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12/03 23:42
제가 오늘 면접을 봐서 조금 유출한다면
시사문제와 공대시라면 미적분 물어보구요 내가 가장자신있는것 현재 우리나라문제그과 지원동기 자신소개그정도 물어보던군요,ㅋ 저도 공대인데, 꼭잘보셔서 합격하세요.
04/12/04 00:36
공대 어느학과에 쓰시는지는 안밝히셨는데요..
당연히 과학, 수학에 대해서 물어봅니다...기타 최근 시사문제를 물어보기도 하구요 또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서 일상적인것을 물어보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게임잘하냐는 등(실제로 제가 받아본 질문) 물론 이런 질문도 평가요소에 반영됩니다. (이런 질문은 가볍고 재치있게 넘어가는 것이 점수를 잘받는길입니다. 순발력 평가 같은것이기 때문이죠. 게임을 잘하냐 못하냐는 상관없죠 ㅡㅡ;;) 그리고 왜 이 학과를 지원했느냐는 필수질문입니다. 지식적인 측면(수학,과학)에 관해서는 수능 때 공부하시던 과목에서 나옵니다. 기계나 토목 전기전자 정보통신 쪽은 물리,화학,미적분을 많이 물어보구요(다른게 안나온다는것은 아닙니다.) 화학,생물(생명),재료공학,식품공학 쪽은 화학,생물,물리,지구과학 등이 나옵니다. 수학은...글쎄요 재료공학이면 조금 나올수도.. 대비방법은 고등학교때 배우는 4가지 과학이랑, 기초적인 미적분(삼각함수 포함)에 대해 설명할수 있어야 합니다. 겁주는건 아니지만 책안보고 그 과목에 대해 주제를 정해 30분~1시간동안 발표 할 수있는 정도가 되어야 어느정도 안정권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사람들과 비슷한 점수를 받게됩니다. (대부분에 사람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 때는 경쟁이 빡세죠^^;;) 그리고 면접보기 1주일전부터의 신문은 읽어보시구요.. 실제로 제가 알고있는 면접때 평가항목은 물론 제가 다니는 대학교의 예 입니다만 5가지 이해력,순발력, 지식, 인성, 학생부성적 이었습니다. 이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