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2/27 01:08
난해한 질문중의 하나군요 입구3드라군이랑 fd병력이라..
결과적으로 말씀드리면 컨트롤 잘하는 쪽이 이깁니다.. 하지만 입구라는 요소와 드라군의 배치그리고 상대방 병력의 배치에따라 결과는 다르겟죠..?
05/12/27 01:16
제가 아는게 맞다면 원게잇 사업드라 하면서 다템빌드로는 마린탱크 푸쉬막을수있습니다. 문제는 로보틱스를 타이밍맞춰서 올릴경우 사업을 포기해야할겁니다. 그러면 못막죠.
05/12/27 01:22
인생의참된것님//답변해주신김에 제 리플좀 보시고 컨트롤에 문제가 있었는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izardMo진종님//콘토스라 셔틀이 나오는대신 다템이 약간 늦은 관계로 fd병력 도달 타이밍에 다크가 안나오더군요. 사업드라 3기였는데 뚫렸거든요.
05/12/27 01:34
리플 봤습니다. 초반빌드차이가 저랑 좀 있으시네요. 전 로보틱스를 가지않고 그자원으로 두번째 게잇을 가져갑니다. 그러면서 상대방 마린이 네기 일경우는 최대한 빨리 앞마당을 가져가면서 다크로 수비를 하려고 하고 마린이 여섯기가 될경우(일꾼조절 푸쉬) 다크보다 드래군으로 막으려고합니다. 적당히 나오는 타이밍을 보아서 만들던 드래군 취소하고 다크로 만들수도 있구요. 리플로 봤을때 동시에 2다크를 뽑으려고 드래군 세마리 이후에 공백이 좀 길더군요. 상대가 일꾼조절해서 병력뽑고 작정해서 밀고올라오면 원게잇에서 드래군 꾸준히 안뽑으면 못막습니다. 만약 일꾼생산을 두기쯤 늦추고 드래군을 쉬지않고 네마리까지 뽑았다면 막지 않았을까 싶네요.
05/12/27 01:40
답변 감사합니다.
빌드상에 문제가 있었다는 말씀이시군요. 드래군 4기까지 생산했다면 막긴 했을거 같은데 아무래도 다템 타이밍이 좀 늦어지겠네요. 제가 워낙 다템 드랍을 좋아하는지라 연구를 좀더 해봐야될거 같습니다
05/12/27 04:01
마인의 피해만 입지 않는다면 최소한 입구방어는 가능합니다.
콘토스는 어차피 사업드래군 3기로 테란의 모든 체제에 대응하면서 (여기서 대응한다는건 본진 난입까지만 저지한다는 수준이죠) 2다크 드롭 테크를 타는 체제이므로 게이트를 더 빨리 올린다던가 드라군을 하나 더 생산하던가 하는건 콘토스라는 빌드가 아니게 되죠. 물론 빌드에 연연할 필요는 없겠습니다만 빌드의 창시자가 이 빌드를 고안해 낸건 최적의 다크드롭 타이밍을 만들기 위해서였으니 로보틱스를 늦추고 게이트를 늘리거나 드라군을 한기 더 생산한다던가 하는건 그 취지에 벗어나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05/12/27 12:50
빤따님//마인피해를 안입엇는데도 뚫려버렸습니다. 제 컨트롤에 문제가 있었는지 리플레이를 통해 지적해주시면 좋겠네요.
WizardMo진종님//미네랄보다는 드래군에 들어가는 가스50이 부담 될거 같습니다. 다템드랍이라 가스가 워낙 빡빡한지라 말이죠.질럿을 섞어주는 편도 생각해볼수있을거 같네요.
05/12/27 12:59
질럿 1기를 섞어주는게 더 좋을 것 같아요.
아오.. 지금 생각이 안나는데 님과 비슷한 전략일 때 임성춘 해설께서 드라군 4기보다 질럿1기 드라군3기가 더 낫다고 하셨거든요. 오영종 선수도 이렇게 플레이 하시구요. 알포인트에서의 경기였는데, FD 파훼법이라고 하면서 임성춘의 스타교실에서도 나왔던 경기 같아요. 가스 부담이라면 질럿 1기 추가! 이게 더 좋을 것 같아요. ^_^
05/12/27 13:07
김영대님//답변 감사합니다
FD병력 파해에는 질럿추가가 좋죠. 그런데 그냥 지상에서 3드래군 1질럿으로 막는 병력을 언덕위에서 3드래군으로 못막았다는게 좀 그래서요; 아무래도 제가 일점사 컨트롤을 못해서 그랬던거 같습니다. 언덕위에서도 일점사 컨트롤을 잘해줘야겠네요
05/12/27 14:00
네 방금 리플을 봤습니다. 제 생각을 간략히 정리해볼게요.
우선, 원래 콘토스의 진행은 사업 드라군 3기의 압박으로부터 출발하는데 리플을 보니 드라군이 테란 입구쪽까지도 가시질 않더군요. 사업된 드라군들로 압박하면서 테란의 병력이 진출할때 마린의 hp를 깎아주었다면 좀 더 막기가 수월했을것이라고 생각이 들고요. 처음 3기의 드라군이 언덕 위쪽에서 막고 있을때 맞는 드라군을 한기씩 빼는 컨트롤을 해주셨는데 이런 컨트롤 보다는 드라군이 한기 죽고 2기가 남았을때 해주셨던것처럼 드라군 전체가 살짝 빠져서 한번 쏘고, 또 살짝 빠져서 한번 쏘는 컨트롤을 해주셨으면 드라군이 좀 더 오래 살아남아 막을수 있었을거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사실 뭐 글쓴분께서 말씀하신대로 러시아워 입구가 로템보다 넓다는게 악조건이긴 하네요. 그치만 여전히 컨트롤만 잘해주면 언덕 위 3드라군으로 FD 병력을 막을수 있다는 제 생각은 변함이 없습니다. 정말 최악의 상황에는 프로브를 동반해서라도 일단 막아놓고 다크 드롭을 가게 되면 테란에게는 큰 피해를 줄 수가 있다고 보고요...
05/12/27 14:14
아, 그리고 리플을 한번 더 봤는데요...
러시아워가 로템보다 미네랄이 한 덩이 많은 맵이라 로템 기준으로 최적화 된 빌드인 콘토스 빌드랑 약간 어긋나는면이 있지 않나 싶네요. 무슨말인가 하면, 두번째 게이트를 올리고 나서 병력을 생산할수 있는 시간적 타이밍이 생긴다는거죠. 가스 채취야 로템이랑 똑같이 되서 테크는 똑같이 올라간다지만 미네랄이 로템보다 더 빨리 모이기 때문에 두번째 게이트를 짓고나서, 두번쨰 게이트와 템플러 어카이브가 완성되는 그 사이 시간동안 첫번째 게이트에서 병력 생산을 할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겁니다. 물론 무엇을 생산하느냐는 플레이어의 마음이겠습니다만, 드라군보다 빌드타임이 짧고 가스를 먹지 않는 질럿쪽이 더 괜찮을듯 싶습니다. 그럼 즐겜하세요 ^^
05/12/27 15:16
빤따님//답변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도 미네랄이 한덩이 많은 만큼 질럿 한기정도 추가가 가능할거 같네요.
드래군 압박은 일단 첫정찰 scv를 잡고 나서야 떠날 수 있는데 그 타이밍에는 마린이 다수 배치되어있고 최적화 fd의 경우 탱크가 나와있어서 좀 힘들거 같네요. 병력이 진출할 때 마린의 hp를 깎는 플레이를 조금 더 시도해봐야겠습니다.더불어 입구쪽에서 일점사 플레이도 연습해보는게 좋겠네요. 보통 3드래군이 막고 있을경우 대부분의 테란이 마인 심고 병력을 물리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기회가 없었던거 같습니다. 답변 감사드리고 그럼 빤따님도 즐겜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