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6/10 18:36:20
Name kiss the tears
Subject 플스2에 대한 조언 부탁드려요
플스2를 하나 사려고 여기저기 뒤지고 아무리 글을 봐도 너무 어려워요
게임기에 관한 최고의 웹인 루리웹을 가도 기본 바탕이 없어서 그런지 외국어 보는 듯한 느낌이 들더라구요
일단 궁금한게 몇가지가 있어요

1. 새제품이랑 중고랑 차이는 뭔가요?
여기저기 보니까 렌즈가 오래되고 해서 인식률(?)도 떨어지고 어쩌고 저쩌고 하던데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2. 기본적으로 게임을 할려고 하면 뭐가 필요하나요?
글을 보면 패드랑 메모리 그리고 하드(?) 이런것도 필요한거 같더라구요
3. 노개조라는 말도 있고 개조라는 말도 있고 하드플스라는 말도 있던데 이건 무슨 말인가요?
제가 알아본 바로는 개조라는 건 어둠의 경로를 통해서 구한 시디를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논거라는 건 알겠는데
하드플스는 뭔가요? 자세히 읽어보면 하드에 게임을 넣어놨다고 하는 글이 많던데
하드에 게임을 넣어놨다는 건 렌즈인식률이랑 상관없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건가요?


너무 많은 질문이죠?
안그래도 루리웹에 글을 올렸더니 너무 짧은 답변에 글만 뒤로 죽죽 밀려서
이렇게 염치없게도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질문에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0 18:56
수정 아이콘
일단 개조같은것은(칩을이용한 복사시디구동 혹은 메모리카드부팅,전용미디어를 이용한 하드플스) 불법이기에 공개적으로 거론하는건 좋지 않네요..(그러면서 대충 설명은 설명대로 드렸군요)
렌즈가 오래되면 잘 인식이 안됩니다만 교체가격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래서 제 친구들중에도 렌즈가 맛이가면 새로 중고를 하나 사는친구들이 좀 있네요..

기본적으로 게임을 하려면 메모리카드(세이브안할꺼면 필요없겠지만), 조이패드, 게임 이 있어야겠죠.

그리고 하드에 넣어놨을경우 메모리부팅을 이용할 경우 렌즈는 '거의'-필요시에만 쓰는수준-안쓰고 미디어를 이용할 경우 구동시에만 쓰입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네이버지식인에도 많이 나와있고 패치에 모드에 등등등 하드관련쪽으로만 무진장 파고있는 포럼도 있습니다. 잘 찾아보시길..
08/06/10 18:58
수정 아이콘
일단 전제조건으로 플스3를 사시라고 권해 드리고 싶네요....
그럼 답변을 달아 보자면....

1. 새제품이랑 중고랑 차이는 뭔가요?
여기저기 보니까 렌즈가 오래되고 해서 인식률(?)도 떨어지고 어쩌고 저쩌고 하던데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 PS2는 시디롬을 인식 합니다. 이때 시디는 광학저장매체기 때문에 렌즈를 사용해서 읽기를 하는데요.
이떄 오래 사용하거나 좀 않좋은(복사시디같은)시디를 사용하면 렌즈의 수명이 떨어집니다.
쉽게 생각하면 3년정도 겜을 열심히 하면 기기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요걸 해결하기위해 하드 플스가 나왔습니다. 설명은 아래로...)

2. 기본적으로 게임을 할려고 하면 뭐가 필요하나요?
글을 보면 패드랑 메모리 그리고 하드(?) 이런것도 필요한거 같더라구요
==> 패드는 당근 필요 한거고(컴퓨터의 키보드 같은거...) 메모리는 세이브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해 필요합니다.
(없으면 모든 게임을 계속 새로 시작해야 합니다.) 하드디스크는 하드플스를 사용하기위해 필요한데 이것도 설명은 아래에서..

3. 노개조라는 말도 있고 개조라는 말도 있고 하드플스라는 말도 있던데 이건 무슨 말인가요?
제가 알아본 바로는 개조라는 건 어둠의 경로를 통해서 구한 시디를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논거라는 건 알겠는데
하드플스는 뭔가요? 자세히 읽어보면 하드에 게임을 넣어놨다고 하는 글이 많던데
하드에 게임을 넣어놨다는 건 렌즈인식률이랑 상관없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건가요?
==> 자 이제 위에서 넘겨왔던 설명을 해 보도록 하죠. 개조 플스와 하드플스를 알기 위해서는 플스 개조의 역사를 알아야 합니다.

1. 개조 플스 : 플스2는 기본적으로 시디롬을 저장매체로 사용합니다. 그러니 요즘처럼 CD-RW가 잘보급된 세상에서는 시디를
복사해서 사용하고 싶겟죠... 근데 그냥 복사해서는 플스에서 돌아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복사시디를 플스가 인식할수
있겟끔 플스를 개조해 버리는것이죠... 개조 방법은 개조칩을 플스내부에 설치하는 겁니다.
왠지 일반인들이 하기는 어렵겟죠? 게다가 위에서 말했다 시피 복사시디를 개조플스에서 돌리면 렌즈 수명이 짧아지는
결과를 초래할수 있습니다. 당근 AS도 안되고요 그래서 자신의 플스를 개조해 버리는것은 잘 안하는 추세가 되었죠..

2. 하드플스 : 위의 문제떄문에 하드플스라는것이 나왔습니다. 플스자체를 개조 하는것이 아니라 부팅 펌웨어를 만들어서 플스에서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게 해 버리는것이죠.. 이러면 복사시디가 문제가 아니라 시디 자체가 필요 없어 집니다.
걍 하드디스크에 게임을 넣고 돌려 버리면 다 돌아갑니다. 매우 좋죠? 그래서 플스2 마지막 시기에는 모두들 이렇게
사용했습니다. 지금 나오는 중고들은 모두 하드플스일겁니다.

대답이 됐는지... 부족한점 있으면 쪽지 주세요~~~
08/06/10 19:03
수정 아이콘
흐흐 윗분께서 자세히 설명해 주셨네요.
만약 중고로 샀는데 하드플스다~ 그러면 시디스페이스나 데몬마냥 사용하시면 됩니다.
kiss the tears
08/06/10 19:2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하드플스라는게 불법이군요
모르는 것도 죄라고 이렇게 공개적으로 질문 드린거 죄송합니다.


그다지 중요하지도 않다고 생각될 수도 있는 질문에
개인적으로 시간까지 내셔서 답변 달아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998 던파 하시는 분 소환사 스킬트리 좀 알려주세요 [3] 레미오로멘2598 08/06/10 2598
37997 [질문] 촛불집회 갈때 자동차 주차.. [1] 아돌프2143 08/06/10 2143
37996 스타 컴터 인공지능 올리는 프로그램.. [2] 바카스2165 08/06/10 2165
37995 저그대 저그 질문입니다.. [7] 언젠가는..1509 08/06/10 1509
37994 일본 역사 만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5] 기사도8919 08/06/10 8919
37993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 향상 [1] 무당스톰~*2124 08/06/10 2124
37992 [대학입학] 질문(한양대 소재 디자인 학부 분 봐주세요::) [2] 해솔1740 08/06/10 1740
37991 스타크 소리를 0 으로 [3] 무당스톰~*1788 08/06/10 1788
37990 플스2에 대한 조언 부탁드려요 [4] kiss the tears1683 08/06/10 1683
37989 턱시도 클라이언트 질문입니다. 초보적인거에요 [2] Cazellnu2324 08/06/10 2324
37988 인터넷에서 클릭할 때 나는 소리가... [2] 터프이너프@2112 08/06/10 2112
37987 포멧한 후 어떻게 복구하지요?? [1] 타우τ1783 08/06/10 1783
37986 남자 쇼핑몰 추천좀요^^ 인생의참된것2149 08/06/10 2149
37985 오프닝 BGM 질문인데요 [3] ICaRuStoTheSkY2119 08/06/10 2119
37984 파이썬 옵맵 버그 없나요? [2] on&on2190 08/06/10 2190
37983 6.10 항쟁 이후.. 왜! 노태우가 당선된 거죠? [7] 오뱅2230 08/06/10 2230
37982 프로리그 팀 기여도??? [1] 있는혼1633 08/06/10 1633
37981 4자성어 질문입니다. [4] Ronaldo91961 08/06/10 1961
37979 쓸만한 툴바 추천 좀 해주세요. [4] 먼산2082 08/06/10 2082
37977 청바지 질문입니다! [5] 가니야2221 08/06/10 2221
37976 제가 드랍핵에 걸렸는데요 [2] 킹왕짱킥1939 08/06/10 1939
37975 손학규, 이재오에 대해서 알려주십시오 ~~ [9] 메타루2044 08/06/10 2044
37974 pgr 경제학도 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러너의 독점지수 도출 방법에 대해서요! [2] 정태영4103 08/06/10 41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