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3/10 12:01:57
Name 히히히
Subject 올림푸스때 서지훈선수
제가 올림푸스배 결승부터 스타를 시청했는데요

어제 올림푸스 결승보니까 생각이났는데요

그때 서지훈선수가 준결승에서 임요환선수를 3대0으로 이겼었는데.

그 시합후 사람들의 반응이 어땟었나요?

얼마전 김택용선수가 강민선수 이길때처럼 우스겟소리로 탄핵이다 머다 달아올랐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석호필
07/03/10 12:35
수정 아이콘
김택용선수가 강민선수 이길정도의 파란정도는 아니였을듯
그당시에 서지훈선수 테테전 잘했고, 비프로스트 잘했으니깐요..
07/03/10 12:43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 4강 전체경기 시간이 2시간이 안넘었죠. 양쪽에서 워낙 압도적으로 잡아서 ㅡㅡ;; 강민선수 패한거 만큼 반응이 크진 않았습니다. 지금와서 그때처럼 패한다면..;;
07/03/10 12:47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가 대 테란전에 약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시기였고, 서지훈 선수는 당시에도 테테전 짐승 취급 받았었기에 지금처럼의 대파란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었습니다. 물론 반응이 어느정도 있었습니다.
히히히
07/03/10 13:03
수정 아이콘
네^^ 답변 감사합니다~
새벽의사수
07/03/10 13:36
수정 아이콘
대파란은 아니었고 그냥 멍-한 충격, 그런가보다... 하는 반응 정도였습니다
음 워낙 오래된 이야기네요. 흐흐
세이시로
07/03/10 13:46
수정 아이콘
달아오른 게 아니라 싸하게 가라앉았었습니다.
8강까지 임요환 선수의 기량이 워낙 좋아서 (16강 죽음의 조를 이재훈 전으로 마무리하며 극적으로 통과)
팬들이 많은 기대를 했었죠.
양대리그에서 좋은 모습 보여줬었고...

그런데 서지훈 선수에게 3:0 패...
물론 무적시절은 아니었지만 여전히 최고수로 인정받던 시기입니다.
팬들은 충격으로 울먹였고
임요환 선수는 자신을 더는 황제라고 부르지 말라는 글까지 썼었습니다.
완성형폭풍저
07/03/10 14:20
수정 아이콘
솔직히 임요환선수가 봐준줄 알았습니다..;;

그 당시 임선수는 여전히 강력한 황제였었고
서지훈선수는 챌린지에서는 무적이었지만, 메이저에서는 안될것이라고 제 개인적으로 판단할때였는데..
3:3으로 졌다는 소식을 듣고는 임요환선수가 봐주었고... 무엇인가 스토리작가가 뒤에 있다는 생각을 했었죠..
물론 게임내용보고서는 생각을 고쳤지만요..
하지만 솔직히 내용보고서도 임선수의 기량에 의문을 품었습니다..
생각보다 원사이드하게 밀렸거든요..
그당시 저에게는 굉장한 충격이었습니다..
그리고 홍진호선수가 원사이드하게 우승을 할줄알았죠..
그래서 무척 좋아했었고 결승 4라운드 종반까지 그 흥분을 유지했었습니다.. ㅠ_ㅠ
07/03/10 16:34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가 임성춘 선수와의 대전때도 그렇고
(엄재경 해설이 이제 플토의 '셔틀토스는 써서는 안되는 전략같아요. 다 막잖아요...'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몇몇 경기에서 '사기적'이라는 소리를 들었기에 당시에 '임요환이 질 수도 있다'라는 생각은 많았습니다. 3:0이라서 충격이었지만
FreeComet
07/03/11 20:52
수정 아이콘
당시 저로선 이번에 김택용선수가 강민선수를 3:0으로 잡은것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전 임요환선수의 팬이기 때문에 그 정도가 더 심했죠. 이번에 강민vs마재윤의 성전을 기대했던만큼 당시엔 결승전에서의 임진록성사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점쳐졌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이번과 의 비슷한분위기였죠. (다만 임요환의 무조건승리를 예상하는 정도는 아니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399 저도 컴퓨터 견적 평가좀 부탁드릴께요... ^^;; [8] grand20011735 07/03/10 1735
26398 draw 게임이 자주 나오는거낙요? [4] Canivalentine1554 07/03/10 1554
26397 PGR 초보 질문드립니다. [4] BritneySpears1518 07/03/10 1518
26395 영어 진짜 기초부터 설명되있는 책 없나요? [3] Rukawa1790 07/03/10 1790
26394 올림푸스때 서지훈선수 [9] 히히히2422 07/03/10 2422
26393 ac밀란의 호나우두는 챔스에 출전못하나요? [5] 지니-_-V1918 07/03/10 1918
26392 컴퓨터 조립하려고 하는데 질문좀 하려구요 [5] scvDancE1520 07/03/10 1520
26389 ktf판매원 해보신분? [1] 김종설1501 07/03/10 1501
26387 고2 문과생 수학공부의 방향성에 대한 질문 & 영어문법책 추천바랍니다. [4] KINKIN2164 07/03/10 2164
26386 선수들과 게임단은 협회의 입장에 동조하는 겁니까? [4] hwang181574 07/03/10 1574
26384 공중파, 지상파? [1] [군][임]2405 07/03/10 2405
26383 복학시기 질문입니다.. [3] MBHong1527 07/03/09 1527
26382 책 좀 추천 부탁드려요^^ [5] 보아남자친구1515 07/03/09 1515
26381 자기소개서쓰는것좀 여쭤볼께요 [3] Daylight1546 07/03/09 1546
26380 아주 예전에, 개그맨 박명수씨가 게임방송에 출연한 적이 있던 것 같은데... [1] Nuke2137 07/03/09 2137
26379 저그로 토스 어떻게 잡아요? [8] 유리아주2046 07/03/09 2046
26378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중에.. [1] Lisitya1617 07/03/09 1617
26377 협회와 방송사? 사랑은아이를1548 07/03/09 1548
26376 지금 케스파컵에 처음보는 게임단?? [3] 고등어3마리1914 07/03/09 1914
26375 천안에서 지하철로 서울을 가려는데 급행과 완행의 시간차이는 얼마나 되죠? [1] 뻘짓2583 07/03/09 2583
26374 챔피언스리그 8강 조추첨에 관련해서.. [1] A.COLE2013 07/03/09 2013
26373 이스포츠 대상 방송 해줬나요? [1] 그냥1521 07/03/09 1521
26371 복학생입니다 [4] 담백한호밀빵1546 07/03/09 15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