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21 17:48
적성에 따라 고르시면 됩니다.
역사 파트 : 국사, 근현대사, 세계사 지리 파트 :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일반사회 파트 :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 사회 윤리 파트 : 윤리 각 군별로의 특징이 있습니다. 문제 풀이에 자신 있으시다면 정치 추천합니다. 사회문화는 배울때는 쉽지만 수능장 가서는 무.척.이.나. 어려우니 공부 열심히 하시길.
06/11/21 17:50
저도 이번에 문과로 돌려서 재수를 해야하는데요..
사탐 선택때문에 고민을 하고있는데.. 2년동안 과탐만 하다가.. 사탐 쌩초보라서...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과..표점따기 유리한 과목이 뭘까요?
06/11/21 17:52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 : 사회문화, 한국지리, 한국근현대사, ... 순입니다. 예전에는 국사도 여기 들어왔습니다만, 최근 응시자 수가 급감하고 있고, 지리군과 일반사회군이 많이 치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표점따기 유리한 과목은 없습니다. 말그대로 로-_-또쯤 됩니다.
아 어려운 과목 하나 있습니다. 국사라구요.
06/11/21 17:53
그렇다면 제가 지금 그냥 나름대로 고른...댓글로 질문해서 죄송하지만..
1. 사회문화 2. 한국지리 3. 경제 4. 윤리or근현대사.. 어떨까요
06/11/21 17:56
선택 과목이 저랑 거의 비슷하시네요 ' 'a 저는 한국지리를 택했었습니다만 ^^;; 혼자 공부를 하실 생각이시면 아무래도 지리나 역사쪽보다는 일반사회 쪽이 나을 듯 합니다. 사정도.. (법사에 비해 정치가 조금 쉽긴 합니다) 혼자가 아니라면 역사나 지리쪽이 쉽지요.. 배운대로만 하면 되기 때문에 ^^ 문제도 많이 풀어보셔야 하구요. 그리고 Short 님 ,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이라면 사회문화가 있습니다. 표준점수는 그래도 괜찮은 편입니다.사회문화 같은 경우는 문제를 많이 풀어보신다면 왠만큼 어려운 문제가 아닌이상 수월하게 풀 수 있기 때문에 점수 올리시기는 쉬울겁니다. 그리고 제 선택과목이 아니라서 잘 모르겠지만 윤리의 경우 난이도에 따라서 표준편차가 상당히 갈리기 때문에 난이도의 예측이 가능하시다면(될까;;;) 한번 선택하시는 것도 괜찮을 듯 합니다.
06/11/21 18:48
사탐은 자기 적성이나 흥미에 맞는게 좋아요. 정 정하시기 어렵다면..
지리 추천해요. 한국지리랑 경제지리는 서로 내용이 맞물리거든요. 국사는 워낙 양이 방대하고... 저같은 경우는 사문, 세지, 근현대사 이렇게 3개만 치룰계획이에요
06/11/21 20:24
올해 사탐 잘못 선택해서 피눈물 낸 고3입니다.
국사, 근현대사, 법과사회, 사회문화 했는데 앞 3과목은 만점 맞아도 표준점수 70이 안나올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한국지리와 근현대사 추천입니다. 근사가 올해 좀 이상했지만 그런데로 점수 잘 나오는 과목이고 한지도 그러니까요.
06/11/21 20:24
세계사 어떠신가요? 05때 국사,근현대사, 세계사, 정치 이렇게 봤는데 대체로 무난합니다. 세계사 누드로 한번 읽고 정리만 하면 50점은 그냥 ㅋ
06/11/21 20:55
사회문화가 쉽다곤 하지만 시험은 그다지 쉬운편이 아닙니다...ㅡ.ㅡ;
국사는 뭐 서울대 가려면 해야하구요.. 정치나 법사쪽 하나는 해두시는게 논술에도 좋으실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