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8/04 03:45
제가 아는대로 말씀드리면요...
1.축의금,조의금 다 홀수로 많이 내더군요. 3,5,9정도로 내고 10만원이 넘어가면 홀수를 크게 따지지 않는 것 같아요. 20대이시더라도 학생이시면 3,5 정도까지만 내시는 게 표준이라고 생각하구요. 학생이니까 친척의 경우는 가족선에서 해결하고, 친구의 경우는 다른 친구들이랑 모아서 내죠. 직장인이시거나 글쓰신 분께서 가족을 대표하는 입장이시라면 10만원 이상을 내기도 하실텐데 그땐 굳이 홀수를 따지지 않더라구요. (10만원이 넘어가면 아주 가까운 사이니까 꼭 따지자면 30만, 50만.. 이렇게 내시는 분도 있긴하죠. 그래도 액수가 더 커지면 또 더 안 따지게 되구요... 영 꺼림찍한 44 정도만 피하시면 될 거예요 ^ ^;) 2.어떤식으로 장례를 치르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유교,불교,기독교 등등...) 보통은 빈소에 들어가서 한쪽에 장부를 놓고 앉아있는 사람에게 봉투를 건네고 고인께 절을 한 다음 상주들과 맞절을 하거나 인사를 하는 식이예요. 그 다음에 서로 말로 위로의 인사를 하고 나면 일을 도와주는 다른 사람들이 상을 내어주거나 식권을 주면서 어디로 가라고 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