델, 관련 그래프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학을 배워야 하는데, 사실 따지고 보면 수학이 가장 압박스러운 것은 계량경영 이전의 기본 교양과목으로 수학을 들었을 때였습니다-_-
05/04/18 21:20
날라리 대학생이지만 경영학도의 입장에서 수학이 크게 필요한 학문까지는 아니라고 봅니다. 차라리 경제학과쪽이 훨씬더 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죠. 경영학에서 그나마 숫자 쓰는게 계량경여학, 회계, 재무 쪽인데 회계, 재무는 사실상 사칙연산만 잘해도 문제 없고(물론 다른쪽으로 많이 공부해야 하지만..) 계량 경영학도 그다지 수학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잘 안들더군요. 그나마 가장 많이 쓰이긴 하지만... 뭐 학교마다 다른 부분까지는 뭐라 말씀 못드리겠구요.
05/04/19 01:15
공대 가셨다가 경영 쪽 공부한후 MBA하고 그쪽으로 진출하는것도 좋다고 하더군요. 고려대 이필상교수님도 유명하신 분인데 공대 출신이라죠;;
05/04/19 17:23
Live or Dream님//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한양대 등 소위 명문대라고 일컫는 대학들은 모조리 사탐지정입니다. -_-; 과탐 교차지원 불가능합니다.
05/04/20 17:18
바카스님 고1인데 문/이과 타령해서 죄송한데요-_- 미리 결정해 놓는 것도 나쁘진 않겠죠.
댓글을 읽어보니 문과로 공부해서 대학가거나(인서울) 이과로 공부해서 공대 후 MBA하고 취직. 이 두 가지 인 것 같은데 어느 쪽이 더 좋은지 감이 안 오네요. 그리고 공대라 함은 그 무서운 공대..? 덜덜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