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0 19:28
성큰 스포어 도배하면 유닛 모으면서 멀티하시면 됩니다.
공격들어오라고 하는데, 들어갈 필요는 없죠. 9발업빌드면, 언덕 입구경우 12스포닝 해도 막을수 있는데 불안하시면 오버 스포닝이나 10스포닝, 11스포닝하세요. 상대가 발업누르면 오버스포닝빌드타도 레어는 비슷하거나 더 빨리 올리실수 있고, 상대보다 빨리 2해쳐리 갈수 있죠. 그깟 스콜지 오버테러쯤, 빌드빨로 먹고 들어갈수 있습니다. 미리미리 많이 찍어두시구요. (그렇다고 뮤탈못찍을정도로 뽑으면 안됨) 해쳐리 많이지면 뮤탈, 저글링을 더 많이 뽑을수 있으니 무리한 공격만 안간다면 주도권을 잡을수 있습니다. 이길수 있다고 생각될때 미시면 되겠습니다. 이제동선수가 아닌한, 빌드상성을 극복하기란 꽤 벅찹니다.
08/06/10 21:14
최대한 째는 쪽으로 하시면 될것 같네요.
12풀하신다음에 우선은 6저글링은 뽑으셔야 하고 그다음부터는 오버로드로 봐가면서 저글링이 추가되면 자신도 저글링을 추가해주며 나머지는 드론으로 돌리고 최대한 스파이어로 빨리가세요. 언덕입구가 있는 맵이라면 언덕위에서 둥글게 포진하시면 비교적 적은숫자로도 다수의 저글링을 방어할 수 있습니다. 진형을 유지시키고 있으면 상대방도 저글링 몇마리로 언덕밑으로 유인하는데 이것만 주의하시면서 수를 적당히 맞춰주시면 됩니다. 물론 불안하시다면 언덕해처리를 하셔서 성큰하나정도 깔아두어도 안정적이겠죠. 스파이어가 완성된 후에는 투해처리를 기준으로 6마리 뮤탈을 한번에 뽑아서 뭉쳐서 스컬지 대비하셔도 되구요. 자신도 같이 스컬지를 소수 생산해서 먼저 오버부터 잡으신후에 뮤탈 늘리셔도 됩니다. 어차피 가스와 미네랄에서 조금씩 더 이득을 가져간 빌드이므로 스파이어완성후에 방업을 눌러주시고 후에 저글링 발업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뮤탈뽑고 남는 미네랄을 전부 저글링으로 돌려서 공세를 취하시면 몰아낼 수 있을겁니다. 그 후는 간헐적인 저글링 견제에만 대비하시면서 뮤탈 유지-> 남는 미네랄 멀티 정도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어차피 9풀발업에 스포어 성큰을 그정도로 짓는다면 처음 8기가량 뮤탈을 모으고 난 이후로는 멀티도 수월하게 먹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08/06/11 06:49
친구분이 성큰이나 스포어 같이 방어에 치중한다면 그만큼 병력은 적다는 얘기가 됩니다. 정찰로 병력 양을 파악하고 그 병력을 막을 수 있는 만큼만 뽑으면서 멀티를 늘려나가면 격차를 크게 벌릴 수 있습니다. 저그 유저가 저저전이 아닌 타종족전에서 특히 가져야 할 기본적인 마인드지요.
08/06/11 11:56
저그저그전은 빌드싸움이 기본이기 때문에 12풀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쵸고수가 아닌 이상 배틀넷에서 뮤탈컨트롤이 너무 힘들기 떄문에 뮤탈 스커지 비율은 1:1 로 해서 앞마당에서 기다리고 있으면 될 듯하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