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9/08 02:51
(1) f-¹(∩Di) = ∩ f-¹(Di)
(⊆) : f-¹(∩Di)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를 x 라고 하면 f(x)∈∩Di이므로 모든 i ∈ I 에 대하여 f(x)∈Di 이고, x∈f-¹(Di) 이므로 x ∈ ∩ f-¹(Di) (⊇) : ∩ f-¹(Di)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를 x 라고 하면 x∈∩ f-¹(Di) 이므로 모든 i ∈ I 에 대하여 x∈ f-¹(Di) 이고, f(x)∈Di 이므로 f(x) ∈ ∩Di 이므로 x ∈ f-¹(∩Di) (2) f(∩Ci) ⊆ ∩ f(Ci) : f(∩Ci)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를 y 라고 하면 y ∈ f(∩Ci) 이므로 f-¹(y) ∈ ∩Ci 그러면 모든 i∈I 에 대하여 f-¹(y) ∈ Ci 이고, y ∈f(Ci) 이다. 모든 i∈I에 대하여 y ∈f(Ci) 이므로 y ∈∩f(Ci) 따라서 f(∩Ci) ⊆ ∩ f(Ci)
08/09/08 03:16
모든 D ⊆ A에 대하여 f(Dc)=[f(D)]c 이면 f 는 전단사이다.
: Φ = f(Φ) = f(Ac) = f(A)c 이므로 f(A) = B 이므로 전사 x1 ∈ x2 c 이면 f(x1) ∈ f(x2 c) = f(x2) c 이므로 f(x1) ≠ f(x2) 이므로 단사
08/09/08 03:20
e^x 는 도함수가 e^x 이고 이는 모든 실구간에서 항상 양이므로 e^x 는 순증가 함수이므로 1-1 함수이다.
임의의 양의 실수 y 에 대하여 y < e^y 인데 e^x 는 연속함수 이므로 y=e^x 를 만족하는 x 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