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2/14 00:01:14
Name 마음속의빛
Subject 조립식 컴퓨터를 장만하게 되면...
안녕하세요 마음속의빛 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네티즌입니다.

제작년 6월쯤에 컴퓨터를 하나 장만했었는데, 그 컴퓨터를 집(부모님과 동생이)에서
사용할 것 같습니다.

사실, 컴퓨터 있어봤자 동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을 하는 정도로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라 비싸게 돈 주고 컴퓨터 장만하기가 싫지만
막상 없으면 허전한게 컴퓨터라....
(ㅜ.ㅜ 이해해주세요..)

인터넷에 떠도는 글도 보고, 얼마 전 이곳 pgr21에서도 조립식 컴퓨터에 관한
글을 읽은 적이 있어서 이번에는 조립식 컴퓨터를 장만할까 생각중입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돌아다니다보니 [아싸컴]이라는 사이트에서
광고하기를
초보인 제가 보기에는 엄청난 고사양의 컴퓨터...(램이 높아보여서...)
가격이 50만원대...

이정도 성능에 이정도 가격이 보통인가요?

집에 imf 이전부터 사용하는 컴퓨터도 있는데
여태 고장나서 a/s 해본적이 1번도 없을 정도입니다.

이제 갓 1년 넘은 컴퓨터도 아직까지 별다른 고장은 없구요..
그래서 조립식 컴퓨터(가격대 성능비가 높다고 해서)에 대한
구매욕구도 꽤 높아지고 있는데...

50만원대에 꽤 높아보이는 사양의 컴퓨터가 눈에 띄어서
저게 평균적인 건지 물어봅니다.
(혹... 메인보드 같은 초보가 알기 어려운 부품은 쓰잘데기 없는 부품으로 구성??)

딱히 3d 게임을 즐기는 편은 아니지만,
최근 온라인 게임이 3d 추세다보니 언젠가 3d 게임을 할 지도 모르는 상황이구요.
워크레프트3 유즈맵세팅으로 만든 [카오스] 게임을 간간히 즐기는 편입니다.
pc방처럼 원활하게 게임하고 싶어요~~

조립식 컴퓨터에 대해 잘 아시는 분 있으시면 설명 부탁드려봅니다.
^^;; 기왕이면 부품 설명이나 기능도...

(자자.. 컴퓨터를 잘 아시는 분들께서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실 찬스입니다.
주저마시고 최적화된 세팅을 구상해보세요..^^;;)


* homy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02-14 13:2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oxeR-Timing'
05/02/14 00:08
수정 아이콘
윽... 글픽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데 5200이면 리니지2가 한계가 될것 같네요. 5700만되도 제가 지를텐데-_-ㅋ
minyuhee
05/02/14 00:15
수정 아이콘
다나와(www.danawa.co.kr) 온라인견적서를 이용하시면 좋습니다.
추천은
cpu 샘프론 2400-2600
메인보드 샘프론용 메인보드
램 DDR 3200(램의 속도) 512M
그래픽카드 라데온9550
illusionphoenix
05/02/14 00:16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제가 컴터 조립했는데요...참고하세요~

AMD 애슬론64 뉴캐슬 3000+
Chaintech ZNF3-250 (Zenith)
DDR 삼성 512M PC3200 * 2
ATI Radeon 9550 EVERTOP Saint EX
Seagate 120G 7200rpm (7200.7) 정품 (8MB)
CD-RW 삼성 52X SW-252F 블랙
삼성전기 DT-35 블랙
GMC H60 (풍)
Heroichi HEC-350AR-T (Reform)
스피커 Britz BR-2100S 블랙
삼성전자 싱크마스터 177T

제가 막귀라 스피커는 대충 샀구요. 하드가 좀 아쉽긴 하지만...
암튼 저렇게 해서 125 정도 들었습니다. 3주정도 됐는데 전에 펜3쓰다가 써서 그런가(-_-;) 굉장히 만족하면서 쓰고있습니다.
05/02/14 00:1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원래 저런 제품이나 대기업 제품들은
잘 모르는 소비자들도 대충 아는 cpu나 램은 좋은걸 쓰죠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파워 등등 중요한 요소들이 많아요.
www.kbench.com 이라는 사이트가 있거든요 여기 드가서 커뮤니티 드가보세요 정말 좋은사이트
www.danawa.co.kr (맞나?)여기는 부품별로 최저가 사이트 소개
그러니 직접 부품 선택하셔서 사세요
아 대부분 사이트 들에서 추가금 조금만 내시면 조립까지 해서 보내줘요
저도 그렇게 삿죠
05/02/14 00:18
수정 아이콘
minyuhee // 저랑 사양 똑같으시다는 ㅋ
저는 11월달에 구입햇어요 ~ 정말 신기하게 이떄까지 다운 한번도 안됫다는 --
적 울린 네마리
05/02/14 00:20
수정 아이콘
다나와 온라인 견적으로 저 사양에 들어있는 제품으로 뽑아보니
약 \595,000..나오네요

저 사이트 보니 옵션이 있던데 파워, 그래픽, 보드 정도만 약간 씩 업글하시면 최고사양이 될 듯 한데요...
부러운 사양이네요~
스팀먹은마린
05/02/14 00:21
수정 아이콘
CPU 19만원 램 15만원 글픽카드 5만원 하드 5만원 메인보드 4만원 RW 3만원 케이스+파워 3만원 정도 들었겠네요.. 업체가 5만원은 챙기는군요.
prestonia
05/02/14 00:22
수정 아이콘
하드도 5400rpm 짜리면 대략 낭패.
적 울린 네마리
05/02/14 00:25
수정 아이콘
질게로 가야하지만, 리플에 묻어가면서 질문하나 드릴께요.

최근에 제 컴이 갑자기 재부팅이 됩니다. 그것두 자주~
그러고선 혼자 scandisk하구.. c:에 FOUND.000~059란 폴더가 생기고 복구된 파일조각이라는 파일이 생기네요~
하드를 싹 밀고 다시깔아도 똑같구..
도와주세요~

묻어가는 질문이었습니다.
ComeAgain
05/02/14 00:32
수정 아이콘
전 6600GT 했습니다. ;;
'BoxeR-Timing'
05/02/14 00:36
수정 아이콘
6600GT 어디께 좋나요. 전 스파클로 하려 하는데..
Grateful Days~
05/02/14 00:42
수정 아이콘
컴퓨터는 언제나 살때의 용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앞으로(!) 뭘하게 될지도 몰라서라는 건 사실 별 필요없습니다. 워3 카오스. 뭐 왠만한 3D오락도 인텔셀러론 칩이나 AMD 샘프론 칩으로 제대로 돌아갑니다. 괜히 3.0이런 수치에만 현혹되시지 마시고.. 진정으로 좋아야하는건 저기 나와있지 않은겁니다. 메인보드, 파워같은게 오히려 더 신경써줘야하는것들이죠.. 가격이 싸서 관심이 가시나본데.. 괜히 비싼 AMD 윈체스터 칩이나 인텔 프레스캇 필요없이 그냥 셀러론이나 샘프론 사용하시다가 정말로 필요할때 바꾸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오히려 그 차액을 저같으면 모니터에 씁니다. 컴퓨터 사용하면서 가장중요한건 눈이 피로해지지 않게 해주는것. 19인치 lcd도 이제 살만하죠. ^^ 40만원대면 좋은것들 많으니. 램과 그래픽(비쌀필요없이 9550 10만원)만 받쳐주면 왠만한 오락 다 돕니다. (사실 어지간한 사람들 컴퓨터 필요 용도가 그렇게 전문적인분들이 거의 없어서.오락이죠 거의다.)
뭐 추천은..
cpu 샘프론 2400 (최고의 저가형 CPU - 정말 컴퓨터 빡세게 사용하시지 않으신다면 3.0이나 아무런 차이없습니다. 좀 맘에 안들면 오버클락하세요 ^^ 쉽습니다. parkoz.com에가시면 나올겁니다.)
메인보드 샘프론용 메인보드 (찾아보시면 나올겁니다. 4-5만이면 끽.)
램 DDR 3200 512M 혹은 1024M( 하지만 1024가 그렇게 필요할거라고 생각되진 않는군요.나중에 업글 하세요. ^^ )
그래픽카드 : 라데온9550 (10만원 -_- 적정가 -> 예전엔 게임은 지포스, 동영상쪽은 라데온. 하지만 요새는 그런 개념없습니다. )
하드 : 가격대 성능비가 짱인건 160G. (하드는 좀 크게 사세요. 뭔가 보려고 해도 요새는 용량들이 원채 커놔서리. )
파워 : 스카이 디지탈 325W정도면 넉넉할듯.
케이스 : GMC(H60-풍)이 참 시원하게 생기고 좋습니다. 뭐 이건 선택사양일듯.)
ODD : 하드가 80기가도 만족하시려는거 보니까 목적이 대용량으로 영화나 드라마, 애니 같은 것들을 모으시진 않으시려나 보군요. 그게 목적이라면 DVD-RW도 추천. 10만원대 초반이면 괜찮은것들 많습니다. 플렉스터나.. 가장 안정적이라고 추천하는건 파이오니아지만. 대용량 데이터 저장이 목적이 아니라면 그냥 5만원짜리 DVD-COMBO나 그냥 CD-RW.
본체 다 해서 40만원대면 충분. 믿을만하다고 추천해주는 곳에서 한번에 주문하면 조립비 2만원포함.
FTossLove
05/02/14 00:53
수정 아이콘
딴소리지만
저 광고 무지 웃기네요.
삼성 컴퓨터도 아닌데 "삼성CD-RW"라고 크게 써 붙여놓다니..
그렇게 "삼성"이란 말을 갖다 붙이고 싶었었나?

삼성컴퓨터는 좋지도 않은데...하여간 이름값이란...
05/02/14 00:56
수정 아이콘
59만원으로 저런 사양이면 돈버리는겁니다~
마음속의빛
05/02/14 01:13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드립니다. ㅡ.ㅜ
夢[Yume]
05/02/14 01:26
수정 아이콘
저도 3개월 정도 기간을 거쳐서 샀더랬죠
견적 써보고 괜찮은지 물어보고 수정하고,,
10개월정도 전에 샀는 컴퓨터,,잘 돌아가서 너무 좋아요^^;;
그당시에 잘나가던 amd 바톤 2500+으로 질렀드랬죠
메인보드가 안좋은걸 사서 안타깝긴 하지만,,,;;(애즈락)
글픽카드는 웬만한거 다 잘돌더군요~(ati radeon 9600 pro)
친구가 지포스4mx440으로 페르시아 샌드오브타임 못돌릴때 화려한 그래픽으로 게임을 즐기는 그 감동-_-;;
마음속의빛
05/02/14 01:32
수정 아이콘
친구가..게임을 제대로 즐기지 못할 때 옆에서 유유히 게임을 하는
[Yume]님의 모습을 상상하니...푸웃~ ^^;;
Grateful Days~
05/02/14 01:42
수정 아이콘
[Yume] 님// 바통과 애즈락콤비도 좋지 않나요? 굳이 오버클락하실거 아니라는 전제하에선 ^^ (뭐 전 Abit-NF7이지만..)
마음속의빈 님// 천천히 여유있게 생각하시고 꼼꼼히 알아보고 사세요. 컴퓨터는.. 앞에 분처럼 3개월까지는 아니더라도.. 1주일정도는 잘 알아보고 사실 생각해야합니다.
안티테란
05/02/14 02:19
수정 아이콘
6600GT 싼맛에 e엠텍 샀는데 쓸만...
보드는 Asus Gigabyte Abit 정도로...
코난보이
05/02/14 03:18
수정 아이콘
fx5200 = mx440 입니다..
위의 pc는.. cpu와 ram을 봐선 고사양이지만.. vga는 5년 전 게 들어가있습니다..
그리고 저 같으면 cpu는 amd64로 하겠습니다..
강은희
05/02/14 05:00
수정 아이콘
약간 좀 떨어지는 사양이긴 하네요..근데 램은 1기가 짜리 살 필요가 없는데...cpu도 별로고(요즘은 amd가 대세) 그래픽 카드도 딸리네요. c드라이브도 요즘은 160기가 이상쓰죠. 200기가도 있는데..그래서 59만원인것 같네요.좀 더 최고 사양으로 맞춰도 7,80 만원 정도 나오더군요.나도 빨리 컴퓨터 장만 해야는데..
05/02/14 08:40
수정 아이콘
왠만하면 주변 아는 친구한테 부탁해서 조립식을 사시지.. 자기 입맛에 사양을 맞추기도 쉽고 가격도 조절이 가능하니까요. 제가 아는 선배가 홈쇼핑-_-에서 싼값에 판매하는 컴퓨터를 샀는데 사양이 좋긴 한데... 보드와 그래픽 카드가 맞지 않아서 좀 문제가 있더라구요. 싼값에 내놓는 완제품의 경우에는 값이 싼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겉으로 광고하지 않는 부분에서 말이죠.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snookiex
05/02/14 09:04
수정 아이콘
적 울린 네마리 님께 // 아마 하드에 배드섹터가 있는 것 같네요....
Grateful Days~
05/02/14 09:13
수정 아이콘
일단 저런 컴퓨터의 공통점.. 다른 부품은 몇년전것들.. 메인보드는 사람들 잘 안사는 완전 허접들.. 하드도 어디껀지 모르겠네요. 설마 맥스터? ^^ 저런거 사면 이득은 단지 같은 지역이라 AS 받기 약간더 편하다는거?
05/02/14 09:18
수정 아이콘
특히 중고부품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한번 당함 ㅠ_ㅠ
하얀냥이
05/02/14 09:30
수정 아이콘
CPU는 샘프론(인터넷 서핑, 동영상, 간단한 게임)이나 AMD64(고사양 게임머신)로 많이들 하죠.
VGA는 저가형 게임머신이면 라데온 9550, 고사양 게임머신이면 6600GT로 많이들 하시는 듯합니다. (인터넷 PC라면 보드에 포함된 것을 그냥 써도 되죠)

개인적으로는 메인보드를 좋은 걸 사면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쓸 수 있어서 메인보드에 돈을 많이 들이는 편이고요.

다나와에서 표준PC로 검색하셔서 쇼핑몰에 조립을 맡기시면 위의 사양보다 더 싸고 좋게 나올거라 생각합니다.
夢[Yume]
05/02/14 11:32
수정 아이콘
Grateful Days~//바통이랑 애즈락콤비 잘 맞죠
근데 cpu꼽을때 무지 힘들었어요 이상하게 안맞더라구요,,
애즈락보드 사고나니 아비트보드 살껄 하는 생각도,,-0-(그때 한창 아비트보드 이상이 있다고 나돌던 시기라서 안샀지만,,;;)
용도가 정말 중요한거 같습니다,,애니메이션 소장해야하는데 120GB도 모자라는군요,, 담에 컴터사면 웬디 200GB사려고 생각중,,
Grateful Days~
05/02/14 11:35
수정 아이콘
[Yume] 님// 그냥 DVD-RW사세요 -_-;; 요새 싸요.. 공DVD도 싸고.
hyunman00
05/02/14 11:37
수정 아이콘
별로 유명하지 않은 사이트에서 저런 고가의 기기를 사는 것은 좀 위험할 것같은데요..특히...저렇게만 올려놓고 파는 경우에는 안에 메인보드와 각종 기기들이 맞지 않아서 충돌이 자주일어나는 경우가 많던데...결국 A/S도 잘 안해주고 그런다고 하던데....차라리 직접 컴퓨터 조립하는데 가셔서 물어도 보고 해서 직접 가서 사시는게 좋을 듯 보이네요..
FreeDom&JusTice
05/02/14 12:42
수정 아이콘
제가산 Lite on 저가형 DVD-RW 지금 5만7천원 입니다. 그리고 저기위에있는 3기가 시퓨가 프레스캇인지 노스우드코언지 아무 표시도 안되있네요 그리고 메인보드가 어떤건지도 안나와있구요 메인보드 싸구려쓰면 대략난감.. A/S얘기도 한마디도 업다는.. 너무싸다싶으면 자세히 알아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묵향지기
05/02/14 13:08
수정 아이콘
어제 컴퓨터 조립했는데 이런글 보니 방갑네요 ^^

저도 아무겁도 모르고 한달정도 눈팅하면서 고민하다가 삽는데

하드웨어 지식을 쌓을겸 다나와에서 계속 눈팅하다가 사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살때 한번에 좋은거 사서 업글안하고

오래쓰는게 좋습니다. 가격대비를 너무따져 너무안좋은

부품을 사면 사도 얼마안있어 뽐뿌 받습니다.

저같으면 cpu는 amd 300+맞추고 메인보드는 10만원안에 적당한거 램은 당연히 512mb이고 하드는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시게이트 120gb 8mb 글픽카드 저가는 9550 고가는 6600gt가 대세죠 이왕살꺼 6600gt사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cd롬은 lg cdrw 그리고 파워는 회사가 많지만 평이 괜찮은 회사의 350w이나 400w사면 괜찮습니다. 그리고 케이스는 저가중에 대세인 gmc-30이 무난합니다. 마지막으로 lcd는 싸게구입하실려면 중소기업알아보세요 크로스오버라는 회사에서 불량화소 무결점에다 디자인도 봐줄만해서 괜찮습니다.
05/02/14 13:39
수정 아이콘
지금 제 컴퓨터 조립할때에도 여기저기 많이 알아봤었는데 우선 발품이 가장 중요하겠죠

인터넷이니 눈팅이라 해야하나?

여하튼 여기저기 많이 알아보시고 위에 나와있는컴퓨터는 비추천입니다

전 4년전에 지금의 컴퓨터 조립해서 아직까지 쓰고 있습니다

물론 중간에 램이랑 하드는 확장을 했구요 그래픽카드는 고장이 나서 새걸로 바꾸면서 아싸리 좋은걸로 교체 했습니다

이런게 뒷바침될려면 메인보드가 중요하겠죠

메인보드는 비싸더라도 확장성이나 장래성을 따져보구사시구요

앞으로 2년후쯤에는 한번 업한다고 생각하시고 사시면 될듯합니다

저두 지금 제컴터 여름쯤에 세컨새로 살까 생각중인데 회사에서 가져온 고물컴터도 한대 더 있어서 대략난감 ㅡㅡ;;

여하튼 고민고민하셔서 좋은 컴터 사세요 ~
노진호
05/02/14 14:47
수정 아이콘
펜티엄4 3.0에 하드 80기가를 넣는 언밸런스함을 보여주는 피시라면...
어쩌면 램도 pc2100으로 1기가를 넣어놨을지도
대부분 컴퓨터에 대해서 잘모르시는 분이 저런 컴퓨터를 구입하는 실정이니... 쿄쿄쿄
댑빵큐티이영
05/02/14 17:24
수정 아이콘
저런거 자세히보면 머 본체만팔고
몇가지 필수부품들은 따로 가격을추가해야 주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861 윈도우XP에대한질문이요..ㅠ [4] Air_Ca[NaDa]1686 05/02/15 1686
6860 연상을 좋아하는데요.. [6] 바카스1573 05/02/15 1573
6859 [만화]데드 노트류..만화 추천좀 해주세요.. [2] 똥꼬 동동1862 05/02/15 1862
6858 안녕하세요.. 워3 오류 질문좀 하겠습니다. [1] Marionette2017 05/02/15 2017
6857 공중유닛을 뭉치는것에 대해.. [4] 영웅의재림2182 05/02/15 2182
6856 대학에 대한 질문...약간 많이 급해요^^ [31] Narcis2340 05/02/15 2340
6855 펭귄 리플레이에 대해... [2] BoogiePop1628 05/02/15 1628
6854 디카에 관해서 [정말 아무것도 모릅니다. ㅜ.ㅜ] [5] ★가츠처럼★1306 05/02/15 1306
6853 게임에서 효과음이 안 나오는데요 -_-;; [2] 하늘은하늘색1673 05/02/15 1673
6852 팀리그 시뮬레이터에 구할때가없을까요??신버젼 환살검1541 05/02/15 1541
6851 서지훈선수 박태민선수 대학진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2] 구라미남1734 05/02/15 1734
6849 프로토스 쉴드 업그레이드에 관한질문입니다 [5] 도라에몽2747 05/02/14 2747
6848 스타할때 난감한 상황질문 [3] Min_Fan1518 05/02/14 1518
6847 전용준 캐스터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5] 군용건빵1568 05/02/14 1568
6846 PG Tour 방이 안만들어져요~ 왕만두1925 05/02/14 1925
6843 컴퓨터 동영상이 느리게 나와요..-_-;; 완성형폭풍저2236 05/02/14 2236
6842 운동화끈 묶는법에 관해서... [4] 나라당1938 05/02/14 1938
6841 컴퓨터 화면꺠지는것에 대하여;; [2] ^SweetHEart^1876 05/02/14 1876
6840 아디다스 져지 추천 좀 해주세요 [7] piNa1755 05/02/14 1755
6839 조립식 컴퓨터를 장만하게 되면... [34] 마음속의빛4443 05/02/14 4443
6837 동영상에 관해서 [2] 청수선생1610 05/02/14 1610
6836 엠피3 구입하려고 합니다. [17] ★가츠처럼★1643 05/02/14 1643
6835 CD 플레이어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7] 나비효과1706 05/02/14 17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