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5/09/06 17:04:32
Name 나라당
Subject 읽을 만한 책 뭐가 있을까요?
기나긴 초중고 시절을 마쳐서 들어온 05학번 새내기..

처음의 야심찬 포부와는 달리 공부도 안하고 술,담배는 하지 않지만 늘어만 가는 살들..

그렇게 1학기를 하루하루 보내면서 성적표가 나왔는데 부모님께 너무 죄송하더군요.

그래서 요번 학기에는 고시원에 틀어박혀서 묵묵히 공부와 독서를 좀 하려고 합니다.

전공이 영어라서 공부야 뭐 할려고만 하니까 할것이 끝도 없이 무한정 나오더군요-_-;;

근데 막상 독서를 하려니까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감이 안 잡히네요.

지겹게 만화책만 읽어오던 터라 활자만 있는 책을 볼려니 막막하기도 하고 또 왠만한 책

은 그 두께에 gg가 나오네요.

각설하고 그래서 pgr분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바입니다.

아직 얄팍한 지식과 독서량을 보유하고 있는 05학번 신입생이 읽을 만한 책이 뭐가 있을

까요?

너무 가볍지도 않지만 어렵지도 않고 결정적으로 두껍지 않은-_-또한 이모저모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그런 책이 있으면 추천해주세요.장르야 어떻든 상관없습니다.

제가 한권 추천하자면 에밀아자르의 '자기앞의 생'이라는 책입니다.

어느 한 소년의 시점에서 바라본 성장소설이라고 해야되나 하여튼 장르는 잘 모르겠지만

분위기와 느낌이 괜찮더군요

하여튼 많은 추천 부탁드립니다


* 항즐이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09-06 17:4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총알이 모자라.
05/09/06 17:06
수정 아이콘
너무 가볍지도 않지만 어렵지도 않고 결정적으로 두껍지 않은-_-또한 이모저모로 생각해볼 수 있는 그런 책.....포기하시죠,,--;;
그린티
05/09/06 17:06
수정 아이콘
김성모씨가 쓴 책중에 스타크래프트란 책이 있는데요. 스테디 셀러인 것으로 압니다.
모또모또
05/09/06 17:11
수정 아이콘
파트리크 쥐스킨트 님 작품들 짧으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할 수 있게 해 주죠
05/09/06 17:15
수정 아이콘
아직도 시판되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쉼터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단편의 동화같은 얘기들이 실려있는데요.
제목 그대로 쉴 공간을 제공해주면서 교훈등으로 생각할 여지또한 만들어주지요.
Luvu[Plus]
05/09/06 17:21
수정 아이콘
책을 찾기 보다도 집에 혹시 책 없나요 ? 저는 방학떄 집에 안본책이 많길래 그냥 읽어봤는데 ;;뭐 별로 재밌는 책은 없더군요 ㅡㅡ;; 지금은 3년전에 친구에게 빌리고 안가져다준 상도 읽고있습니다 재미는 그냥 그렇구요 학교갈떄 전철에서 읽다보니 ..뭐 금방읽더군여
05/09/06 17:22
수정 아이콘
소설에서는 데미안을 추천하구요,
사회과학 서적에서는 홍세화씨 책이나 박노자씨 책을 읽어보세요. 에세이 형식으로 쓴 것이라 부담없이 읽을 수 있습니다.
뭔가 힘이나 용기를 얻고 싶다면 김형태 씨의 '너, 외롭구나'를 추천합니다.
Timeless
05/09/06 17:24
수정 아이콘
다른 책들은 다른분들이 추천해주실테고~

저는 감성을 자극하는 만화책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아다치 미츠루의 "H2"와 "러프". 둘다 최소 3~4번은 봐야 그때서야 조금 봤다고 할만한 만화에요^^

메니아층에서는 거의 대사를 줄줄 외우고, 숨어있는 한 컷도 찾아내고 그런 만화책입니다.

사랑이 진행중이거나 사랑을 준비하는 분이라면 마음을 이 만화책들과 함께 따뜻하게 만드시길~
05/09/06 17:25
수정 아이콘
알랭 드 보통이 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추천해요.
이걸 대학생 때 봤으면 더 좋았을 걸 하고 생각했었죠.
05/09/06 17:26
수정 아이콘
아 시내님이 말씀하신 데미안도 추천이요..
희한하게 중학교때, 고등학교때, 대학교때 읽을 때마다 다른 느낌이 들어서...
Luvu[Plus]
05/09/06 17:27
수정 아이콘
H2 러프 ..지대 강추네요 -_- H2전권 사놓고 어머님께 죽도록맞았던 ;;;
그덕에 한 20번도 더읽은듯 ^^;;
하이메
05/09/06 17:28
수정 아이콘
아이즈 추천합니다.
좀 길더라도 태백산맥도 강추합니다.
요즘 보고 있는 군림천하도 추천합니다.
TheInferno [FAS]
05/09/06 17:30
수정 아이콘
독서를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겐 단편이 좋죠
O헨리의 소설집 아무거나 사시면 당분간 읽을거리 걱정은 없을 겁니다.

세계적 문호라고 알려진 사람들도 단편 많이 썼으니 찾아서 읽어보시구요
(이런건 들고다니면서 은근히 자랑하는데 좋죠 톨스토이 단편집 들고다니면 움찔하는 사람도 심심찮게 보입니다 ㅎ)
학교도서관에 가서 책을 고르셔도 좋죠 아무거나 잡히는대로 읽어보세요
Lifeiscool
05/09/06 17:30
수정 아이콘
영문과라..제가 영문과라서 추천드릴께요.영문학관련 소설로요^^
1. 호밀밭의 파수꾼
2. 아들과 연인
3. 폭풍의 언덕 맞는지.(워서링하이츠)
이런거고 소설도 좋구요
또한 영문학이에서 제일 중요한 세익스피어 작품들 보세요.
우선 당연히 영화를 봐야겠죠?? 4대 비극은 물론이거니와
희극과 낭만극들도 찾아서 보세요~ 그럼 대학공부하실때 도움
많이 되실겁니다..하지만..영문과가 아니라 영어과면 ㅡ.ㅡ;;
라임O렌G
05/09/06 17:30
수정 아이콘
헐..ㅡ.ㅡ;; 왠 만화책들을 이렇게 추천하시는지... 글쓴이는 분명히 읽을만한 활자책을 요구하시는거 같은데... 제가 추천하는 책은 해리포터 시리즈입니다.. 처음 책 접하시는 분들에겐 괜찮아보이더군요.. 시리즈물이라 두깨도 부담이 덜하죠... 그리고 상록수 추천합니다.. 바람꽃도 재밌더군요... 한국순수문학이라고 해야하나요.. 그중 편히 읽어볼만한것 같습니다..
라임O렌G
05/09/06 17:31
수정 아이콘
세익스피어의 글중에 가장 강추는 한 여름 밤의 꿈입니다.. 단편이면서 정말 유쾌하고 즐거운 이야기죠..^^
05/09/06 17:32
수정 아이콘
군주론 한번 읽어보심이... 이건 좀 아닌감...
김연우
05/09/06 17:33
수정 아이콘
기 소르망의 '20세기를 움직인 사상가들'을 추천합니다.

사상가라고 해서 보통 '철학'을 떠올리는데, 현대 세상의 모든 학문들에 대한
폭넓은 시각들이 있어 생각외로 상당히 재밌습니다. 생각외로 어렵지도 않구요.
항즐이
05/09/06 17:40
수정 아이콘
대학교 1학년 때면 사회과학 책 좀 읽어보십시오.

인간은 정치적 동물.. 이런 제 머리에서도 거부하는 개념들 때문이 아니라,

고등학교까지 정말 접할 수 없었던 것들을 왕창 접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우익의 끝에서 좌익의 끝까지, 그냥 닥치는 대로 이것저것 읽어보세요.

지만원씨 책도 좋고, 다현사 나 유물론도 좋습니다.


저도 천둥벌거숭이겠지만.. 요즘 학부생들 조교하러 들어갔다가 사회에 관한 이야기 나눌 때면.. 뭔가 섬찟할 때가 많습니다. 왜들 그렇게 무관심 한지... 나이들어 해도 될 태도를 너무 일찍 시작하는 것 같아요;;
나라당
05/09/06 17:42
수정 아이콘
댓글 달아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밑으로도 쭉쭉 달아주세요^^
항즐이
05/09/06 17:42
수정 아이콘
그리고.. 고민을 많이 하지 않은 질문글의 티가 나서 질게로 옮깁니다.

총알님 코멘트 처럼, 좀 무책임한 책 권유를 부탁하시는 군요;; 그런 입맛에 맞는 책 찾으시기 보다는, 고난을 극복하고 보람을 얻는 좋은 책들을 많이 읽으세요.

역사에 혹시 관심 있으시다면, 열국지나 사기 추천합니다. 열국지는 좀 지겨울 수도 있으니 사기를 통해서 접근하시는 것도 좋아요.
phantome
05/09/06 17:49
수정 아이콘
푸르스트를 좋아하세요? 이책 괜찮더라구요, 딱히 가볍지도 않고 그렇다고 그렇게 어렵지도 않은, 그리고 저도 영어영문학과로서 추천하는 책은 세익스피어 작품들, 물론 원서로 된거요, 체게바라 평전도 나쁘지 않네요,
나라당
05/09/06 17:59
수정 아이콘
항즐이님//사회과학이라 말씀하시면 어떤 것을 다루고 있는 분야를 말씀하시는거죠???거의 접해보지 않은 쪽이라 감이 안잡히네요
항즐이
05/09/06 18:09
수정 아이콘
정치라던가 역사에 관한 것들이 좋죠. 철학도 좋구요.

제가 우익쪽은 별로 좋아하지 않아 조갑제님의 명언-_-을 좀 접한 것 이외에는 없습니다만, 초중고 12년동안 우리는 충분히 접하게 됩니다..

그러니.. 다소 좌익적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 라던가, 철학쪽의 유물론 책이라던가.. 유물론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철학 입문서라던가..

미국 작가나 유럽작가들이 쓴 (그냥 어디든 외국에서 쓴) 한국 전쟁사나 한국 근대사에 관한 책들을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아, 북한에 관한 책도 좋습니다. 여운형이라던가..



사실 저도 읽어본 지 전부 6~7년 돼서 영-_- . 다현사는 꽤 지루합니다. 읽다가.. 저를 미워하실수도-_-;;
나라당
05/09/06 18:15
수정 아이콘
좋은 충고들 감사드립니다~열독해야겠네요!!
김연우
05/09/06 18:20
수정 아이콘
좌익쪽이라면... 유시민저 거꾸로 읽는 세계사... 던가가 꽤 재밌었던걸로
낭만드랍쉽
05/09/06 18:20
수정 아이콘
저는 처음 책에 재미붙일때 수필을 읽었습니다.
쉽게 손이가고, 틈틈히 읽기에도 수월하고,
그림들어가있는 가볍고, 유쾌한 수필집부터 읽어보세요.
"봄 여름 가을 겨울", "동승", "거울" 이런 조금은 가벼우면서도
삶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수필집 좋아요^^
항즐이
05/09/06 18:26
수정 아이콘
아 네. 김연우님 감사합니다. 기억이 살아나네요;; 다현사, 거꾸로, 내대가리(내머리로 생각하는.. ) 요 세가지가 꽤 유명한 운동권 교재-_- 였던 것으로 기억하는..;;
Goodlove
05/09/06 18:35
수정 아이콘
탈무드!!~
05/09/06 19:45
수정 아이콘
저는 감옥에서 보내는 편지 <--이거 추천이고요
전혜린씨 수필집도 괜찮은듯 요즘 일고 있는데
그리고 그 스님...(이름은 까먹었는데 교과서에도 많이 나오신분임) 수필집도 괜찮음. 그리고 너무나도 유명한 썡덱쥐베리의 어린왕자랑(1학기때 영어시간에 억지로 읽었는데 다시 읽으니 새로웠음).. 그리고 일본분이 쓴건데 20대에 꼭 해야할 50가지 인가 이런제목으로 있는책인데 옛날책임 요즘에 비슷한제목으로 딴책 나왔는데 그거 아님-ㅅ-;;
05/09/06 19:46
수정 아이콘
제가 올초부터 100권을 목표로 달리고 있는데요, 동참하세요^^
초반에는 주당 3권씩은 읽었는데요, 요즘은 ㅡㅜ*
시간잡고 읽는것보다 수업전이나 식사후 같이 짬을 내셔서 읽으시면.. 좋습니다..
한 작가를 중심으로 읽는건 어떨까요^^:..
올초부터 하루키 소설 읽기 시작해서 이제 에세이집랑 몇권 남기고 다 읽어가네요..
하루키 단편 소설 읽어보시고, 취향에 맞으시면 장편으로~!
핸드레이크
05/09/06 21:46
수정 아이콘
저도 하루키 팬입니다
요즘은 무라카미 류것도 보는데 재밌더군요
세브첸코.A
05/09/08 00:05
수정 아이콘
글쓰신 님,!
정말 추천해드리고 싶은 책이 있습니다.
이문열 [젊은날의 초상] 꼭 보세요, 먼가 와 닿을것입니다
티에니
05/09/08 21:50
수정 아이콘
그림 없는책은 본지 너무 오래돼서 잘 모르겠습니다. 만화책이라면 하나추천해드릴수 있습니다.
요네하라 히데유키님 작품 풀어헤드코코(해적)입니다. 정말 25년 살면서
제일 잼있게 본 만화군요. 풀어헤드코코보단 크레이지보이로 더 유명한
작가님이실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432 캐나다에 사셨던분이나 사시는 분들께 [3] 여천의군주1599 05/09/07 1599
10431 플레이스테이션 전용 TV를 구매할려고 합니다. [5] 이세용1804 05/09/06 1804
10430 노래 제목을 알고 싶은데요... 겜방사장1598 05/09/06 1598
10429 프로리그 시간대 질문좀... [4] PiNe_tM1568 05/09/06 1568
10428 번호 이동 핸드폰이 무엇인가요? [6] 핸드레이크1645 05/09/06 1645
10427 모니터 문제 [2] 가을의전설1621 05/09/06 1621
10426 메이저리그 올스타에 관한 질문... [11] A_Shining[Day]1567 05/09/06 1567
10425 pgr컴고수분들께서 제 조립컴퓨터 견적에대해서 보시고 평가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6] 바람돌이리1644 05/09/06 1644
10424 드래프트제에 대한 질문 [2] Min_Fan1656 05/09/06 1656
10423 MX300 옴론버튼.. [4] pgMong1888 05/09/06 1888
10422 이미지뷰어 문의 드립니다. [6] 쩡~*1655 05/09/06 1655
10421 CKCG 리플 전부다 공개된 건 아닌가요? Dizzy1595 05/09/06 1595
10420 읽을 만한 책 뭐가 있을까요? [33] 나라당1686 05/09/06 1686
10419 다시 한번 더 질문합니다 ㅠ.ㅠ 급합니다;; [3] KTF엔드SKT11848 05/09/06 1848
10418 중고모니터에 관하여.. [3] Syan1601 05/09/06 1601
10417 스타크래프트 유닛들의 아머 타입 [14] OddEye4552 05/09/06 4552
10415 테플전에서 아비터 등장시 대처방법. [6] 웅컁컁♡1868 05/09/06 1868
10414 ROTC 에 대한 질문입니다. [4] 낭만토스1801 05/09/06 1801
10413 윈도우 xp로 깔고서 브르드워씨디가 인식이 안됩니다. [2] 쿠야미2081 05/09/06 2081
10412 지방학생이 서울에 잘 만한 곳이 어디있나요? [13] 덜덜덜덜2524 05/09/06 2524
10411 아 컴퓨터 질문... [2] KTF엔드SKT11612 05/09/05 1612
10410 오늘 철의장막에서의 경기는 어땠나요?? [2] 64363463262123 05/09/05 2123
10409 아드리아누와 쉐브첸코 첸장1545 05/09/05 15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