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21 17:35
제가 늘 영작하시는 분들께 말씀드립니다만, 영작의 기본은 중학교 1학년 성문영어입니다. 주어/동사 시제 및 단수/복수 일치, 한 문장엔 동사 하나, 대문자 써야될 곳과 아닌 곳 등등. 성문이든 맨투맨이든 문법 저거 배워서 어디다 쓰냐, 라고들 많이 까죠. 회화에는 필요 없습니다. 어쨌든 의사만 전달하면 되거든요. 그러나 영작의 비중이 점점 커져갈수록 성문기본영어식 문법주입은 중요해집니다-_-; 그냥 책 놓고 외우세요. 한국어도 말과 글이 다른데, 영어라고 말과 글이 일치하겠습니까.
그리고, 처음부터 문장 길고 멋지게 쓸 생각은 안드로메다행 급행열차에 태워 보내시고, 간단하고 정확하게 짧은 문장으로 끊어 쓰는 연습부터 하시는 게 좋습니다. 당장 해놓으신 것만 봐도 '1문장 1동사'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네요. 경제학이나 경영학 관련 수업을 들으시는 것 같은데, 이러한 경우는 전문용어집을 스스로 하나 만드시거나 http://dic.impact.pe.kr 과 같은 '네이버가 안 알려주는 단어검색'사이트를 하나쯤 즐겨찾기 해놓으시고 반복적으로 익혀나가세요. 경제경영 쪽은 어차피 영어와 친해지지 않으면 어렵습니다-_-; 정해진 단어가 있거든요. 어차피 쓰이는 용어만 쓰이니까, 익힐 때 좀 어려워서 그렇지 익혀 놓으면 괜찮습니다. 각설하고, 한 문장씩 뜯어드립니다. 비교해 보세요. 위에 해 놓으신 부분은 따로 떼어다 붙이지 않았습니다. =============================================================== The first major cause of Hanbo Steel's bankruptcy is overinvestment. ->서수 앞에는 the. 영어 배울 때 제일 먼저 배우는 내용중의 하나입니다만, 막상 쓰려면 제일 먼저 까먹는 부분 중 하나죠. 과도한 투자는 overinvestment라고 합니다. Initially, Hanbo Steel was planning to invest \2,280,000,000,000 (2.28 trillion Korean Wons) on the construction of Dangjin Iron Works. ->처음에 쓰신 문장에는 동사가 없습니다. 동사가 없으면 문장이 아니죠. 투자할 예정이었다는데 굳이 공사비용을 얼마로 예상했다, 라고 하시지 말고 쓰여진 대로 투자할 예정이었다, 라고 쓰시면 더 간단하고 쉽습니다. However, the actual expenditure turned out to be approximately \5,700,000,000,000 (5.7 trillion Korean Wons). During the whole contruction process, the amonut of the loan Hanbo Steel took from banks was \5,559,000,000,000, about 13 times larger than its capital fund. -> overinvestment와 마찬가지로 expenditure 역시 이런 쪽 공부하시려면 필수단어 중 하나 되겠습니다. 그리고 By the way, 라고 하신 다음에 대문자로 시작하시면 안되고, the cost of construction으로 하셔야 합니다. 총 금액이 얼마가 쓰였다라고 말씀하시고 싶으신 것 같으나 불행히도 저런 형태의 문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냥 총 비용이 얼마였음, 이면 충분합니다. 그 다음 문장에서는, 한 문장에 동사는 오직 하나여야 합니다. is면 is, have been이면 have been입니다. 여기서는 쓰시고 싶었다면 The amount was~ 로 가시는 게 맞죠. 몇 배, 라고 말할 때는 times가 숫자 뒤에 옵니다. times가 숫자 앞에 쓰이는 경우는 4X3=12처럼 '곱하다'라는 의미를 가질 때입니다. Four times three is twelve. 이런 식이죠. 따라서 13배, 라고 하고 싶으시면 13 times가 되어야 하고, 이건 수식어이므로 명사 앞에 와야 합니다. 명사를 뒤에서 수식해 주는 건 구나 절입니다-_-; Such amount began to increase from 1995, the following year that the company took 1.129 billion dollars of foreign currency loan (어디에서 대출받았는지는 안 나와있어서 생략합니다.) under the lead of the Korea Development Bank in 1994 ; the increase was 143 billion wons in 1995 and 200 billion in 1996. -> 과거의 일을 서술하는데 begins라는 현재형 동사가 오면 안되겠죠. began to increase를 쓰셨으면 됩니다. next year은 현재나 미래에서 쓰는 단어고, 과거에 이듬해라고 할 때는 the following year 혹은 the year after을 쓰셔야 합니다. 나머진 비교해서 보시고요. This tendency is due to the continuous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creditor banks. Hanbo Steel continued to expand its business, either buying or establishing a total of 18 companies. -> 중간에 정부와 채권은행단의 지원을 받았다는 문장은 아예 빼버리셨군요-_-; 그리고 다시 강조드리지만 한 문장에 본동사는 한개입니다. the는 정관사이므로 18개의 회사가 어딘지 확정되지 않았을 때는 쓰지 않습니다. This was all possible because of the cozy relations between politics and business. -> consist는 존재하다, 양립하다,등의 뜻으로 쓰이는 동사입니다. 이런 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간단하게 만드시는 게 최고죠. 멋진 한국말 써놓고 영어를 그대로 끼워맞추려다가는 실패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영작은 최대한 쉬운 말로, 간단하게.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at that time declared that such corrupcy would come to an end and that President Kim and his cabinet would not accept any political funds. ->누구누구 정부, 혹은 뭐시기 정권, 이라는 말은 XXX Administration이라고 씁니다. 신문기사 뒤져보시면 the Bush Administration이라는 말, 금방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사실 이 문장도 그렇고, 마지막 문장도 그렇고, 한국인들이 제일 머리 쥐어뜯는 간접화법이라 고생 좀 하셨을 것 같습니다만, 중학교 1학년 문법책 간접화법/직접화법 치환을 열심히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직접화법으로 바꾸면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declared, "Such corrupcy will come to an end, and President Kim and his cabinet will not accept any political funds." 가 됩니다. However, nothing was yet to be solved. -> 이건 뭐 그냥 보시고요. Chung Tae-soo, chairman of Hanbo Steel, asked a National Assembly Member Hong (홍 국회의원이 한둘이어야지 말입니다.) to request the banks to lend money to Hanbo, by himself or through his son when he was in confinement. -> 이것도 간접화법입니다. 정태수가 누군지는 모르지만 암튼 홍씨 성을 가진 국회의원에게 "Please request the banks to lend money to Hanbo."라고 ask했다, 라는 말이지요. 이걸 간접화법이라는 생각 안 하고 그냥 만들라면 당연히 아무것도 눈에 안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감옥에 갇힌다고 할때는 in jail 이라고도 많이 씁니다만 법률상 구속일 때는 in confinement라고 쓰는 것이 좀더 포멀합니다. 덧) 이건 한국말도 뭔가 좀 이상한 부분이 군데군데 있어서 제 맘대로 의역해버렸습니다. 신문기사 내용 같기는 한데 문장이 이렇게 거칠까 싶기는 한 것이.. 흠.
09/05/21 18:17
어,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올해 대학 신입인데, 영어가 정말 골치네요. 거기다 전공수업들을 영어로 해서........
고등학교때 수능 볼때도 영어는 독해하고 듣기만 연습하고 문법하고 단어는 포기하고 시험봤는데 말이죠. 영어 공부 해야 하는데................. 교재 추천도 감사드립니다.
09/05/21 18:23
그냥 지나가는 말로 하는 소린데
성문과 맨투맨이 정확한가요?-_-... 그래마 인 유즈 보면서 성문보면 시제같은부분이랄지 아쉬운 설명이 많은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