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9/15 20:38
일단 공무원하면 9급이구요...(보통)
9급에도 직렬이 있어요 (분류) 9급중에서도 제일 많이 뽑는게 행정직이고, 많이 뽑아서 그또한 많이 응시하하는게 행정직이에요. (많이 뽑지만, 그만큰 응시도 많이해서 경쟁률 높아요) 보통 9급은 5과목 시험치구요. 20문제씩 5과목있습니다. 국어/영어/국사는 거의 기본과목이고 나머지 2과목은 직렬에 원하는 과목이 배정되어있구요 예를들어 행정직같은경우, 국어/영어/국사/행정학/행정법 과목이있구요 정권바뀌고 요즘 공무원 채용인원이 줄어들어서, 예전보다 조금 더 어려워졌죠. 보통 예전에 9급같은경우 하루에 10시간씩 공부하면 9개월에서 1년 6개월 정도 였는데. 최근에는 9급도 1년 6개월, 2년정도 열심히 바짝해야지 되구요. 공무원이 될려면, 일단 9급을 하실건지, 7급을 하실건지 정하시고, 그리고 해당분야를 선택하세요 그리고 다 정했다면, 기본이론서를 서점에서 구입하고 공부해야죠.
08/09/15 20:41
그리고 님께서 사는 지역/나이/성별/최종학력 이런것이라도 남겨주시면 조금더 답변하기 편하구요
그리고 가산점 최고 3점까지 받을수있는데, 4년제대학졸업하셨다면, 정보처리기사나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자격증 따시면되요. 가산점 3점받을수있구요. 전문대 졸업하셨으면, 사무자동화산업기사 따시면되요. 가산점 3점받을수있습니다. 고졸나오셨으면, 3점받을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되구요. 가산점은 공무원준비하는사람들 모두 기본으로 가지고 시작하니깐요. 3점요...
08/09/15 20:43
그냥 내일 공무원 학원 몇 곳에 가셔서 상담 몇 번 하면 이해될 겁니다. ^^
7,8,9급도 있고 10급도 있죠. 나이 제한은 없어진 것으로 알고 있고요.
08/09/15 20:52
석호필님// 9급과 7급의 차이가 먼가요??
8급은 바로 못하는건가요?? 현재 경남에 살고 있고 24살에 4년제대학 2학년에 재학중입니다. 남자구요.. 전공이 수학인데 전공관련된 직렬(?)이 있나요?? 없다면 직렬무시해도 되는건가요?? 아무래도 불리할거 같은데.. ArcanumToss님// 아직까지 공무원할려고 마음먹은건 아니고 주변에서 계속 권하는지라.. 알아보고 있습니다.. 학원까지 갈정도는 아니구요^^;;
08/09/15 21:00
7급과 9급의 차이는 보수와 맡는 업무정도...
9급은 행정직의 경우 국어/영어/한국사/행정법/행정학 5과목 시험보고요 7급은 9급 5과목에 헌법/경제학 추가입니다 9급 시험시간은 85분 7급은 120분인가 그럽니다 9급에서 8급 가는데 최소 3년 최대 7년이고요 8급에서 7급은 최소 3~4 최대 8년입니다 국회 8급으로 바로 들어가실수 있습니다 시험 과목은 국어/영어/행정법/행정학/헌법/경제학입니다
08/09/15 21:02
네 8급은 바로 못하구요 (아! 위에 댓글주신 국회 8급이 있네요^^; 깜빡 잊고있었다는.)
9급과 7급이 있는데요. 7급이 더 높은거에요. 보통 9급으로 시작해서 정년퇴직할때 6급 +알파 정도로 퇴직하죠. 일단 7급 공무원정도 합격하실려면, 아마 고등학교때 SKY 대학교 가실만큼 빡시게 공부해야 됩니다. 최소 3년은....순수 공부시간매일 10시간정도 공부하셔야된다는...그렇게 공부하고도 운도 있어야^^; 수학이면, 그래도 세무직쪽으로 가시면 아주약간은 전공살릴수있겠네요. 그리고 공무원은 직렬무시해도 상관없어요. 고졸도 공무원응시가능하니깐요^^; 그리고 공무원 공부하실려면 일단 영어 못하시면, 많이 힘드실겁니다. 일단 영어하나 100점 잡고 들어가신다면,, 훨씬 수월해요. 요즘 대부분 어학연수 갔다오고 다들 영어잘하는지라... 물론 보통 영어 100점정도 맞는 사람들은 9급 공무원쪽 생각하지도 않겠지만요^^;
08/09/15 21:05
덧붙여 9급 행정직이면, 발령을 어디 받느냐에 따라 틀리겠지만, 쉽게 말해서 동사무소에서 증명서 떼어주시는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08/09/15 21:34
제가 현직인데...이왕이면 행정직은 하지마세요...
전 세무직인데...행정직보다는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회계도 어렵다고 하지만 그닥 어려울것도 없고 말입니다.. 뭐 일이야 그만큼 힘들겠지만...확실히 좀 다르다라고 할까요...전문직 비슷한 느낌입니다.. 사회진출해서도 할것 많구요...공무원의 꽃이 세무직이라는 말이 있죠... 더 추천하는것은 그냥 공무원 하지 않았으면 하네요...이명박 정부 동안은 정말 뽑히기 힘들것입니다.. 현재 분위기도 그렇구요... 정말 하셔야겠다면 이왕이면 7급으로 한번 도전해보세요.. 나중에 9급하면서 후회하는 사람들 많더라구요...
08/09/15 21:37
석호필님// 그럼 7급은 어디서 일하는건가요??
동사무소이긴 한데 직급이 높은건가요?? 동사무소장 같은 그런건가요?? 국회 8급은 국회의사당같은데서 일하는건가요?? 그리고 9급이면 결혼해서 애낳고 먹고 살만한정도는 되나요?? 카페에서 05년도 9급 봉급보니깐 1호봉이60~70 이었던거 같은데.. 추가수당이 많이 붙나요??
08/09/15 21:55
ElleNoeR님// 7급도 뭐 직렬에 따라 또 다 다르겠지만 일단 동사무소는 일안하구요..
구청/시청에서 일합니다. 물론 9급도 구청에서 일할수도 있구요. 9급과 7급은 천지차이입니다. 군대 나오셨으니, 9급 이등병과 7급 병장이상..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구요. 9급이면 결혼해서 애낳고 먹고 살만은하죠. 애낳고 먹고살만한게 어느정도인지는 잘모르겠지만, 버스기사나 택시기사해도 애낳고 먹고살만은하죠^^; 근데 주변에서 공무원해바라 해서 한번 생각해보시는것같은데, 지금은 어렵습니다. 지금 공무원채용인원이 줄어서, 공무원준비생중에 경찰로 빠진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일단 9급공무원은 거의 단순 반복 업무라고 생각하시면되구요. 릴리러쉬님 말대로 그렇게 열심히 공부해서 9급 붙으셨는데 후회하는분들도 많아요. 공무원에 대해 큰뜻있으시면, 내가 꼭 공무원되고 싶다. 생각하시면 지금부터 7급준비하셔서, 30살전까지 붙으시면되겠네요. 근데 제가 보기엔 ElleNoeR님께서 지금 가장 하고 싶거나, 원하시는게 무엇인지 일단 생각해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9급붙을정도의 노력이나 7급붙을정도의 노력이라면. 그것이상의 다른직업을 구할수 있을텐데요.
08/09/15 22:58
그만큼 힘든건가요??
이명박 정부 전에도 힘들었던건가요?? 아니면 이명박 정부 바뀌면서 힘들어 진건가요?? 나중에 이명박 퇴임하고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죠??
08/09/15 23:08
이명박전에도 힘들었는데,
바뀌면서 더 힘들어졌죠.. 2007년도에 마지막 세무직 대박모집이 있었구요. 공무원 붙기가 그나마 쉬웠던때는 공무원인기가 막시작될떄쯤 2004년도 이전때가 딱 좋았던것 같습니다. 지금 아마 9급 행정직 준비하신다면,, 거의 임용과 거의 맞먹을 노력하셔야 될거에요.
08/09/15 23:10
ElleNoeR님//
공무원되기는 이명박씨 전부터도 어려웠습니다. 근데 이명박씨가 취임하시면서 채용인원을 더 줄여버려서 더 어려워 진거요
08/09/15 23:17
그리고 이명박 퇴임해도 공무원을 많이 뽑거나 그러지는 않을겁니다. 이미 공무원채용인원을 줄이고, 그랬는데, 쉽사리 대박모집을
바라기는 어렵겠죠. 일단은 ElleNoeR님이 그냥 단순히 공무원이 되고 싶은건지, 공무원이라면 종류가 많습니다. 경찰, 소방관, 군무원, 미화원, 기술직 공무원등등 많구요. 일단 공무원 아무거나 되고싶으면, 틈새공략이나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적은곳으로 한번 공략해보시는것도 괜찮을듯 싶구요. 군무원 기술직 쪽이나, 또는 교정직(교도관)도 상대적으로 낮구요. 미화원쪽도 체력이 되신다면 가능하구요.
08/09/15 23:25
되고 싶다기 보다는 현재로선.. 알아보고 있는중입니다.
주변에서 하도 말이 많아서요.. 아무쪼록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08/09/16 00:05
다른 분들이 많은 말씀을 해주셔서 저는 좀 다른 말씀 드려봅니다. 공무원이란 게 되기도 어렵지만, 그렇기 때문에 되고 나서 좀 회의감을 느끼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도 그랬었지만 공무원이라고 하면 안정적인 직장 + 널널한 업무라는 환상이 있었습니다. 물론 그런 환경에서 일하시는 분들도 있겠습니다만, 경우에 따라 정말 상상치도 못한 업무를 맡게 되기도 하고, 계속되는 야근에 비상식적인 상사/동료를 만나게 되기도 할텐데 쉽게 그만둘 엄두를 못내게 되는 것 같습니다. 급여같은 부분은 최소한 향후 5년 이후를 바라봐야하는 직업인 것 같고요.
공무원이 될 것인가도 잘 생각해보셔야 하겠지만, 직렬도 고민해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윗분께서 말씀하신 교정직, 미화원, 그리고 사회복지직 같은 경우엔 다른 분들 말씀을 들어봐도 그렇고 정말 웬만한 사명감없인 못할 겁니다. 그래서 경쟁률이 낮은 것이지만, 그조차도 오르는 추세라고 들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