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9/22 22:44
흠~~ 램이 486?? 조금 연구를 해보셔야 될것 같네용...부품을 다 짜서 조립한게 아니라 걍 TG에서 나온 걸 사셨다면 파워나 메인보드 자체도 별로 좋지 않은게 분명하기 때문에 먼저 컴퓨터의 진정한 사양(^^;)을 아신후에 고르시는게 가장 후회안하는 길입니다...^^
05/09/22 22:49
추가요..깜박했는데 그래픽카드는 회사가 생명인거 아시죠!! 싸다고 좋은것이 아닙니다. 기가바이트나 아수스 등에서 나온것을 사시는 것이 좋습니다.(요즘 슈마가 망해간다는 소문이 있어서 그리고 제가 A/S 받을려고 고생을 조금 해서 비추천입니다 ^^;)
05/09/22 23:00
저랑 비슷한 컴퓨터를 쓰시는것 같군요. 저도 TG에 사양도 비슷합니다.
예전에 집앞에 있는 컴터수리점에 갔었는데 그래픽을 바꾸려면 메인보드 자체를 바꿔야 한다더군요. 그래픽 카드가 뭐라뭐라 하더라구요.그래서 그냥 쓰고 있습니다.
05/09/23 03:32
메인보드가 AGP용인지 PCI-E용인지 알아보셔야 합니다. AGP라면 펜3.0이니 1~2년 더 쓰신다고 가정할 때 대략 낭패군요...
최악의 경우는 슬림일 경우... huau님 말씀대로 AGP나 PCI-E슬롯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값비싼 경험 하셨다 치시고 다음부턴 그런 제품 구매하지 마세요. ㅡㅡ; 저 같으면 AGP라면 라데온 9550 중고로 싸게 사서 바꿀 때까지 버티겠습니다. 한 6만원선까지 구할 수 있는 것 같던데... 그리고 PCI-E라면 6600지르겠죠.. 김정욱님//회사가 생명인 시대는 조금 오랜된 것 같네요. 요즘은 회사별로 차이 잘 안 납니다. 정말 그래픽카드 성능을 따지려면 쿨러랑 기판은 어디걸 썼는지, 램타이밍(몇ns인지..)은 얼마인지... 이런 것들 일일이 따져봐야죠. 그런거 따져보면 사실 말씀하신 회사들 제품은 메리트가 거의 없죠. A/S도 개판이고.... 전 하이라인 A/S 가 봤는데 정말 잘해주더군요. 끝나고 전화로 잘 되냐고 확인까지 하고, 교환도 아무 말 없이 웃으면서 해 주고... 아무튼 다나와 사용기보시면 A/S잘해주는 데는 뻔히 나옵니다.
05/09/23 08:01
http://new.mypcis.co.kr
여기 가셔서 메인보드 칩셋명을 알아오셔야 정확한 답변을 해드릴 수 있습니다. 무턱대고 다른사람이 추천한거 사와서 못끼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눈팅만일년//슬림이라고 AGP나 PCI-E슬롯이 없는건 아닙니다. 다만 싸구려 보드인 경우 호환슬롯이라고 해서 특정 그래픽카드만 호환되는 슬롯이 있죠. 아예 없는 경우는 펜티엄3시절에 i810칩셋 메인보드에만 해당하는 사항입니다. 슬림일 경우엔 발열이 적은 카드를 끼워야 겠네요. 지포스 6600같은건 발열이 많아 비추입니다. 어쨋든 메인보드 칩셋명을 알아오세요. 그리고 슬림형이라고 하셨는데 그냥 슬림형인지 슬림LP형인지 알아오셔야 합니다. 슬림LP형은 보통 본체보다 폭이 매우 좁습니다.
05/09/23 13:02
에버탑회사가 좋지 않나요?
개인적으로 가격대 성능비 라뎅9550, 지포 6600 라뎅 에버탑꺼 세인트ex 에디션인가? 오버되서 나오는거.. 추천해주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