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19 16:00
약정기간이 5~15만인건 폰을 여러대 판매하는 곳인듯하네요 보통 딱 정해지죠.
예를 들어 24개월에 15만원! 이라고 하면 일단 의무사용이 3~6개월정도 되고 그후에 약정금액을 내면 핸폰이 글쓴분 소유되는게 맞습니다. 일단 의무사용동안의 약정금액이 줄구요. 그 기간만큼 줄어듭니다. 위 예로 보면 24개월 15만원인데 12개월쓰고 해지하면 약정금액은 딱 그절반인 7.5만원이 되구요 6개월후 해지하시면 3/4만큼의 약정금액을 내시면 됩니다. 하지만 보통 신규가입시 가입비 면제(보통 가면)이 안붙어있다면 이곳에서 5만원이 나가게 되고 의무사용동안의 기본료도 나가기 때문에 약정금액 = 핸폰기계값이라고 보기 힘듭니다. 보통 위에 같은 방식으로 핸드폰으로 돈버는 사람도 있긴 한데요. 이럴경우 가면을 구해 의무약정기간동안의 기본료 + 위약금 + 알파 해서 팔아 그 알파만큼 차액을 남기는 방식으로 돈버는 사람도 있더군요. 그뿐아니라 처음 가입비를 낸다해도 해지후 3개월인가 이안에 같은 통신회사 재가입시 가입비가 면제되는 것을 이용해 가면아닌 것을 구입할때 가입비를 안 낼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좋은 폰은 보통 번호이동이기 때문에 가입비 내야되는 상황이 많죠. 폰테크 하는 분들은 그래서 가면건이냐 약정금액이 적냐를 보고 고르기도 합니다. 근데 이것 비추입니다. 신경도 많이 쓰이고 손해볼때도 있고 잘팔리면 이윤을 많이 남기나 안팔리면 스트레스이기도 하거든요. 실사용이시면 신경 쓰실거 없구요. 결론은 보통 핸드폰 기계값은 의무사용기간내 기본료(보통가장싼 9000원짜리*월수)+가입비(5만원)+위약금이 됩니다. 실사용하시는 분은 보통 1~2년쓰는거 어렵지 않기때문에 위약금이 얼마인지 잘신경안쓰셔도 되구요 자주 바꾸실 의향이시면 약정기간을 1년짜리로 고르시면 위약금이 많더라고 1년채우기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통 단가가 50만원이상중 60~80만원대정도되는 풀터치폰같은 경우 잘보시면 24개월 의무약정뿐 아니라 한달에 4만원 쓰는 조건이 붙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4만원못쓰는 경우 혹은 중도해지시 월*1만원해서 추가로 기계값이 나오니 요금제 확인은 필수입니다. 특히 현금완납폰인지 꼭 확인하세요. 현금완납폰이여야 중도 해지시 추가기계값이 안붙습니다. 마지막으로 보조금문제는 얼마전 기사로 봤는데요. 핸드폰 제조업체에서도 보조금이 나온답니다. lg나 삼성이 대부분이긴 하죠. 그래서 판매자가 핸드폰을 공폰에 팔아도 금액이 10만원이상 남는다고 합니다. 뭐 정확한 액수는 기사에 나오진 않았으나 좋은 폰기준 폰을 팔면 20만원 이상남기도 한다는걸 보면 보조금이 후덜덜한가 봅니다. 전 여지껏 통신회사에서만 나오는 줄알았는데 제조업체에서도 나온다는 기사를 보니 제조업체 +통신회사 보조금이 핸드폰 가격을 초월해서 이윤이 남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마 위약금때문에 못바꾼다는 건 추가로 돈이 들어가기 싫어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09/07/19 16:26
상이님// 현재 사용중인 요금제가 지금은 사라져서, 지금 쓰는 폰은 일시정지한 뒤, 최신폰으로 의무사용기간만 쓰다가 해지 후 기기변경하려는 생각이랍니다. 덕분에 정말 큰 도움이 되었네요. 가입시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써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_ _)
09/07/19 16:38
고양이처럼님// 쓰시는 폰이 lg시면 한달에 영화티켓 2장주는 요금제가 있는데 그것으로 달마다 영화2편씩만 봐도 기본료값은 빠지니 의무사용기간동안 이용해보세요~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좋은 폰쓰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