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10/25 17:19
1.값싸고 생산 타이밍이 짧아서 비싸고 생산 시간이긴 질럿과 바꿔주기만 해도 이득에다가 드래군은 저글링의 밥. 하이템플러와 아콘이 문제긴 하지만 가스멀티를 안주면 별로 안나옴. 초반 소수 저글링의 난입으로 프로토스 무진장 괴롭히면서(안잡히는게 중요 그냥 긁어주면서 신경 쓰이게 하고 빌드 꼬이게 하는게 목적)자기가 해야 할일은 하는게 중요. 예를들면 저글링으로 괴롭히다 도망가게 해놓고 본진 보면서 건물짓거나 넘버링해논 해처리로 생산
04/10/25 17:28
저글링은 스타크래프트 유닛중에 가장 싼 유닛입니다. 게다가 발업정도만 시켜줘도 상당히 쓸만하죠. 또한 라바에서 두마리씩 튀어나오기 때문에 금방 모을 수 있습니다. 토스로 저그전 하다보면 딴건 다 필요없고 저글링 컨트롤 죽음으로 하는 저그유저가 젤 무섭더군요. 본진에서 캐논 사정거리 밖에서 알짱거리거나 질럿 함부로 나갔다가 다 싸먹히고(질럿 공업해주지 않는한 저글링에게 숫자에서 밀리기 때문에 진짜 까다롭습니다) 윗분이 말씀하신대로 드래군은 저글링 간식거리이고...
사실 템플러도 컨트롤만 잘해주면 별로 안무섭고 아칸만 빼면 저글링에게 강한 플토 유닛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기본 상성상 저글링은 테란의 머린 메딕 조합 빼면 진짜 좋은 것 같습니다. 일단 초반에 뽑아놓은 저글링을 함부로 낭비하지 마세요. 플토가 더블넥한다 싶으면 저글링을 상대 본진에 난입시켜서 꼭 무엇을 해야한다기 보다는 귀찮게 하세요. 그리고 테크 올라가는 것 확인용으로도 좋구요. 또 질럿 공업타이밍에 러쉬가 온다싶으면 최대한 감싸서 성큰과 함께 싸우는데도 좋구요. 저그가 보통 테란전에 히드라 살짝 빼놔서 러커 변태 후에 빈집 노리는 플레이를 하듯이 저글링도 살짝 빼놓고 뒤에서 뒷치기 해도 좋고 또 멀티 견제(테란이 벌쳐 스파이더 마인으로 멀티마다 하나씩 박아놓듯이) 하기도 좋습니다. 제 생각에 스타크의 세 종족은 모두 어느정도 상성을 가지고 있으나(테란>저그>토스>테란) 그 중에서 '저그>토스' 공식이 가장 깨기 힘든게 아닌가 싶습니다.
04/10/25 17:32
그리고 제가 님의 실력을 잘 모르지만 토스에게 상당히 많이 진다고 하셨는데 그건 저글링때문이 아닌것도 같군요. 보통 플토에게 많이 지는 저그는 예전 박경락 선수가 박용욱 선수에게 질때처럼 극초반에 극악의 질럿 컨트롤로 피해를 많이 보거나 아예 장기전가서 200 vs 200 슈퍼 물량싸움에서 지는경우, 그리고 업그레이드에서 지는경우, 이렇게 3가지 같은데 님이 어디에 속하는지 함 잘 생각해보세요.
그럼 플토전 건승을 빌며...
04/10/25 18:03
저글링에 경우 하이브에서 아드레날린이 개발되버리면 센터싸움에 치중되어있다고 프로토스가 갑자기 오버로드 2~3에 저글링이 풀로 탄게 게잍트쪽에 드랍이되버리기만해도 게이트는 순식간이고 테크트리건물은 다 뿌셔버리죠 그걸막으러 토스가 병력을 빼버리면 저그는 그걸로 시간을 벌며 센터를 장악할수도있죠 저글링은 하여튼 아드레날린만 개발되면 다른유닛이 되어버리는거같습니다
04/10/25 18:20
당연히 좋죠. 저글링 4마리가 질럿 1마리는 무조건 잡을수 있잖아요. 남는 가스로 러커 약간만 섞어 주면 플토는 옵저버는 물론이고 드라군도 있어야 되고 드라군은 저글링에 그냥 죽고.. 특히 노스텔지아에서는 대책 없음ㅠㅠ
04/10/25 22:58
플토와저그가 소모전을 할경우 대개의경우 추가되는유닛의 화력면에서
저그쪽이 압도적으로 유리하게 마련입니다. 다름아닌 저글링때문이죠. 생산타임이 짧고 나오는양이 많습니다. 예를들어 럴커3~4기정도가 플토의 앞마당에 자리를 잡는상황이 되었다고 가정해봅시다. 프로토스의 질럿은 한부대정도가 언덕위로 후퇴하구요. 그상태에서 저글링만 쭉쭉 찍어서 보내면 바로 조이기완성이죠. 바로 옵저버가 나와도 아칸없이는 내려와서 싸우기가 난감하고, 아칸이 있어도 이길지어떨지 알수없죠. 이겨도 생산된저글링이 바로 줄줄이 달려옵니다. 짧은생산타임과 양의 위력이죠. 중반지나도 마찬가지고 후반가면 그 위력이 더해집니다. 버로우 저글링도 좋습니다. 기습용으로도 좋지만 넥서스못짓게 방해하는플레이로쓰면 정말 좋죠.
04/10/25 23:06
다시생각해봤는데요, 역시나 저글링은 럴커와의 조합이 정말 좋습니다.
테란전에서도 좋지만 무력화될 소지가 상당히 있는반면에 플토상대로는 플토가 어떤 조합을 구성하건 대부분 좋습니다. 아칸이 다수가 아니라면요. 괜히 어설프게 히드라+럴커조합 구성해서 옵저버사냥해야지 하고 생각하다가 템플러에 녹느니 저글링개떼에 가스는 전부 럴커로 바꾸는 조합이 훨씬 운영하기 편합니다.
04/10/26 00:10
('') 틀린말 한개도 없지만 결정적인 이유는 화력입니다.
크기작고. 공격속도가 빠르고 다른 유닛과의 조합에서 예를 들자면 뮤탈이나 울트라리스크와. 조합이 되면 거의 모든 유닛이 저글링을 때리지 않아요. 덕분에 작고 빠르게 때리는 저글링이 상대의 유닛을 잡아 먹기 딱 조아지는거죠.
04/10/26 11:32
로템에서 럴커조이기를 할때 포인트는 럴커가 아닌 저글링입니다.
저그가 저글링 럴커로 조일때 럴커 소수에 다수의 저글링으로 조여보세요. 대 플토전이 편한 이유는 가스멀티에 그다지 연연하지 않아도 된다는것입니다. 앞마당에 가스가있는 로템은 조이기에 필요한 럴커와 저글링 업그레이드를 충분히 해줄수 있죠.. 삼룡이까지 먹고 해처리 6-7개에서 쏟아져나오는 저글링을 플토가 감당하기 정말 어렵습니다. 스커지로 옵져버 킬 가끔 해주면서 안전한 포인트의 멀티를 하나씩 늘려나가기만 해도 섬멀티 먹은 플토상대로 저글링 어택땅으로 이길수도있습니다.. 플토랑 상대할때 럴커로 조이자는 생각의 개념을 럴커는 보조 저글링이 주력이란 개념으로 바꿔줘보세요.. (프로게이머들은 하템 쓰는 테크닉이나 게릴라,컨트롤이 아주 좋아서 이런 조이기에 잘 안당하고 맵역시 안정적인 2가스 먹기가 어렵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