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7/10 01:31
점수가 3점차 이상이어도 주자가 있으면 세이브가 되는 경우가 있지요.
그게 주자수로 결정되는지 어느베이스에 있는지로 결정되는지는 저보다 야구 잘 아시는분이.. ^^:; 아, 그리고 투구이닝도 아마 관계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08/07/10 01:35
오늘의 경우 신고 다카츠 선수는 2점차 상황에서 등판했습니다. 등판했을 당시 상황이 세이브 상황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세이브는 성립합니다.
정확한 세이브 규정은 이렇게 됩니다. SAVES FOR RELIEF PITCHERS 10.20 Credit a pitcher with a save when he meets all thre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1) He is the finishing pitcher in a game won by his club; and (2) He is not the winning pitcher; and (3) He qualifies under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 He enters the game with a lead of no more than three runs and pitches for at least one inning; or (b) He enters the game, regardless of the count, with the potential tying run either on base, or at bat, or on deck (that is, the potential tying run is either already on base or is one of the first two batsmen he faces); or (c) He pitches effectively for at least three innings. No more than one save may be credited in each game.
08/07/10 01:40
점수차는 경기가 끝났을 때가 아닌 투수가 등판했을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3점차 이내에서 등판했을 때, 루상에 주자가 있다면 한명마다 1점씩 올라갑니다. (4점차 주자1루, 5점차 주자1,2루 등) <- 이건 확실하지 않네요....... 비슷한데 3이닝 이상 던지고 마무리했을 때.(10점차 상황에서 7회등판해서 마무리 등)
08/07/10 01:43
세이브의 기준은 등판시점입니다.
다카츠 선수가 등판했을땐 6-4의 상황이기에 세이브가 가능한 시점이었습니다. 9회노아웃 이전에 등판하면 3점차 9회원아웃 이후 기준으로는 주자 + 타자 + 다음타자가 득점시 동점이 되는 상황에서는 세이브가 됩니다. 9회이전에 등판했는데 4점차 이상의 차이가 날 경우에는 3이닝 이상을 던지고 게임을 종료하면 세이브가 됩니다. (단 승리를 챙기지 못했을 경우) 예를 들면 20-0 으로 이기고 있는 상황에 7회 노아웃에 등판해 9회까지 투구하면 세이브가 가능한거죠.
08/07/10 01:45
하만님// 9회 노아웃 등판 상황도 주자의 숫자에 따라 4점차 이상이라도 세이브 성립 됩니다. 제가 올린 조항 b에 해당하는 경우죠. 말씀하신 9회 원아웃 이후 상황도 같은 조항에 적용을 받습니다.
08/07/10 02:19
여러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만
1. 점수가 3점이내일때 (1점, 2점) - 0.1이닝, 즉 아웃카운트 하나면 됩니다. 흔히말하는 양아치세이브- 공 하나 던지고 세이브 챙기는 -_- 그런 상황이 나올 수 있겠죠 2. 점수가 3점차일때 - 1이닝, 아웃카운트 세개가 필요합니다. 3. 점수가 4점차 이상일 때 - 이 때가 좀 복잡합니다. 만약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올라왔을 경우 (터프 세이브) - 간단하게 말해서 올라온 마무리투수가 백투백(연속타자홈런) 을 맞았을 때 동점상황이 된다면 세이브 요건이 됩니다. 4점차라면 루에 주자가 2명 이상이 있을 때(12루, 13루, 23루, 만루 등) 등판하면 세이브 요건을 충족합니다 5점차라면 만루상황에서 나왔을 때에만 세이브 요건이 되겠죠. 6점차 이상일때- 혹은 4,5점차인데 루에 주자가 세이브요건보다 적을때? 이 때는 3이닝 이상을 던지면 세이브가 됩니다. 3이닝 이상 던지는 세이브는 흔치 않고, 3점차 이내는 계산이 쉬우니 4,5점차 세이브 생각은 백투백 맞았을때 동점이면 세이브- 이것으로 생각하세요. ^^ 아, 그리고 오늘 다카쓰 투수는 6-4 상황에서 올라왔습니다. 우리 히어로즈가 8회말에 다시 3점을 더 내서 9-4가 된 것인데, 이것은 세이브 투수가 올라온 다음 낸 점수이므로 관계 없습니다. 세이브는 세이브 투수가 올라왔을 때 그 상황만을 생각하는 겁니다 ^^ 참고로 계투진에게 주어지는 기록인 홀드 요건 역시 세이브 요건과 똑같습니다. 3점차 이내면 0.1이닝, 3점차면 1이닝, 그 이상이면 백투백맞으면... 뭐 이렇게요. 신기한건 최대 8.2이닝까지 던지고도 홀드를 챙길 수가 있다네요 ^^; 1-0으로 이기고 있는데(물론 말공일때만 성립하겠죠?) 선발이 나오자마 주자를 내보내서 바꾼다면 쭉 던지다가 9회 2사에서 투수를 바꿔주면 8.2이닝씩이나 던지고도 달랑 홀드 하나 챙길 수 있죠. 하지만 제 생각에는 선발승의 요건을 가진 투수가 없고 이 때는 기록원의 판단 하에 가장 효과적인 투구를 한 8.2이닝 계투가 승을 챙길 것 같네요..
08/07/10 04:39
지포스2님// 선발투수는 아무리 잘던져도 5이닝을 채우지 못하면 승리를 못가지는거로 알고 있어요;
아마 이론상으론 1회초 팀이 엄청 점수를 낸 후 1회말에 엄청나게 난타를 맞던 선발투수가 이닝을 끝내지 못하고 구원투수등장 1점 앞선상황의 위기상황에 팀을 구해내고 2회말에 등판한 투수가 9회말 2아웃까지 역투 후 세이브투수가 세이브를 챙기면 7.2이닝이 최다투구 홀드가 아닐지... 1회구원등판 투수가 위기상황에서 막아줘야 기록원에서도 승리를 줄듯하네요..
08/07/10 13:01
아 그런가요? 전 윤병웅의 기록과 기록사이 라는 칼럼에 그렇게 써있더라구요. 극단적으로 최대 8.2이닝 던지고도 홀드 먹는다고;
KBO 기록실장인가 하는 분인데 설마 모르실리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09&aid=0001964585& 기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