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4/08 22:07:14
Name 총없는마린
Subject 제 아들이 키가 너무 큽니다
죄송합니다
이런 글도 질문 게시판에 올려야 하는지 무척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어쩌면 염장글이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때문에..
제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키로는 전교 1위를 놓친 적이 없습니다.
현재 중학교 1학년인데 키가 185cm 입니다.

부모된 입장으로 얘를 계속 공부를 시켜야 하나..아니면 농구나 배구 등 운동을 시켜야 하나..
하고 고민이 많습니다.
일단 올해 말까지 190cm에 도달하면 정말 심각하게 고민을 해야합니다.
이제까지 성장 추세로 보아 충분히 도달할 것 같습니다 ㅜㅡ

조언을 좀 해주시기 바랍니다.

덧글.
참고로 현재 어린 아이들을 키우시는 부모님들에게 제 경험으로 자녀들 키를 크게할 수 있는 방법이랄까..

첫째. 무조건 잠을 많이 재우세요
        저희 아이는 어릴 때부터 초등학교 5학년까지는 무조건 밤 9시가 취침 시간이었습니다.
        
둘째. 잘 먹어야 합니다
      절대 인스탄트 음식 먹이지 말고 집에서 정성껏 해 먹여야 합니다.
      햄버거는 1년에 한두번(생일 때) 먹였고 청량 음료, 사탕, 아이스크림 등은 절대...
      심지어 5살 때부터 한 7~8년간 콩을 직접갈아 매 끼 한컵씩 먹였다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빨간당근
08/04/08 22:11
수정 아이콘
소질만 있다면야 밀어주심이 어떨지요?
오우 키 부럽습니다. ~

PS. 마린님도 키가 크신가 봅니다.. 축복받은 유전자
08/04/08 22:12
수정 아이콘
아버지...ㅠㅠ
수입산 캐리어
08/04/08 22:13
수정 아이콘
와우 부럽네요,,, 에휴
일단 아이가 운동을 하길 원한다면 밀어주셔야죠.
세상속하나밖
08/04/08 22:13
수정 아이콘
염장글.... 슬프네여..

..난 잠은 많이잤는데 왜 키가 이모양.. [유치원때부터 9시에는 잤다는....]

슬픕니다..
08/04/08 22:14
수정 아이콘
우선은 새벽2시까지 스타를 버닝시켜서 성장을 멈추게 하시는게..;;
농담이구요.. 운동신경이 있고 아드님께서 흥미가 있으시다면 진지하게 한번 시켜보시는 것도 좋겠고
공부에 길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열공시키시고 취미로라도 농구는 꼭 배우게 하셨으면 좋겠네요^^;
아드님께서 학교에서 인기남 되실 듯..
개념less
08/04/08 22:18
수정 아이콘
중1에 185 후덜덜.......

혹시 뭔가 건강에 이상에 있는 건 아닐까요? 말단 비대증이나 거인증이라던지... 정말 크네요;
08/04/08 22:18
수정 아이콘
성장이 멈추기를 바래야하는 아이러니한;; 부모님의 심정이시겠어요;
시원하게 답변을 못해드려서 죄송 ;; 저도 땅꼬마인지라 ㅠㅠ\
유대현
08/04/08 22:23
수정 아이콘
아~ 부럽네요. ㅜ.ㅜ

전 잘 먹었는데 왜...
08/04/08 22:24
수정 아이콘
친구중에 190넘는 애들 있긴한데 공부 열심히해서 좋은 곳 가더라구요.
운동에 관심이 있으면 모르겠지만 없다면...
웨인루구니
08/04/08 22:24
수정 아이콘
축구 축구 축구 축구 축구
한국의 피터 크라우치, 클로제가 될 수 있습니다.
08/04/08 22:25
수정 아이콘
190cm 후덜덜

아드님 농구나 야구에 관심이 있지는 않나요?
밀가리
08/04/08 22:27
수정 아이콘
중1에 185면 좀 심각한거죠. 부럽게 볼만한 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저는 의학지식이 하나도 없지만 거인병이나 비대증걸릴 수도 있으니까요.

제 주위에 키는 195이나 운동신경이 전혀없어서 그냥 평범하게 사는 사람이 있는데

195정도 되는 사람이 운동을 안하고 일반인과 지낸다면 스트레스가 의외로 심하다고 합니다.


제 생각에 아드님께서 운동신경이 좀 있고 운동선수 되고 싶다라고 하면 운동선수로 멀어주세요.


뭐 운동을 하건 그냥 공부를 하던 병원가서 성장판 검사 함 해보시는게..(야매로 해주는데 말구요 -_-..)
08/04/08 22:30
수정 아이콘
보통 비대증 환자들은 생긴게 다들 비슷하던데
사진을 보고 싶네요.
총없는마린
08/04/08 22:31
수정 아이콘
참고로 애 얼굴이 좀 작은편입니다. ㅡㅡ;
거인증 그런 것은 전혀 없습니다
제키는 181정도이고 집사랍은 168정도로 학교 때는 큰 편이 맞습니다
요즘은 그렇게 큰 편은 아니지만..
중학교 들어가서 특활이라 해야하나? 토요일날에 동아리 활동 비슷하게 하는것은 농구부에 들어가 있습니다
(제가 강제로 ㅡㅡ;)
덴나우
08/04/08 22:31
수정 아이콘
우선 확신이 안들더라도 운동에 소질이 있다면 기초체력이나 기본기같은것은 따로 배워놔야 할 것 같네요... 운동의 기본기는 늦게 시작하면 늘지않는게 일반적인데, 키클때까지 지켜보다간 중요한 때를 놓칠수도 있을것 같네요... 운동신경이 있고 운동을 좋아하면, 하나를 택해 과외활동으로 기본기를 익혀놓으면서 차후를 대비하면 될듯 합니다.
08/04/08 22:50
수정 아이콘
..우와 중1에 185 ㅜ.ㅜ 실례가 될지도 모르겠지만 그저 부럽습니다 ㅜ.ㅜ
GreeNSmufF
08/04/08 22:52
수정 아이콘
골프를 시키시는게 어떨지..
Cute Poison
08/04/08 22:59
수정 아이콘
중1에 시작해서 빛을 볼 수 있을만한 운동이 그리 많지는 않아요...
아드님이 운동 신경이 뛰어난 편인지 냉정하게 판단해 보시길 바랍니다.
운동 신경이 떨어지는데 단순히 키만 큰 거라면, 혹여 성장이 갑자기 멈췄을땐 이도저도 아니게 될 수 있습니다.
태엽시계불태
08/04/08 23:05
수정 아이콘
운동신경이 뛰어나다면 농구하는게 좋죠.
앞으로 키가 더 자랄 것을 생각하면 키가 크면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농구가 좋죠
배구보다 인기도 있고..
08/04/08 23:07
수정 아이콘
그냥 공부 시켜서 엄친아를 만드시죠.
Lonelyjuni
08/04/08 23:09
수정 아이콘
얼굴도 작고 잘생겼으면 연예인 쪽도 괜찮을듯?
Anarchie
08/04/08 23:18
수정 아이콘
모델을 추천해드립니다...
08/04/08 23:26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두분다 크셔서 그런거 같네요 ^^
불타는눈동자
08/04/08 23:37
수정 아이콘
키를 이용해서 진로를 결정한다면야 별 할말은 없겠으나,
정상적인(=평범한) 사회생활을 위해선 그만 커도 되겠네요.^^

키가 큰게 부담이된다 싶으면
윗분 말씀대로 일단 병원에서 성장판을 검사해보는 게 좋을 듯 싶고요,
제 경험을 비추어 보면 '헬스'하는 것을 권해봅니다.
호르몬 등에 의해 생리적으로 크는 건 병원에서 해야할 몫이지만,
후천적으로 키 안크게 하는데는 헬스만한 것이 없더라고요. ^^
제갈공명토스
08/04/08 23:43
수정 아이콘
저는 중1때.. 키 140 이었는데.. 지금은 160... 그래도 부러워요~
웨인루구니
08/04/09 00:07
수정 아이콘
불타는눈동자님// 성장판을 자극해서 더 클 수도 있습니다.
서전트
08/04/09 00:08
수정 아이콘
저도 중1때 175~180정도 였던것 같았는데
운동선수같은건 억지로 하는것보다 자기가 좋아하고 운동신경도 어느정도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중1에 키가 그정도면 알게 모르게 키가 크다는 것 때문에 주목받고 나름 스트레스 받는면도 있습니다
저도 주변에서 듣기로는 헬스를 하면 키가 안큰다고 말이 많던데 헬스를 시켜보시는것도...
08/04/09 00:31
수정 아이콘
이제부터라도 키가 못크게;; 맨날 밤새고 인스턴트먹고 하는건 어떨런지...;;;
The Icon
08/04/09 00:45
수정 아이콘
제가 중1 입학할 때 183cm인 친구가 있었습니다.
키만 큰게 아니라 얼굴도 작고 팔다리 길쭉길쭉하고. 싸움도 학교에서 2번째로 잘했고 키는 당연히 전교에서 거의 가장 큰 축에 속했죠.
중1때 참 친하게 지내다가 그 이후로 반 갈려서 자주 못보고 (키는 그대로였던 걸로 기억) 고등학교는 완전히 다른곳으로 갈려서 오랫동안 못봤는데..
몇년전 아주 오랜만에 만났을 때는 그냥 좀 크네? 정도의 생각밖에 안들더군요.
중1때 키가 거의 성인이 될 때까지 유지된거죠.
제가 뭐 자식을 가진 입장도 아니고 해서..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너무 걱정은 마시고 좀 더 지켜보셔도 될듯 합니다. 작은거보다는 훨씬 낫잖아요 ^^
그래도 정 걱정되신다면 뭐 성장판 검사같은거 정도는 해보시는 것도 괜찮겠지만요..
08/04/09 01:43
수정 아이콘
이런 질문은 여기서 하시는게 아니라 아들손을 잡고 얘기하시는 것이 어떨런지,,,
저희 아버지께서도 어릴적에 넌 뭐가 되고싶으냐 물으시면서
니가 원하는 것이면 끝까지 포기하지 말라고 하셨거든요,,,
그말 덕분인지 아닌지 몰라도 아직까지 그때의 꿈을 품고 살아가고 있기에^^,,,
게레로
08/04/09 02:16
수정 아이콘
확실하게 키작아지는 운동은... 럭비하시면됩니다.
포지션은 포워드로..... 키하나는 확실히 줄입니다. ^^;;;;

운동은 정말 대성할 자질이 보인다면 시키세요.....
블랙잭
08/04/09 02:20
수정 아이콘
중1떄 185면 큰거지만 그렇다고 문제 될 정도로 크진 않습니다.
거인증은 오버고..ㅡ.,ㅡ 왠 설레발 들이...서구쪽에선 심심찮게 볼수 있는 신장입니다.
그리고 현재 거의 다 큰 상태라면 20대 넘어가면 좀 큰 정도지 너무 크다 정도는 아닙니다.
농구 같은 경우는 이미 초등학교떄 190 넘는 애들을 스카웃 해갑니다.
중1떄 185는 농구하기에 오히려 작은 편에 속합니다. 더 클 가능성이 있다면 모르겠지만요..
애가 운동을 "정말" 좋아하고 의지가 있다면 빨리 시키는게 좋습니다. 지금도 좀 늦은 편이에요
그런데 좀 체격이 되서 시켜본다....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중 1떄 185면 보통 사람중에서 큰거지 운동 선수중에서는 그렇게 큰편이 아닙니다.(축구는 제외)
그리고 운동은 재능빨이 좀 큰편이라서 하늘이 내린 재능이라던지 아니면 상당히 뛰어난 재능에 미칠듯한 노력 + 독기가 없으면
운동쪽은 그냥 취미로 시키는게 좋습니다.
재능 + 노력 + 운 삼박자가 완벽해야 성공한 운동선수가 될수 있습니다.
혹시 집안이 좀 사시면 시켜보시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가능성이 있다면요.
성공하지 못한 운동선수가 할수있는건 한국에선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키 커서 그렇게 나쁠거 없습니다. 자기만 당당하면 되지요.
너무 걱정되시면 전문 카운슬러와 이야기 해보세요. 키가 너무 큰 아들을 가진 가장의 고민...이런식으로요. ^^
마린님께서 원하시는것보다 아드님이 원하는걸 시키시는게 미래를 위해 좋다고 봅니다.
진리탐구자
08/04/09 02:39
수정 아이콘
블랙잭님// 중 1때 185면 큰 겁니다. 프로 농구 선수 중에서도 185 안 되는 선수들 많은데. ;; 평균이 190 조금 넘을 겁니다.(국가대표 평균이 188~195 사이에서 오락가락 합니다.) 고등학교 농구부에서도 185면 포워드는 봅니다.

그리고 185넘는 남성은 한국 20대 남성 중에서 2% 안에 들어갑니다.(병무청 통계)

180만 넘어도 상위 10%입니다.
08/04/09 02:52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 //그럼 저는 2%군요. 하하하. 하지만 얼굴이 커서 다 소용없다는 사실..
Mr.Children
08/04/09 03:19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님// 그렇죠. 분명히 통계에서는 180이상이 10%밖에 안되어야하는데 주변에 180넘는 사람이 너무많아요 ㅠ
낭만토스
08/04/09 07:24
수정 아이콘
전 아주 큰 편은 아니었지만 중1때 172, 중2때 179 이렇게 컸는데, 중2무렵부터 프로게이머를 꿈꾸며 매일 새벽 4시에 자는..... 비 정상적인 것을 중2, 중3, 고1, 고2 까지 했었습니다.

결국 중2때 179 중3때 180 고1때 181 고2때 182 고3때 183 그리고 안크더군요.

확실히 잠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조금 후회합니다....183도 물론 큰 키인데 개인적 욕심에서는 185까지 크고 싶었거든요....
총없는마린
08/04/09 09:32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투표 잘하시고 편안한 휴일 되세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620 남자 셋이서 1~2일 여행 갈만한 곳 추천 좀 해주세요. [4] 문앞의늑대3705 08/04/09 3705
35618 올해 첫 모의고사 성적표가 나왔는데요! [9] 아벨1944 08/04/09 1944
35617 호테이 토모야스 곡 중에서.. [2] 악학궤범a1775 08/04/09 1775
35616 좀 황당한 질문인데요.. [2] bins2137 08/04/09 2137
35615 정다빈 타살 가능성 질문입니다. [5] worcs3327 08/04/09 3327
35614 영어듣기 잘하시는분~~ [10] Juan1835 08/04/09 1835
35613 토스대 저그전 이런스타일상대할때... [8] 삭제됨1841 08/04/09 1841
35612 경매사이트좀 알려주세요 [1] 낚시꾼1503 08/04/09 1503
35611 비스타 이용시 맨 밑 버튼이 보이지 않는 문제는? [2] lxl기파랑lxl1578 08/04/08 1578
35609 핸드폰 추천+가격좀 알려주세요. [1] 도시의미학1651 08/04/08 1651
35608 컴퓨터 USB가 문제입니다. [1] 말콤X1536 08/04/08 1536
35607 제 아들이 키가 너무 큽니다 [37] 총없는마린4051 08/04/08 4051
35606 내일 학교 안가도 되나요? [11] culture2290 08/04/08 2290
35605 챔스나 웨파컵 의사소통에 대해서... [12] 리틀세브첸코1826 08/04/08 1826
35603 국기봉선수 라이브 배틀에서 성적이 어땠나요? [3] 태엽시계불태2475 08/04/08 2475
35602 치솟는 경우값에 대해.. [12] park1605 08/04/08 1605
35601 mbc게임이 안나와요 [1] 우완투수1893 08/04/08 1893
35600 맞춤법 질문... [1] 악마는프로브1755 08/04/08 1755
35599 별 혹은 은하수를 잘 아시는 분 없나요? [5] TaCuro1603 08/04/08 1603
35598 군입대를 위한 신체검사에 대해서 여쭤볼 것이 있습니다. [5] jgooon1937 08/04/08 1937
35596 롯데 강민호 포수에 관한 질문 ~ [3] susimaro1582 08/04/08 1582
35595 안경을 처음 끼는데요 ;; [17] 오락가락2302 08/04/08 2302
35594 다음주 월요일 운전병 입대하게 됬습니다. [5] yangeuddeum2107 08/04/08 21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