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4/01 03:36:45
Name ClassicMild
File #1 A.JPG (263.2 KB), Download : 75
File #2 B.JPG (756.4 KB), Download : 67
Subject FP(Force Point) - 선수들의 포스를 측정해 보자!




by ClassicMild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4-03 13:1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담배피는씨
07/04/01 03:49
수정 아이콘
오~ 한눈에 들어오는군요 ~
信主NISSI
07/04/01 03:50
수정 아이콘
저도 PGR이 닫혀있는동안 과거의 전적을 토대로한 포인트 랭킹을 준비했는데... 이런 글 올라오면 같이 올리기 민망하잖아요. ㅠ.ㅠ 뭐, 그래도 올릴 겁니다.

근데 프로그램을 이용한건가요? 대단 대단...
사상최악
07/04/01 05:2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멋지네요.
엠비씨 박성준 선수가 박성준1로 되있어서 잠깐 헷갈렸어요.
信主NISSI
07/04/01 05:35
수정 아이콘
마지막 보너스는 주요선수들 성적인가요? 아님 이번예선 통과자 중 첫출전이 아닌선수들의 성적?(인원수가 대충 그정도로보이길래...) 맨밑에 빨간거랑 주황색은 김동수선수와 기욤선수인듯...
07/04/01 06:30
수정 아이콘
맵 점수에 궁금한점이있는데요
만약 테란vs저그에서 테란이 유리한맵에서
테란이 승리할 경우와 저그가 승리할경우의 맵점수가 똑같이 배점되나여?
정확하게 따질려면 테란이 이겼을때는 좀더 낮은점수가,
저그가 이겼을대는 좀더 높은 점수를 받아야할것 같은데
이것도 반영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까지 할려면
포인트가 좀더 복잡해지겠네요
07/04/01 07:00
수정 아이콘
아 제가 맵밸런스 부분을 안읽었네요 ^^;
수고하셨어요.
생각외로 임요환 선수가 높진 않네요 ^^;
07/04/01 07:01
수정 아이콘
그리고 6개월간의 점수만 포함되는건가요 아니면
모든 전적을 포함하는건가요??
스팀팩 맞은 시
07/04/01 08:27
수정 아이콘
보너스가 음.. 뒤에는 산, 앞에는 물로 보이는건 왜인지..
개마고원..? 인건가요 ^^ㅋ
Pnu.12414.
07/04/01 08:28
수정 아이콘
토탈에서 김준영1을 김준영 으로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잘 봤습니다. 역시 히통령 만세.
07/04/01 08:58
수정 아이콘
대단합니다~ 잘 만들었네요~ 와아~

이런 거 보면, 진짜 재밌습니다. 고생하셨어요~
ClassicMild
07/04/01 09:53
수정 아이콘
信主NISSI님/프로그램 돌린거 맞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보너스는 총 100승 이상 선수들의 그래프입니다. 주황색은 장진남 선수이고, 빨간색은 조정현 선수입니다.

이프님/ 모든 전적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래더라는 방식자체가 최근 성적에 상당히 민감하게 변하더라구요.

사상최악, Pnu.12414.님/ 선수이름 표기 문제를 설명해놨어야 했는데 죄송합니다ㅠ_ㅠ 전적을 정리하다보니 동명이인 선수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그래서 데뷔가 빠른 순으로 뒤에 1,2 를 붙혀서 구별하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엠성준(1), 삼성준(2) 선수구요. KTF김윤환(T,1), STX김윤환(Z,2) 선수, 한빛 김준영(Z,1), 엠겜 김준영(T,2) 선수도 있습니다. 그밖에도 김현진 선수, 박영민 선수 등이 있습니다.
[군][임]
07/04/01 11:04
수정 아이콘
선수들의 포스 측정이라니!! 정말 신선합니다...이 멋진글이 리플이 이렇게 없다니!

에게로 가서 많이들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07/04/01 11:0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ArKanE_D.BloS
07/04/01 12:42
수정 아이콘
추게로~~!!!!!
공실이
07/04/01 12:44
수정 아이콘
이야........ 정말 대단하군요......!!
최연성-마재윤 교체시기가 춘추전국시대였네요 역대본좌들 점수가 비슷비슷
07/04/01 12:54
수정 아이콘
대단합니다...
공실이
07/04/01 12:56
수정 아이콘
구4대천황과 신4대천황 점수그래프를 보고싶어요~
07/04/01 13:39
수정 아이콘
꾸준함은 이윤열 선수가 제일 좋지만, '순간적인' 포스는 과연 최연성 선수군요.
로니에르
07/04/01 14:05
수정 아이콘
추게로 가야하네요
07/04/01 14:20
수정 아이콘
추게로..
Que sera sera
07/04/01 15:07
수정 아이콘
대단... 추게로~
사람들이 단기포스로는 누가 최고였다든지 하는 것들을 계량화하셨네요. 수치로 보니 상당히 일리가 있군요.
달구지
07/04/01 15:50
수정 아이콘
정말 공감이 가는데요? 최연성의 순식간에 솟는 그래프와 마재윤의 점진적으로 정점을 찍는 그래프...
07/04/01 16:09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는 정말 꾸준하네요; 김택용선수의 상승도 대단하고..
최연성선수는 이건머.. 단기간포스로는 따라올자가 없네요.
김성수
07/04/01 16:48
수정 아이콘
개념글.
07/04/01 18:38
수정 아이콘
와우 정말 대단 하십니다.
눈에 확~! 들어오네요 ^^
하얀 로냐프 강
07/04/01 22:41
수정 아이콘
아... 정말 대단!!!
꿈의연속
07/04/01 23:07
수정 아이콘
역시 이런 수준높은 글은 pgr아니면 구경도 못하지요 저도 말없이 추게로를 외칩니다..!!
07/04/01 23:26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하십니다.
이런 글 계산식을 복잡해서 싫어하는 저에게 그래프란 행복을 주셨네여.
추게로!!
07/04/02 01:39
수정 아이콘
아,,, 역시 PGR에 오는 재미
AstralPlace
07/04/02 10:20
수정 아이콘
이게 에게에 걸리면 운영자분들 진짜 미워할겁니다. ^^;

바로 추게로!
마술사
07/04/03 01:02
수정 아이콘
추게로
07/04/03 01:36
수정 아이콘
추게로~
07/04/03 14:15
수정 아이콘
이런글 때문에 떠날수가 없죠
잘봤읍니다.
07/04/03 18:32
수정 아이콘
와우 - 대단대단~~~
힘드셨겠어요~~멋지십니다!!!
완성형폭풍저
07/04/04 21:30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의 본좌시절에 임선수를 뛰어넘는 포스를 보여준 홍진호선수...
빨리 돌아와요..ㅠ_ㅠ
ClassicMild
07/04/05 13:44
수정 아이콘
이 부족한 글을 읽어주시고 칭찬해주신 여러분들.. 사랑해요~
정말 큰 영광이 될거 같습니다^^;

제 글을 다시 읽어보다가 각 선수들 최고점을 기록한 경기가 어느 경기고 언제쯤이고 몇 점을 기록했는지 써두었으면 좋았을걸 하는 맘에서 댓글을 하나 씁니다.(임-이-최-마 라인입니다)

1. 임요환 선수 (1314.24) - 2001.12.28 SKY 2001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 3경기 vs김동수 Silent Voltex
: 이 후 4,5경기를 지면서 김동수 선수에게 우승을 내주었습니다. 하지만 이 당시 포스는 절정. 임요환 선수의 점수가 조금 낮은걸 부연설명하자면 경기수 때문입니다. 1999 ~ 2001년의 경기가 1300경기쯤 되는데 2002년 한해 경기만해도 2400경기 정도 되더군요.(제가 가진 기록상) 더 올라가고 싶은데 점수를 줄 경기가 부족했던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2. 이윤열 선수 (1454.18) - 2005.3.6 MBC Movies배 MBC GAME 팀리그 결승 4경기 vs마재윤 Arizona
: 박성준(M)선수와의 IOPS배 3:0 우승이후 또다시 승리를 하면서 최고점을 기록했습니다. 마재윤 선수가 올킬할 분위기였는데 천재다운 경기운영으로 승리했던 기억이 나에요. 하지만 다음 경기에서 이재훈 선수에게 패하며 팀리그 우승을 내주었습니다. 이윤열 선수 그래프를 보면 2003년 초반부에 거의 비슷한 점수(1443.27)를 기록했던 때가 있는데 이때가 4차 KPGA우승, Panasonic배 우승, 3차 겜티비 스타리그 승승장구하던 시절입니다.

3. 최연성 선수 (1493.10) - 2004.7.1 iTV 7차 랭킹전 vs박정석 Evolution Warp Gates 2
: 이 경기가 박성준(M) 선수와의 질레트배 4강 1경기 패배 직전의 경기입니다. 흔히들 최연성 선수는 이 후에도 우승을 많이 했지만 질레트 4강전 패배 전까지가 포스 최강이었다고 했었는데 딱 맞아서 매우 놀랍네요. 이 당시 최연성 선수는 모든 리그에서 닥치고 승리모드였었죠.

4. 마재윤 선수 (1486.48) - 2007.2.24 신한은행 3rd 시즌 스타리그 결승 4경기 vs이윤열 Hitchhiker
: 모두들 아시다시피 이윤열 선수와의 신한은행 3rd 시즌 결승 승리 직후입니다. 양대 리그 제패하며 최강자가 되는가 싶더니 실패하고 이 후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하지만 그냥 무너질 선수가 아니라고 믿습니다. 다시 올라가세요!
07/04/05 18:10
수정 아이콘
흔히 말하는 본좌계보에서 이윤열선수의 기간은 최연성 선수의 삼보배 우승 전까지인데.. 아이옵스 이후가 그랜드슬램 당시보다 점수가 높다는건 충격적인데요.. 그랜드슬램 당시 경기수가 조금만 더 많았으면 엄청난 점수가 나왔을수도 있었겠네요.
07/04/07 16:14
수정 아이콘
이런건 어떤 프로그램으로 만드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후로리그에서 전적관리를 맡고있는게
그것도 이런식으로 만들수있나요?
창이♡
07/04/07 21:22
수정 아이콘
클래식마인드님 뭐 하시는 분인지 궁금하네요 덜덜;;
히로하루
07/05/02 10:19
수정 아이콘
이 글 얼렁 추게로 갔으면 하는 바람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8 "이 멋진 세계로 나를 초대해줘서 고마워요." [15] 네로울프11062 07/04/15 11062
487 FP를 이용한 게임단 평가입니다. [19] ClassicMild9448 07/04/14 9448
486 허영무. 부지런함의 미학. [19] 김성수14426 07/04/03 14426
485 3인의 무사 - 오영종, 박지호, 김택용 [20] 나주임10555 07/04/02 10555
484 양방송사 개인대회 순위포인트를 통한 '랭킹' [27] 信主NISSI12266 07/04/01 12266
483 FP(Force Point) - 선수들의 포스를 측정해 보자! [40] ClassicMild11410 07/04/01 11410
482 김택용 빌드의 비밀 [42] 체념토스18519 07/03/31 18519
481 광통령, 그리고 어느 반란군 지도자의 이야기 (3) - 끝 [35] 글곰11042 07/03/11 11042
480 [추리소설] 협회와 IEG는 중계권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를 했을까? [40] 스갤칼럼가12341 07/03/10 12341
479 쉬어 가는 글 – PGR, 피지알러들에 대한 믿음2, 그리고… [20] probe9310 07/03/08 9310
478 드라마 [9] 공룡9148 07/03/05 9148
477 마에스트로의 지휘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35] 연아짱17631 07/03/05 17631
476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13] 초코머핀~*11594 07/03/02 11594
475 MSL 결승전에 대한 짧은 분석. [3] JokeR_11241 07/03/04 11241
474 일주일의 드라마 - StarCraft League, Must Go On. [4] The xian8671 07/03/04 8671
473 [설레발] 광통령, 그리고 어느 반란군 지도자의 이야기 (2) [30] 글곰11687 07/03/03 11687
472 최연성과 마재윤은 닮았다. [17] seed12149 07/03/02 12149
471 마재윤선수의 '뮤탈 7마리' (in Longinus2) [48] 체념토스18390 07/02/28 18390
470 잃어버린 낭만을 회고하며... 가림토 김동수 [21] 옹정^^10432 07/02/27 10432
469 임요환의 패러다임 그리고 마재윤의 패러다임 [20] 사탕한봉지11767 07/02/27 11767
467 제 관점에서 바라본, 마재윤의 테란전 운영 [27] A.COLE13221 07/02/25 13221
466 마재윤을 낚은 진영수의 나악시 두번 [30] 김연우15277 07/02/25 15277
465 이윤열vs마재윤 1경기 롱기누스2 마재윤의 라르고 그리고 프레스티시모 [23] 그래서그대는13579 07/02/25 135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