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2/08 00:53:40
Name pipipi
Subject 바둑 생초보 탈출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제목 그대로입니다. 집에있는 바둑입문책을 꺼내서 대충한번 훑어본후에 20국정도를 뒀는데 매번 농락 당했네요..
예전부터 바둑 배우면 참 재미있겠다 생각해왔는데, 어떻게 배워야할지 몰라서 미뤄오다가 이번 기회에 한번 제대로 배워볼려고 합니다..
이나이에 학원다니기는 너무 쪽팔리고 독학해야될것 같은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그리고 혹시 저처럼 바둑 시작하고싶으신 분들은 저한테 쪽지주셔서 같이두면 좋을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2/08 00:56
수정 아이콘
기초사활책-기초정석책

이 종류로 아무책이나 한권씩 총두권 먼저 보시길 바랍니다.
09/02/08 01:23
수정 아이콘
사실 10대후반부터 청년층까지 바둑배우기가 참 곤란하죠;

바둑교실은 대부분 초등학생위주이고.. 기원은 담배냄새 펄펄나는 중장년 위주니까요
09/02/08 01:38
수정 아이콘
바둑판 저렴한걸로 하나 장만하시고 입문책을 차근차근 놓아보면서 정독하세요 ^^;
입문책에 나오는 개념을 완벽히 이해했다 싶으시면 거기에 나오는 행마에 따라서
9점 접바둑으로 몇판 두어 보시길 권합니다. 주변에 아는사람이 있으면 좋을텐데,
없으면 인터넷으로(근데 인터넷으로는 배우기에는 좀 별로일듯)
그리고 대충 너무 흉하지 않게, 구색에 맞게 두어진다 싶으면 그때 기초 사활책과 초보용 책(접바둑에 관한 게 좋겠네요),
기초 정석책을 또 놓아보시면서 정독하세요. 동네 도서관 같은데 가면 바둑책 꽤 많이 있으니 사보시지 않아도 됩니다.
그걸 통달한 다음엔 계속 접바둑을 두면서 실력 향상 정도에 따라 치수(접바둑시 돌을 놓는 갯수)를 줄여나가는 한편
바둑을 두는 요령에 관한 책들을 닥치는 대로 병행해서 게속 읽어주시는 게 좋을 겁니다.

바둑은 장기나 체스와 달리, 금방 잘두게 되긴 정말 힘든 두뇌스포츠입니다. 기원에서 강자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1급을 1년 동안에 달성하면 천재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차근차근 끈기있게 하세요. ^^;
아리아
09/02/08 01:38
수정 아이콘
제가 바둑을 조금 두는지라 접바둑을 두고 싶으시다면 쪽지를.....
실력은 1급이구요 접은지 몇년되서 1급실력은 아닐겁니다 지금은....
Valueinvester
09/02/08 01:48
수정 아이콘
무작정 대국은 의미가 없습니다.
바둑은 우선 집을 효율적으로 차지하는 자리들을 상대방과 나눠갖는 부분에서의 초반진행인 '포석' 과
포석을 함에 있어서 서로의 돌의 모양을 갖추게 해주는 '정석' 과
포석을 마치고 판의 전체적인 운영을 좌우하는 대세를 차지할 수 있는 '대세점' 과
초중반 이후의 돌의 기세를 싣는 '힘싸움' 과
돌들의 부딪힘에 있어 내 돌들의 모양을 확보하는 '사활' 과
후반에 계가를 처리하는 '끝내기' 능력 등
여러가지 갖추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덕분에 배우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다 보니 아무래도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똥줄 님이 말하신 것처럼 기초사활과 기초정석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제 입문하셨다면 처음부터 천천히 단계를 밟아나가시는게 좋겠네요.
다만 배울 곳이 마땅치 않다고 인터넷 등에서 기초도 기본도 없는 사람들과 바둑을 두는 것은 절대 피하십시오.
그런 바둑이 몸에 배면, 자신의 모양은 생각지도 않고 무조건 나가 끊으려고나 하고,
수읽기는 제대로 하지도 않으면서 대마만 잡으려고 하는 속칭 '막바둑' 이 되어버립니다.
정말로 정석과 수읽기에 능한 분을 찾아서 배우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배우기 쉽지 않은 바둑인데 꾸준히 배우셔서 좋은 결과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언을 두 가지 드리자면..
요즘 유행하는 바투는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입문하신 분들이 바투를 하면 초반에 돌이 분단된 부분에서 사활이 너무 어려워집니다.
바둑판이 너무 좁기 때문인데요. 정식 입문자용 바둑판이 13줄,13줄짜리인것을 생각하면
고수들이 아닌 바에야 각각의 돌들을 수습한다는 것이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바둑은 '대세'를 읽고 따라가는 것이며 때로는 집으로 60집 이상의 대마조차 이기기 위해선 버릴수도 있어야 합니다.
그 대세감각을 배우는 것이 입문자의 가장 중요한 과제일텐데 바투는 오로지 사활에만 집착하게 만듭니다.
그다지 추천할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두번째로 조언드리고 싶은 것은 예전에 서봉수 9단이 한 말입니다.
바둑을 어떻게 하면 잘 둘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내 돌들을 연결만 잘 하면 된다' 라고 했습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새삼 이 말을 생각할 때마다 그 이상의 요체는 없다고 확신합니다.

그럼 이만~
불륜대사
09/02/08 08:19
수정 아이콘
그냥 입문책 한권 읽고 바둑을 막 두다 보면 한 10급(인터넷 바둑은 더 높겠죠)정도는 되더군요.
더 이상 올라가려면 책 사서 공부해야 하고요.
막바둑으로 살아왔지만 10급까지 재미있게 두고 싶은대로 두면서 지냈습니다.
책사서 정식으로 배우면 농락당하는 기간이 짧아지겠지만, 재미도 같이 줄어드니 일장일단이 있는
것 같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939 3.3 혁명때 마재윤 리플레이 버그 질문 [3] 로트리버3368 09/02/08 3368
49938 카트라이더 템전 차 뭐가 좋을까요 [10] 지포스22178 09/02/08 2178
49937 울산사시는분들께 질문 !!! [2] journey212142 09/02/08 2142
49933 대학교 졸업선물로 어떤게 좋을까요? [5] 언뜻 유재석2638 09/02/08 2638
49932 군입대시 핸드폰 [2] 이루펀트3253 09/02/08 3253
49928 2008프로리그를 다시 볼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2] 레드드레곤~2494 09/02/08 2494
49927 이하나의 페퍼민트 보시는 분~ [2] 이루펀트3004 09/02/08 3004
49926 바둑 생초보 탈출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6] pipipi2900 09/02/08 2900
49925 늦은밤에 영어 해석 질문하나할께요. [5] 비젠2185 09/02/08 2185
49924 본격 WizardMo진종님, 릴리러쉬님 소환하는 질문. +_+ [10] Darwin40782458 09/02/08 2458
49923 다들 mp3 파일 정리 어떻게 하세요? [2] 거침없는몸부2217 09/02/07 2217
49921 오늘 있었던 신한 위너스리그 CJ vs Estro 경기.. [4] Dean & Sam2095 09/02/07 2095
49920 엄지 발톱이 깨졌습니다. [8] violist 'S'2261 09/02/07 2261
49919 헬스기구(싸이클런)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아시는분 [4] KID A2159 09/02/07 2159
49918 이런 용도라면 넷북으로 충분할까요? [2] 무늬2120 09/02/07 2120
49917 느바 좀 보시는 분 계신가요? [2] 비야레알1554 09/02/07 1554
49915 39사단 일반병 입대 어떤가요? [6] 삿짱z4151 09/02/07 4151
49914 매니아스럽게 프로레슬링 보시는 분? [1] TaCuro1532 09/02/07 1532
49913 로스트사가 msl 질문입니다. [2] 2090 09/02/07 2090
49912 102보충대 어떤가요? [26] 날으는씨즈2581 09/02/07 2581
49910 염치불구하고 스타시디키 여유분 있으신 분 [4] 파일널푸르투2361 09/02/07 2361
49909 youtube영상을 받아서 인코딩하려고 하는데요... [2] 연성연승1579 09/02/07 1579
49908 워크3 커스텀 게임 추천해 주세요 캐리건을사랑2529 09/02/07 25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