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6/01/18 23:27:57
Name EzMura
Subject 우유를 계속 먹어야할까요?
올해로 18살이 되는 고2 입니다.

아침을 먹고 학교에 가면 3교시쯤되면(11시경?)

배가 고프더군요.

그래서 이번 겨울부터는 아침을 먹고 매일 받아먹는 우유 하나(180ml)를 먹고

등교를 합니다.

그런데 우유를 먹고나면 꼭 속이...=.=;;;;

그래서 우유먹고 10분쯤 기다렸다가 화장실갔다가 등교합니다...-_-

평소에 소화기관이 안 좋아서인지는 몰라도 식사 시간도 무척 깁니다.

평균 30분?

소화기관 안 좋은 사람은 우유도 안 좋다던데...


그런데 전 고등학생이 된 후 갑자기 키가 크고 싶어졌습니다.

현재 177cm로 작지는 않지만 이건 왜 이렇게 큰 지는 모르겠습니다;;

집안 어른들 중에서도 가장 큰 분이 175정도이신데...

게다가 전 편식을 해서 키크는 음식 따위도...=.=;;;

그러다가 키크고 싶어서 우유를 먹으니까 또 안 크네요...-_-


아무튼...계속 우유를 먹어도 괜찮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1/18 23:29
수정 아이콘
몸에 잘 안맞으면 굳이 먹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요?
06/01/18 23:30
수정 아이콘
서양인과 달리 우리나라사람들 중에는 우유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경우엔 치즈를 먹는 게 좋습니다. 177cm면 아무 문제 없는 키이니 멸치나 치즈 등을 먹고, 계란 따위의 단백질은 섭취하면서 운동 적당히 해주면 딱 좋습니다.
F만피하자
06/01/18 23:30
수정 아이콘
먹지마세요.
참고로 우유가 몸에 안좋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답니다.
ShortTime
06/01/18 23:31
수정 아이콘
찬 우유마시면 그러시는 분들도 계시던데요.
한번 더웁게 마셔보셔요. 아니면 조금씩 양을 늘리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인터넷에서 봤어요.

그리고 가장 크신분이 175 cm시라면 님은 180 충분히 넘을 가능성 다분히 많습니다.
06/01/18 23:31
수정 아이콘
성인이 되면서 락타아제라는 우유를 소화시키는 효소가 점점 줄어든다네요.. 저도 우유1.5L 먹고 하루종일 화장실 갔다 왔었습니다.
F만피하자
06/01/18 23:32
수정 아이콘
지식인에서 퍼옴
영양학자들은 우유를 좋은 식품의 으뜸으로 손꼽는데 이견이 없다. 영양소의 종류와 비율 양 소화율 등을 근거로 하여 '자연이 준 최상의 음식'이라고 격찬한다.

또한, 우유의 단백질이 체력을 향상시키고 우유의 칼슘은 골다공증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우유를 꾸준히 많이 마시는 것이라고 권유한다. 과연 진실일까?

사람이 우유를 마시는 것은 대단히 자연스럽지 않다. 암소의 우유는 송아지의 성장에 알맞기 때문이다. 그것은 고양이, 개 등 그 어떤 종류의 동물들도 다른 종류의 우유를 마시지 않는 것과도 같다. 또한 동물들은 유아기 이외에는 우유를 마시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우유를 너무나 자주 마신다. 세계 제1의 우유 소비국인 미국에서 골다공증 심장병 당뇨병 등 각종 성인병이 흔히 발견되는 것은 우유의 '진실'과 거리가 멀다. 미국의 64세 여성노인 4명 중 1명은 골다공증을 앓고 있다. 심장병 발병율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은 우유에 있다. 우유는 산성식품이다. 산성을 섭취한 인체는 중성화 작업에 들어간다. 알칼리성인 뼈의 칼슘이 중화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결국 법정에서 시비가 가려졌다.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책임있는 의료를 위한 의사 협회'의 대표인 닐 바르나르는 "우유는 골다공증에 아무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나아가 미국보건국은 우유를 통해 섭취되는 칼슘의 양이 시금치 등 채소에서 섭취되는 칼슘의 양과 질량 대비로 환산하면 너무나 보잘 것 없음을 지적했다. 즉, 우유에 칼슘의 양은 많으나 칼슘/인의 비율이 낮아 인체에 흡수되는 양은 휠씬 적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소아과학회는 우유를 섭취할 경우 철분결핍으로 인해 영양장애가 생길 수 있음을 경고한다. 모유에 비해 4배나 높은 카제인 함량을 가진 우유 단백질은 위 속에서 잘 소화시킬 수 없는 단단한 덩어리를 형성한다고 한다. 위(胃)의 산성조건 하에서 이 단단한 덩어리로 인하여 췌장의 단백질분해효소가 접근하기 어려워 소화가 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이탈리아 팔레르모대 주세페 이아코노 박사는 미국 의학전문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최신호에 우유를 먹는 아기는 항문이 잘 찢어져 배변 때 아픔을 느끼는 변비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더 위험한 사실은 우유 단백질이 알레르기 유발성이 강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우유가 음식 알레르기를 선도하는 원인이고 충혈성 심부전, 호지킨병과 연루된다고 말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아동보건연구협회의 웬디 오디 박사와 동료 연구자들이 의학전문지 'British Medical Journal'에서 발표한 보고에 따르면, 4개월 미만의 아기에게 모유가 아닌 다른 우유를 주는 것은 천식과 아토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또한 런던의 성바톨로메병원과 이탈리아 로마대의 공동연구팀은 의학전문지 랜싯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최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 발생한 환자 47명을 검사한 결과 51%가 우유에서 발견되는 '베타 카세인'이라는 단백질에 노출됐을 때 생긴 면역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많은 연구결과 아기들이 우유 단백질을 섭취할 경우 자가면역반응을 일으켜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생후 초기에 우유를 제거한 식이를 제공하면 당뇨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유가 심장병과 암 등을 유발하는 콜레스테놀을 함유하고 있다는 연구는 되풀이 증명되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연구원 준 찬은 지난 4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암연구 협회 정기회의에서 2만885명의 남자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우유 치즈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을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전립선암의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우유를 '액체의 고기'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한 표현이다. 그리고 낙농업 산업의 항의와는 반대로 우유가 뼈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 되었다.

우유에 대해 알아야 될 중요한 진실은 이제부터이다.

작년 한 초등학교의 학부모들이 학생들에게 지급되는 우유를 갖고 소동을 벌였다. 방학 한달 여 남짓 실외에 방치된 우유가 썩지 않고 온전했다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모르고 있는 방부제가 우유에 투입되었음을 의미한다. 비슷한 사건은 일본에서도 일어났다.

지난 해 6월말 유키지루시 우유집단식중독사건이 발생한데 이어 11일엔 일본 효고현 가와니시에서 모리나가 유업의 우유를 마신 학생들이 복통과 구토를 호소하는 사건이 발생했었다. 학생들은 우유라고 이름 붙인 화학제품을 마신 것이다.

그런데 우유가 생산되기까지의 과정도 은폐되고 있다. 대부분의 암소는 선전되는 것과는 달리 농장에 방목되어 사육되고 있지 않다. 이른바 '공장 농장'에 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암소에게 최고 20%의 우유 생산을 강화하는 성장 호르몬 BGH가 일상적으로 주사 된다. 그리고 착유기로 인해 생기는 상처는 박테리아의 감염을 부추긴다. 한국에서도 이 문제가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이외에도 광우병과 다이옥신으로 인한 우유의 오염도 간과할 수 없다. 유럽과 호주 등에서 쇠고기와 우유분말 등을 수입하는 한국은 광우병과 다이옥신의 무풍지대일 수가 없다.

가장 특기할 만한 사실은 아시아인 10명 중 9명은 유당 분해 효소결핍증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즉, 우유를 분해하는 효소가 없는 것이다. 우유를 마실 경우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기저귀 발진, 거품 투성이 설사, 구토, 복부 경련, 메스꺼움, 체중증가 및 성장발달 저하 등이다. 우유를 마시면 키가 커진다는 주장은 아무 근거가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유에 관한 우리의 믿음을 역사적으로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동물성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 보다 우수하다는 '믿음'은 1914년 오스븐·멘델의 <쥐에 대한 생체실험>에서 비롯됐다. 그 이후 우유 등 유제품은 A급, 식물성 단백질은 B급으로 규정됐다. 쥐에 대한 실험 결과를 인간에게 적용한다는 것은 비과학적이다. 그러나 객관적 검증 없이 오늘날까지 적용되고 있다. 이것은 미국 낙농위원회, 정육연맹 등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이익단체들이 벌인 로비의 결실이다.

그럼에도 우유를 마실 것인지, 안 마실 것인지는 당신의 자유의사에 달려 있다. 이 글이 의미 있다면, 우유가 건강에 나쁘다는 사실에 대해 당신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ShortTime
06/01/18 23:3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우유가 몸에 안좋다는 얘기는 거짓이라고 들었습니다.

낙농업자들이 정부에 로비를 해서 너무 좋게 선전했다는 설도 어느정도 맞는다고는 하더라고요. 어째뜬 아기들이 모유 안먹고 우유먹어도 쑥쑥 클 수 있다는건 영양가는 높다는 거겠죠
06/01/18 23:33
수정 아이콘
몸에 안 맞는걸 억지로 먹을 필요는 없겠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우유를 많이 먹는다고 해서 키가 큰다는 보장도 없구요...
제가 그런 케이스라... 쿨럭 -_-
ShortTime
06/01/18 23:35
수정 아이콘
미국인들을 예로 들어서 심장병, 당뇨병등을 문제삼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봐요. 그들은 육류섭취량이 일단 많지 않겠습니까?

어째뜬 우유가 상하지 않았다는 건 엄청 역겹네요.
ShortTime
06/01/18 23:36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제 1의 우유소비량은 그리스로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요?
겜티비
06/01/18 23:38
수정 아이콘
하루에 1.5L 씩 우유먹는데, 전 우유가 너무 좋은데요~
우유킬러^^

물 많이먹으면 키커요~
서장훈선수가 키클려고 물을 많이 마셨다고 그랬고.
농구선수들 물 많이 먹는데요~
그리구 우유는 위에 좋다고 들었습니다. 위를 보호해주죠.
06/01/18 23:39
수정 아이콘
겜티비님 정말 부럽네요.. ㅠㅠ.. 저도 꾸준히 먹을껄.. 안먹다가 다시 맛들이니까.. 배가 아프다네요.. ㅠㅠ..
ShortTime
06/01/18 23:40
수정 아이콘
그리고 소화가 잘되는 우유라고 소화효소를 자체적으로 넣는 우유가 있어요 서울우유껀데 맛은 약간 달달한데 거부감은 안들며 먹을만하죠.

F만피하자님이 퍼오신 글 상당히 유명하네요.
06/01/18 23:41
수정 아이콘
어릴 때부터 또래에서는 키가 큰 편으로 매년 꾸준히 제법 키가 컸었는데 고등학생이 된 후로는 성장이 눈에 띄지가 않아서...=.=; 고등학교에 들어와서 갑자기 크는 친구들이 제 옆에 너무 많아서 그런가봅니다^^;; 아무튼 냉장고에 넣지말고 미지근하게 먹어보고 그래도 속이 이상하면 그냥 안 먹어어야겠습니다. 사실 키 클려고 먹는 것 외에도 11시쯤되면 배가 고파서 먹는 이유가 더 크거든요^^;;
VoiceOfAid
06/01/19 00:16
수정 아이콘
제 친구가 의예과인데 그 학교 교수님이 직접 우유가 몸에 안좋다고 이야기 했다고 합니다. 학자들 사이에도 의견이 분분한 모양.....
그런데 설사가 나는데 굳이 먹을 필요가 있을까요? -_-
차라리 멸치를 먹고 말지....
오롤롤롤로
06/01/19 01:3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우유하나땜에 난쟁이 모면했습니다
06/01/19 12:24
수정 아이콘
저도 우유 킬러입니다. -_-;;
우유가 사람젖이 아니라 소젖이여서 사람의 몸에 나쁘다는 의견도 있다고 하는데, 저한테는 왜이렇게 잘맞는지..-_-;;
제갈공명토스
06/01/19 16:35
수정 아이콘
저도 우유만 먹으면 체하는 체질입니다. 체질에 맞지 않는다면 굳이 먹을꺼까지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800 안녕하세요 .힘내라고 불러 줄수 있는 노래 . . [4] journey211997 06/01/19 1997
13798 외장형 하드 추천 부탁드려요 [1] 후니1791 06/01/19 1791
13797 노래 좀 추천해주세요~ [7] Destiny1706 06/01/19 1706
13796 키가 더이상 안클것 같아요.... [8] 2123 06/01/18 2123
13795 채널과 팀에대한 질문요 [1] 장승용1583 06/01/18 1583
13793 우유를 계속 먹어야할까요? [18] EzMura2401 06/01/18 2401
13791 경기 스샷 찍으려는데... [1] 김연우2261 06/01/18 2261
13790 러시아워 11시지역이 왜 저그에게 불리한거죠? [7] 연성연승™1700 06/01/18 1700
13789 워크래프트를 실행하면 버그가 생깁니다. 血鬼1613 06/01/18 1613
13788 여자관계 질문입니다 심각 ㅠㅠ [13] icanrun2173 06/01/18 2173
13787 맹자네 전성시대 예전 드라마 보시분이요. [2] 라꾸라꾸1723 06/01/18 1723
13786 컴퓨터가 한순간 버벅되는 이유. Ace of Base2138 06/01/18 2138
13785 로이킨의 복수 동영상이요....... [2] Endless Rain1723 06/01/18 1723
13784 마우스 클락속도가 너무 세요. [2] 루트1652 06/01/18 1652
13782 현금 영수증 제도에 대해서... [7] 요비2167 06/01/18 2167
13781 컴퓨터 XP에서 Ctrl+Alt+Del 키에 대해서 물어볼게 있습니다. [3] PKM-3751576 06/01/18 1576
13780 크레지오 종족최강전에 대해 질문입니다. [1] SKY921585 06/01/18 1585
13779 배넷에 들어가서 사람들 정보 보면요 aka?? [4] khw7111764 06/01/18 1764
13778 pg투어 가입 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2] 중간만가자1552 06/01/18 1552
13777 청바지에 어울리는 신발 좀 추천해 주세요 [5] dok22369 06/01/18 2369
13776 make game public, make G [1] 원더풀2332 06/01/18 2332
13775 안녕하세요 요 두달간 명경기 좀.. [6] 핸드레이크1895 06/01/18 1895
13774 음악 링크 되었을때요.. dOchin1629 06/01/18 16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