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7/20 18:16
통계학과 전공은 아니지만, 통계수업을 들은적이 있는데요, 미적분 및 수열 같은거는 갖고고 놀줄 알아야 수업을 들을 수 있겠더군요...
저는 공대입니다..
08/07/20 18:25
확률에서 기대값이나 기타 거의 모든 용어는 미적분 및 해석학이 기본적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특히 적분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이 없으면 통계학 용어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어려울 것입니다. 되도록 미적분학 및 수학과 전공인 선형대수, 해석개론을 이수하시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08/07/20 18:31
통계학과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말씀드리자면 미적분을 하긴 해야 되지만 비중이 그렇게 높지는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기업에서는 대부분 통계적인 일을 할 때는 SPSS, SAS, MINITAB 같은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언뜻 교수님에게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통계학과에 문과 였었던 학생도 있고 이과 였었던 학생도 있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저희 학교도 마찬가지입니다. 미적분이 상당히 중요하다면 문과 였었던 학생들은 절대로 통계학과에 지원을 하지 않았겠죠.
08/07/21 00:10
통계학 수업 들을때 미적분은 알면 좋지만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교수님들이 보통 미적분과 관계가 된 부분이 나오면 미적분을 이용해서 이러이러한 원리로 이런걸 알 수 있다. 하지만 너네는 알 필요가 없으며 우리는 이미 이렇게 얻은 결과를 이용만 할 뿐이다라는식으로 넘어가죠. 2학년 수업까진 그렇게 듣습니다. 3학년부터는 모르겠구요.
08/07/21 18:05
본 전공이 어떻게 되시고 왜 통계학을 고려하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TheOthers님이 고려하고 계신 동일한 루트를 밟았습니다.
본 전공은 사회학이고 전역 후 3학년 2학기부터 조금씩 준비했습니다. 몇 학번이신지도 상당히 중요할 것 같네요:: 제 경우는 고등학교 또한 문과이지만 미적분에 대한 노출이 있었고 수학에 대한 준비가 상당히 되어 있어 즐겁게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글쎄요 몇 분들이 답글을 주셨는데 통계학 전공을 단순히 취업을 위한 발판이나 도구로 삼으려 하신다면 일련의 미적분 및 선형대수 수업은 한 번 들어보는 것으로 족할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학부수준에서도 실질적인 이해를 도모하시고자 한다면 Tabloid님이 말씀하신 바와 같이 미적분 및 선형대수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고 잘 다룰줄 알아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