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24 09:36
1. 영어(텝스는 외국에서 인정 안됩니다. 토플점수여야 합니다.)
2. 제2외국어(국제기구들에서 영어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공용어는 프랑스어입니다. 그다음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국어, 아랍어 등..) 3. 석사학위 (없어도 들어갈 수 있는 경우는 있습니다. 연줄이 엄청나게 빵빵하거나, 엄청나게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면 가능합니다.) 4. 커리어 (인턴 아니고, 정규직으로 들어가려면 최소 5-7년 정도의 커리어를 요구합니다. 물론 관련있는 분야의 경력이어야 하니 막연히 국제기구라고 하지 마시고 어느 국제기구에서 일하고 싶은 것인지 목표를 확실히 잡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느 기구에 가느냐에 따라 필요한 스펙은 천차만별입니다. UN본부인지, 유네스코인지, 식량기구인지, 인권인지, 국제사법재판소인지, 노동기구인지 등을 결정하셔야 어디에 매진할지가 결정됩니다.) 국제기구는 대체로 소수민족과 여성을 우대합니다. 한국은 경제규모나 국력에 비해 국제기구 진출인원이 적은 편이므로 아마 필요한 스펙을 충분히 갖추신다면 소수민족 어드밴티지를 꽤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것 말고도, 지름길을 찾으신다면 정부에서 JPO라고 해서 국제기구 계약직으로 매년 몇명씩(보통 5명 이내) 선발해서 보내는 제도가 있습니다. 통상 1-2년 정도 계약직으로 일한 뒤에 근무 성적이 좋으면 정규직으로 발령받을 수 있는 제도이지만, 경쟁이 무지하게 치열합니다. JPO선발 역시 제2외국어 및 석박사 학위에 엄청난 가산점을 부여하고, 유관기관 근무경력(예: 외교부 등)에도 가산점을 부여하고, 영어도 보고, 심지어 나이도 따집니다. 여자는 만 30세, 남자는 만 32세까지만 응시가능했던가 아마 그럴 겁니다. 일단 들어가면 탄탄대로겠습니다만, 들어가기까지의 관문이 꽤나 좁으니 지금부터 매진하셔서 꼭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