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12/20 21:07:05
Name i-z.
Subject 사회탐구 공부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
일단 저는 내년에 고3이 되는 학생입니다.
지금 국사와 근현대사, 정치 3과목을 확정해놨는데요
그중에 지금 국사를 먼저 공부하고 있습니다

학교가 사회탐구 과목을 선택과 관계없이 학년마다 정해놓고 있기 때문에
국사는 1학년때 배웠고 정치는 독학해야하는 상황입니다 -_-

일단 인터넷강의를 통해 국사 기본편을 마친 상태입니다
복습은 나름대로 열심히 했으며 인터넷강의를 한번 더 복습하면서
교과서와 함께 공부한 뒤에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려고 하는데요

국사의 다음단계 인터넷강의를 수강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다른과목의 기본편을 듣는게 나을지 궁금합니다

국사같은 경우는 특히나 내용이 많기 때문에 얼마간 손을 놓으면
금방 잊어버리기 쉽다고 하더군요.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리탐구자
05/12/20 21:48
수정 아이콘
국사 같은 경우에는 강의를 수강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최근의 사탐 출제 경향이 해석력과 이해력을 요구하기는 합니다만, 역사류의 과목들은 어차피 '닥치고'외우면 그만이기 때문에 혼자서 외우기만 하면 되거든요.
진리탐구자
05/12/20 21:50
수정 아이콘
사탐은 뭐니뭐니해도 교과서가 최고입니다. 문제를 출제하는 방식이나 유형은 어떨지 몰라도 기본 내용은 교과서에 없는 것을 낼 수가 없거든요.
원투만하자
05/12/20 22:04
수정 아이콘
내년에 고 3이 되시는 분이 벌써 사탐까지 준비하시다니...대단하시네요^^;;
국사에 대해서만 얘기해 드릴꼐요(나름대로 국사학과라^^;; 정치는 하도 오래되서 기억이 잘-_-;;)
국사 공부하실 때, 처음에는 시대와 주제를 나눕니다. 그리고 처음에는 시대순서대로 하나의 주제씩 사건의 흐름에 따라 외웁니다. 뭐 예를 들자면 시대: 신라 주제: 정치 사건: 법흥왕 율령정비, 불교공인 ->진흥왕 영토확장 순수비 건립 ->무열왕 삼국통일 식으로요...이렇게 한번 정리를 하면서 외우신 다음에는 주제 중심으로 살펴보는 겁니다...순서를 바꾸는 거죠...만약 주제가 정치다 하면 신라고려조선순으로 비교해가면서 공부하는 겁니다...이런 방법으로 하면 외울게 많긴 하지만, 시험장에서 헷갈리지 않을 정도로 하실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근현대사 공부하실 때 하나 팁이라 하면-_-;;
연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하나의 연도의 갑자를 외우고 들어갑니다. 1895 '갑오'개혁 식으로요...혹시 연도를 맞추는 문제가 나올 경우, 다 외우시면 좋으나 혹시 헷갈리실 때는 육십갑자를 써놓고 맞춰보세요...의외로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ㅋ
그럼 공부 열심히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솔로처
05/12/20 22:09
수정 아이콘
굳이 인강까지 들을게 있을까요? 국사는 1종 교과서기 때문에 진짜 막말로 교과서만 죽도록 파면 만점은 그냥 나옵니다.
All Black
05/12/20 22:35
수정 아이콘
올해 수능 쳤습니다. 국사 교과서만 외우면 만점 받는얘기 20만년전 얘깁니다. -_-; 1년간 국사 모의고사.... 피토했습니다. 어려워졌습니다.(수능은 쉽게 나왔지만 내년은 모르죠) 국사/근현대사는 인강 들으세요.무조건-_-
학기중엔 언수외 집중 하시고요, 겨울방학때 한두바퀴 돌리고, 내년 여름방학때 마무리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목표하는 대학이 사탐을 3개본다면... 무조건 4개 공부하셔야 합니다. 진짜 후회합니다 수능치고 -_-; 저처럼 3년 공부한 과목 하나 갈아마실수가 있거든요. 그럼 화이팅 하세요!
05/12/20 22:41
수정 아이콘
사탐을 외워서 보는 시대는 지났죠.
영혼의 귀천
05/12/20 22:56
수정 아이콘
인강을 들으시는 것도 좋긴 한데 기본적으로 사탐과목은 개인적으로 체계잡고 공부하는 게 최곱니다. 인강으로 크게 효과 보는 건 기본내용을 잘 모르거나 체계가 부실할때고, 기본적인 내용만 파악한다면 그 뒤로는 인강이 크게 효용성이 없지 싶네요.
국사나 근현대사에서 이해가 안가거나 하는 부분이 아니면(경제사쪽..) 왠만하면 독학해도 충분해요.
기본과정을 완벽하게 마스터 했다면 다양한 문제집을 풀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무래도 사서나 지문은 교과서에 있는 것 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으니까 다양한 유형을 접해 보는게 좋죠.
그리고 학교에서 선생님들께 모르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질문하세요.
선생님과의 관계도 돈독해 지고 공짜로 과외효과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선생님 입장에선 자기 과목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이 이뻐보이거든요. 왠만한 선생님이시면 하나라도 더 가르쳐 주려고 하실겁니다.
05/12/21 00:14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질문에 대한 답을 달아드리자면,
정치쪽을 한번 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05/12/21 02:22
수정 아이콘
사탐의 경우, EBS 수능특강 꼭 보세요.
직접 문제가 나오지는 않지만, 분명 수능특강에서 강조하는 개념 위주로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꼭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역사 과목은 플로우차트를 쫙 그려서 이 사건이 저 사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세계사가 유난히 그렇고, 근현대사나 국사도 플로우차트가 꽤 도움이 됩니다)
국사는 일단 한번 개념정리를 쫙 해놓은 다음 작년, 올해 모의고사를 풀면서
출제경향(특히 올해 수능과 9월 모의고사 문제가 참 독특하므로 한번 풀어보세요)을 파악하시고,
EBS 수능특강에서 나오는 독특한 지문 체크하시구요, 학교 선생님 도움도 받으시고,
모의고사로 불안하다 싶으면 350제 문제집이나 12년 기출문제집도 풀면 나름대로 도움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970 2005 후기리그 플레이오프? 와일드카드? 정규리그? [3] SM_Mars1648 05/12/21 1648
12969 마우스와 패드 질문좀! [10] Dreamlike1653 05/12/21 1653
12968 위닝9에서 박지성 -_-;; [4] 바카스1862 05/12/21 1862
12967 [Q]이병민선수 최종 그랜드파이널에 나오나요? [1] 반바스텐1643 05/12/21 1643
12966 그랜드파이널 결승에 대해 질문 ^^; [2] T1팀화이팅~1596 05/12/21 1596
12965 오늘 새벽에 치뤄진 칼링컵8강에 대해서.. [5] 벙커링1533 05/12/21 1533
12964 [질문] 구원에 대한 진정한 의미. [3] Zealot1729 05/12/21 1729
12963 야한옷이나 특이한옷 많이 파는 사이트 아시는분 [8] 질럿 factory3246 05/12/21 3246
12962 테란vs토스 전 몇가지 질문이요.. [5] 정형식1810 05/12/21 1810
12961 노트북 질문이요 [1] 쭈니1756 05/12/21 1756
12960 [ 컴퓨터 고수분들 필독 ]디스플레이 GPU 에서.. 갓스비~1644 05/12/21 1644
12959 공유기 사용 후 한쪽 컴퓨터만 인터넷 부분적 문제 [1] 연성연승™1570 05/12/21 1570
12958 '적극적 사고방식' 이란 책에 관해... Reya1659 05/12/21 1659
12957 하아,, 사랑,,사랑조언좀,, ㅠ [3] 참이슬1656 05/12/20 1656
12956 주소창에서 알파벳이 사라지네요. 짜그마한 시인2133 05/12/20 2133
12955 마우스,키보드 추천 [8] 그린베레1741 05/12/20 1741
12954 사회탐구 공부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 [9] i-z.2070 05/12/20 2070
12953 스타유닛공격소리가안와요.... [1] 상현군1828 05/12/20 1828
12952 지강헌 사건 [1] 이경민1773 05/12/20 1773
12951 에미넴 노래 추천해주세요~ [8] 최종현-_-1628 05/12/20 1628
12950 18종 문학 자습서 [지학사]? [해법]? [1] EzMura2573 05/12/20 2573
12949 [수정] 번역해봤는데 문장 흐름 좀 봐주세요. [2] 요비1748 05/12/20 1748
12948 신사참배가 그렇게도 욕먹을 짓인가요? [65] 립톤아이스2598 05/12/20 25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