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13 13:36
일단 실험 조건이 명확치 않아서 확실치는 않습니다만..
변색이 안되는 순서가 소금물-증조액-구연산의 순서라고 하시니 그에 맞춰 설명해 보겠습니다. 대체로 과일의 변색 과정에는 폴리페놀 산화효소라는 효소가 관여합니다. 그리고 이 효소의 최적 pH가 5~6 정도라고 하는군요. 따라서, 구연산(citric acid)의 경우 pH 5~6이 될 정도의 농도를 가진 상태로 추정됩니다. cirtric acid도 농도에 따라 pH가 1에 가까울 정도까지 가능합니다. 그 다음의 증조액은... 중조액(탄산수소 나트륨)의 오타가 아닌가 싶구요. 중조액은 보통 염기성을 띄는 용액이므로 효소의 활성이 떨어져서 상대적으로 변색이 느릴겁니다. 그리고 소금물의 경우에서 활성이 느리다는 것을 볼 때 포화 NaCl 수용액이 아닌가 싶습니다. 지나치게 높은 NaCl 용액에서는 대부분의 효소가 활성을 잃어버립니다. NaCl 농도가 낮으면 아마도 별 문제가 안될겁니다. 변색이 산화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이런 반응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에 효소의 활성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주어진 조건이 명확하진 않아서 정확한 설명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