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8/28 15:20
취미생활로 프로그래밍 하시는 경우라면 본인이 보기 편하게 쭈욱 하시면 되구요. 객체 설계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니 논리적으로 잘 따져주셔서 상위 객체부터 차근차근 풀어나가시면 되겠습니다. 아주 간단한 형태의 게임인 경우 객체지향을 고집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돈을 목적으로 하여 팀이 참여한 게임제작이면 우선 객체 설계부터 하시고 스크립트 작업이 우선입니다. 개발 총괄하시는 분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세밀한 스크립트 작업이 필요합니다. 배경이라면 당연히 배경디자이너가 맡게 될거고, 엔진 부분이라면 엔진 프로그래머 등 각각 자기 맡은 일을 동시에 진행하게 됩니다. 시스템 엔지니어가 지정해준 날짜까지 맡은 코딩을 마무리하시고 그 후에 컴파일-디버깅 작업 반복하게 됩니다.
08/08/28 15:35
정석이란 없습니다만, 제가 참여하는 프로젝트에서는 대략 이렇게 진행합니다.
1. 엔진(또는 엔진 역할을 하는 라이브러리)를 만듭니다. DX 또는 OGL을 이용한 그래픽 출력, 사운드 출력... 등등을 구현합니다. 2. 게임의 대략적인 뼈대부터 작업합니다. 게임의 메인 화면을 출력하고 캐릭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부분입니다. 3. 키보드나 마우스 입력에 대한 부분을 만듭니다. 캐릭터의 이동, 공격 에니메이션 등을 테스트합니다. 4. UI 및 세부적인 화면 구성을 만듭니다. 5. AI나 네트워킹, 캐릭터 액션에 대한 NPC들의 반응, 대사 출력... 등등을 만듭니다. 6. 기획 의도에 따라서 세부적인 시스템들을 하나씩 붙여가면서 완성도를 높입니다. ... 아주 대략적으로만 썼기 때문에, 단계와 단계 사이에도 무수한 작업들이 들어갑니다만, 대략적인 플로우는 대부분의 게임들이 엇비슷할거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