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2/27 19:18:06
Name 옹정^^
Subject 잃어버린 낭만을 회고하며... 가림토 김동수
어디서부터 말을 꺼내야 할런지... 거창하게 쓰고자 하는 글은 아니나, 오늘 같은 날에 생각나는 사나이들의 얘기를 하고자 합니다. 낭만에 대한, 내가 기억하고 있는 꽤 된 스타계의 이야기입니다. 우선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개인적인 기억에 의존한 이야기이니 만큼(또 오래된 만큼), 그 정보에 대한 정확성에 대해서 확실하다고 말하지 못함을 이해해 주십시오.(이 부분에 대한 지적은 환영입니다.) 또 아무리 객관적으로 서술한다하여도, 보시기에 그렇지 못한 점이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1.가림토 김동수

왜 이 사나이일까... 글을 쓰기에 앞서 말 하건데, 이 사내가 전심전력으로 스타판을 종횡할 때, 이 사내를 진심으로 응원한 적은 없었다. 오히려 이 사내랑 같은 시기에 빛을 내었던 황제나 폭풍, 귀족에 매력을 느꼈으면 느꼈지. 이 사내에 대해서 그렇게 큰 매력을 느낀 적은 없었다. 그러나 낭만을 회고하기에 앞서, 이 낭만을 같이 하지 못한 자들에게 꼭 한명을 얘기하고자 한다면 단연코 이 사내. 가림토 ‘김동수’일 수밖에 없다.

흔히들 지금의 스타계에서 최강을 얘기한다면 십 중 팔구는 마재윤을 꼽을 것이다. 가림토 김동수는 낭만을 얘기할 때 흔히 거론되더라도, 그 이름이 최강자란 이미지로 회고되진 않는 편이다. 또한 나의 기억속에서도 그는 정상에서 누군가를 내려다보는 그런 이미지의 사내는 아니었다. 사투 끝에 왕좌를 차지한 프리첼 때도, 천하를 호령하는 황제를 거꾸러트린 스카이 때도 그는 언제나 밑에서 상처입기를 주저하지 않고, 결연한 눈빛으로 정상을 치고 오르던 사내였다. 그가 차지한 스타리그의 우승횟수가 정작 이윤열을 제외하고, 그 다음임을 상기하더라도, 같은 횟수의 황제나 투신에 비하여 그가 가지는 이미지가 절대자란 느낌을 가진다는 것은 어렵다. 그건 아마도 황제나 투신이 그 자신만의 절대적 시대를 가졌으나 그는 그렇지 못하였고, 그의 종족이 가지는 문제에 있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2. 젊은 곰 김동수

어떤 말로 표현을 하여야 할까... 낭만시대를 가장 흥미롭게, 가장 파란만장하게 살아온 이는 황제도, 폭풍도 귀족도 아닌 바로 이 사내다. 프리첼 시절, 이 청년 순수하게 사람을 감탄하게 만든 무언가를 지녔다. 감탄하고 입을 벌리게 했던 건 다름 아닌 ‘힘’.

흔히들 낭만의 시대를 스타일리스트들의 시대라고 회고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무협의 세상이었던 그 시대 각 문파의 비급은 비밀리에 전승되었고, 각 문파 특유의 무공은 독특하기 이를 때 없었다. 그러나 그가 웅비하기 시작한 프리첼 배를 기점으로 봤을 때 스타일리스트들이 활보했다고 보긴 어렵다. 마치 기틀을 잡아가는 시기였다고 할까. 하나의 색채를 가지고 한게임, 한게임을 자신의 테마로 물들여가는 그런 시절을 스타일리스트들이 활보한 시절이라 한다면 이 시기는 그런 토양을 지닌 이들이 하나씩 모습을 드러내는 그런 시대였다.

프리첼 시절의 가림토는 패왕의 면모를 보였고, 그 패왕의 기세는 종족을 불문하였다. 상성이란 말이 생겨나기 전이었으나, 그가 결승전에 봉준구에 보여준 모습은 상성의 법칙에 전혀 괘념치 않은 힘 그 자체의 모습이었고, 종족의 유불리로 그걸 격파했다기보다는(또는 극복했다고 하기엔) 가림토스가 가진 본연의 ‘힘’에 뮤탈의 귀재 봉준구가 졌을 뿐이란 것이 맞는 말이겠다.  


3. 임요환

프리첼 이후, 그 이전의 우승자들처럼 그 또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진 못한다. 이 시절 그는 황제, 정확히는 황제라 불리게 될 사나이와 게임 외적으로(?) 대립을 하게 되는데, 속칭 ‘송병석과 아이들 사건’이라 불리는 일화다. 김동수는 겜큐 3차(?) 대회에서 임요환의 전략적 플레이에 패하게 되는데, 당시 송병석이 이를 지탄하자 문제가 커졌고 강도경, 김동수가 여기에 가세해서 당시 파장이 컸던 사건이다. 여기서 이 시점에서 그 문제에 대한 잘잘못을 논하고자 함이 아니나, 김동수가 임요환의 게임 스타일에 비난을 가했다는 것은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낭만을 기억하지 못하는, 나아가서 낭만 이전의 시기를 보지 못했던 자들은 그 시기의 게이머들을 입체적으로 기억하기 쉽지 않다. 대표적인 게이머가 가림토 김동수다. 프로토스의 아버지, 전략의 대가 김동수가 전략적 요소를 비난했다? 모두 갸우뚱 거리고 남을 사안이다.

임요환, 황제의 면모 역시 작금의 스타판에서는 게임 내적으로의 업적보다 게임 외적인 면의 업적이 더 강조됨으로서 그가 단지 한 시대의 최강자였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물론 이러한 것에는 그 후에 나타나는 절대자들의 영향이 강하다. 그러나 한 시대의 변혁자가 단지 최강자 중 하나로 기억된다는 것은 그 시대를 같이 공유한 사람으로서 안타까운 일이다. 송병석 일화는 작게 보면 송병석과 그 친우들과 임요환 간의 대립이었으나, 크게 보면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의 패러다임을 놓고 대립한 신 ․ 구간의 대립이었다. 단지 물량 힘 싸움과 정면대결만이 정당한 룰이며, 매너라는 인식은 마치 ‘롤랑의 노래’가 흐르던 중세의 전투방식을 얘기하는 것이었다. 임요환의 등장은 게임 내적으로 볼 때 간과해서는 안 될 면이다. 등장과 동시에 룰을 파괴해버린 자였으니.

따라서 김동수의 저런 면은 사실 그만이 아닌 당시 임요환을 제외한 거의 모든 게이머들이 가지고 있는 일종의 가치관이었다. 물론 김대기와 같은 이도 있었으나, 단순히 보여주는 전략이 아니라 이기는 전략을 구사하고 룰 자체를 파괴했다는 점에서 임요환은 다르다 말하겠다.

또 가림토는 이 시기에 공공연히 자신이 생각하는 최강의 테란을 '귀족', 김정민이라 언급하였다. 여기에 필자의 생각은 ‘글쎄’다. 물론 귀족의 대단함은 그 시기를 공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억할 것이다. ‘더 마린’ 김정민은 kbk에 우승하기 전에도 그는 온라인상에서 범접하기 어려운 강자였고, 황제의 세상이 열렸을 때 그를 지독히 괴롭히고 그에 맞서 싸운 대항마 격인 인물이었다. 그렇지만 그를 황제란 위인을 제쳐두고 테란의 제 일인자로 내세운 것은 당시 황제의 포스를 기억하고 있는 자라면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다.(결코 김정민을 폄하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주길 바란다. 다만 당시의 황제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본좌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그‘황제’다.) 그렇지만 여기까지 읽어오던 분들이라면 자연스럽게 가림토가, 그 김동수가 김정민을 테란 제 일인자로 꼽는 것에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시의 가림토는 황제 임요환을, 아니 환상의 테란 임요환을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4. 변화? 진화!

김동수가 여기서 그쳤다면, 시류를 보지 못한 채 멈춰 있었다면 필자가 지금 이렇게 그를 강렬하게 기억하고 있진 못할 것이다. 그를 변화시킨 것이 무언인지 단언하기는 어렵다. 게임 내적으로의 깨달음일 수도 있고, 게임 외적인 환경의 변화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조심스럽게 추측하건데 그것은 아마 게임 밖으로의 외도(?)아닌 외도 때문일 것이다.

  그는 잠시 iTV에서 해설을 맡은 적이 있다. 아마 많은 분들도 기억하실 것이다. 게이머로서의 눈이 아닌 해설로서의 눈으로 본 스타는 그에게 어떤 세상이었을까. 시청자의 눈으로 본 스타는, 양자가 아닌 제 3자의 눈으로 본 전장은 분명 그를 성장시켰고 그를 변하게 하였다. 게이머 김동수가 아닌 해설자 김동수는 임요환의 보여주는 경기에서 사적으로 어떤 관계를 유지하였던 간에 순수하게 감탄하였고, 흥분했었다. 수많은 게이머들이 그의 눈앞에서 펼쳐놓은 전장에서 그는 전략이라는 요소를 찾으려고 했고, 그것에 대해 풀어 놓아야 했다. 단순한 빌드싸움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막 그 순간 피어나던 스타일리스트들의 세계를 설명해야 했고 이해해야 했다. 그 속에서 그는 자신만의 색채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이다.

오의 여몽, 그를 생각나게 한다. 괄목상대(刮目相對)라는 고사를 만들어 낸 것처럼 무력에 지력을 더해, 진정한 장수로 거듭난 여몽만큼 가림토를 잘 표현한 인물도 없으리라.  


5. 천명(天命)

sky2001에서의 가림토. 그가 다시 스타리그에 등장했을 때, 그를 우승후보라 뽑은 이가 몇 명이던가. 많지는 않았을 것이다. 다만 언젠가 끝나리라 생각했던 황제의 독주가 계속되었고, 세상은 새로운 영웅을 갈망하고 있었다. 가림토의 등장은 천명을 받드는 그것이었을지도 모른다. 멈출 줄 모르고 질주하며 제국을 넓히던 황제 앞에 곰의 앞발만이 아닌, 여우의 두뇌를 겸비한 프로토스의 대부가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귀족과의 싸움을 시작으로, 그는 변모한 자신의 모습을 보였다. 8강에서 황제에게 일격을 허용하였지만 테란의 또 다른 황제, 메카닉의 대가 김대건을 상대로 전략적인 모습을 보이며 승리하였다. 이전의 그였다면 상상할 수 없을 모습이다. 꾀를 쓰기 시작한 곰은,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한 가림토는 프로토스 그 자체의 이미지를 형상화 내기 시작했다. 누군가 완성형 프로토스에 대해 묻지 않았던가. 회고해 보건데 그건 이미 한 사내가 보여준 적이 있다.

  가림토, 바로 그다.

폭풍을 곰의 앞발로 날려버리고 선 결승은, 이미 승부가 나 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황제를 제외한 4강의 삼인은 그 당시 황제의 독주를 막을 수 있다고 거론되던 그들이었다. 귀족의 거센 저항을 물리치고 결승에 오른 황제는 모든 반군세력의 결집을 보았다. 프로토스 로망의 시작이 된 스카이2001이지만 당시의 결승은 황제의 독재 완성이냐, 그것을 저지하느냐가 모든 게임계의 시선을 잡아두고 있었다. 1년 전 모든 이들의 환호를 받으며 대관식을 거행했던 황제지만, 더 이상 인민은 절대무적 황제를 요구하고 있지 않았다. 시대가 내린 영웅을 하늘은 또 다른 영웅의 손으로 거꾸러트리길 바라고 있었던 것이다.

황제는 황제. 본좌란 말이 없던 시절. 황제란 본좌를 지칭하던 말이었다. 테란의 황제가 아닌 ‘황제’ 그 자체로서 오연한 눈빛으로 정상에 서 있던 그다. 쉽지 않았다. 한 경기, 한경기가 명승부였고 피를 흘릴 대로 흘리는 혈전이었다. 결국 마지막까지 몰렸을 때, 사투란 사투를 모두 겪고 올라온 전략가들의 싸움에서 승패를 가른 것은 가림토 그가 본연에 가지고 있던 곰의 앞발, 우직한 뚝심 그것이었다.

마침내 거인은 무너졌고 곰은 그 위에서 포효하였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세상의 시작이었다.


6. 다시 김동수

황제를 무너뜨린 그였지만, 사투의 영향이었을까. 그는 언제 그랬냐는 듯 빠르게 힘을 잃어갔다. 뭐가 잘못된 것일까. 모든 게 빠르게 지나가 버렸지만 황제와의 마지막 싸움은 아직도 잊지 못한다. 패스트 아비터에 고스트의 락다운이 횡행하는 그 경기는. 스타란 게임이 사라지는 그 순간까지 잊지 못할 무언가를 가슴에 심어 놓았다.

  김. 동. 수.

천하를 놓고 황제와 겨루던 그가 돌아왔다. 당당했던 모습보다는 다시 시작하고자 하는 그의 모습에서 세월이 흐름을 느낀다. 그를 기억하는 이들이 전보다 못함은 분명 당연할 지언데, 그것을 인정 못하는 내 모습에서 씁쓸함을 느낀다. 그렇게 잊혀져가는 것이, 나의 기억 속에 새겨진 그의 모습이 퇴색되어져 가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허나 믿는다. 프리챌 시절 그는 지금과 달랐고, 스카이 시절 그는 지금과 달랐다. 그리고 다시 우리에게 모습을 보이는 그는 또 다를 것이다.

그리고 다시 그가 절대자에 도전하는 그 순간. 또 한번 전설이 되리라 믿는다.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3-01 12:58)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7 19:36
수정 아이콘
2001 SKY 결승......
김동수의 그 무서운 눈빛을 전 아직 잊지 못합니다.
이미 본선 진행중에 한번 패배했던 상대인 최강의 황제 임요환.....
다들 다전제에서 과연 임요환이 패할 리가 있나....하는 상황.
반드시, 반드시 이기고 말겠다는 의지가 그의 눈빛과 표정에서 느껴지더군요.
건물 위치 하나하나에서, 매경기 짜온 전략 하나하나에서 필승의 의지가 엿보였습니다.
분명히 그 시기의 임요환은 김동수보다 강했지만, 결국 최후의 승자는 김동수였습니다.

승리를 결정짓고 난 후, 환하게 웃던 그의 모습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김동수란 이름을 보면, 언제나 그때의 그가 생각납니다.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누구도 그보다 약하다고 할 순 없다. 하지만...누구도 그를 쉽게 이길 순 없다"
'승부사' 란 단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게이머가 가림토 김동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꼭, 부활했으면 좋겠네요. 뭐, '해설자 김동수' 도 좋지만요
파하하핫
07/02/27 19:40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의 로망은 질럿이란걸 가장 잘 보여준 선수죠...

이선수가 그리울때가 한두번이 아닙니다.....
07/02/27 19:40
수정 아이콘
전 믿고 있습니다. 마재앙을 이길선수라고!!!!
L = Lawliet
07/02/27 19:45
수정 아이콘
2001 SKY배 경승전 1경기 인큐버스에서의 경기나, 파나소닉배의 황제와의 마지막 혈전은 아직도 기억나네요....

김동수선수가 PC방 예선을 넘지 못할수도 있고 아니면 스타리그(또는 MSL)에 올라와서 좋은 성적을 낼수도 있겠지만

제가 바라는 김동수는 이기지는 못하더라도 화려한 컨트롤이 아니더라도

한경기 한경기가 프로토스유저들의 가슴속에 각인 시킬 그런 경기들을 만들어 냈으면 좋겠습니다.

김동수 화이팅!!!
higher templar
07/02/27 19:52
수정 아이콘
김동수 화이팅~ 일단 훈남이잖아요^^
김응로
07/02/27 20:06
수정 아이콘
김정민선수와의 스타리그 예선전
노 로보틱스경기 운영은 정말 충격적이었죠. 햐 그때 진짜~~
메카닉의 김대건선수와의 경기에서 숨길리버라던가.. 하는 것도 있고,
임정호선수와의 경기에서 아비터+할루시네이션 활용.. 같은건 참..
IntiFadA
07/02/27 20:39
수정 아이콘
하드코어 질럿러쉬.... 가.림.토.스....
남자의 로망~

(하지만 저는 저그유저라는거.... -_- )
마봉자
07/02/27 20:47
수정 아이콘
아직도 기억납니다 16강 김정민 선수를 상대로 아칸쓸때......결승에서 임요환선수를 잡았을때 우아아아아앙 막 괴성을 지르던게 -_-
레모네이드
07/02/27 21:31
수정 아이콘
전 김동수선수의 약속을 믿습니다. 40살까지 게이머한다고 하셨었죠. 그 때까지 멋지시리라 믿습니다.
07/02/27 21:54
수정 아이콘
이런건 일단 에게나 추게를 외치고 시작해야합니다..!! 좋습니다.. 아직도 잊지 않은 사람이 많다는것이^^
영웅의 등짝
07/02/27 22:59
수정 아이콘
추게로~~~ 제가 플토라는 종족을 선택하게 만든 사나이를 이렇게 멋지게 표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제게 스타에서 플토에게 목을 매게 만든 영웅과 함께 이번 시즌 우뚝서는 모습을 보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
얼굴나무
07/02/28 00:16
수정 아이콘
오의 여몽과 가림토.. 정말 빼 닮았네요
07/02/28 01:29
수정 아이콘
제가 이상한건지는 모르겠지만 이상하게 pgr은 좀 수식어구가 화려한(나쁜말로 오버스러운) 글이 많은듯 하네요. 확실히 다른 스타사이트와 차이점을 지닌듯...
마술사
07/02/28 01:32
수정 아이콘
에게로!
StaR-SeeKeR
07/02/28 09:5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바라보는 팬들이 많고, 스타판을 그만큼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렇기도 하고... 확실히 분위기상 그렇기도 하죠;

어쨌든 김동수 선수는 이제 다시 시작입니다.
금쥐 꼭 탈 수 있을 거라 빋어요 흐흐....
그렇게 기다렸으니 보여주세요!
07/03/01 14:44
수정 아이콘
스카이배를 회고하면 왠지 기분이 안 좋습니다.
임요환선수의 이상한 고집은 무었때문이었는지
그때만 생각하면 직접 물어보고 싶습니다.
ataraxia
07/03/01 16:05
수정 아이콘
저도 4차전 크림슨아일즈에서 당시 거의 무적의 전략이었던 온리 골리앗 드랍을 안하고 투스타 레이쓰를 선택했는지...참으로 궁금합니다..
해바라기
07/03/02 01:29
수정 아이콘
아.. 다시한번 외쳐보고 싶네요. 스카이배 결승전 우승이후, 장충체육관을 가득메웠던 그 소리.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김동수! ...... 김동수!"
Jay, Yang
07/03/02 09:49
수정 아이콘
전 2001 SKY 결승때만 해도 스타에 대한 자세한 지식없이 무조건 임요환선수가 나오면 다 이기는 그런 것인줄 알았는데, 이 때 김동수 선수에게 패하는걸 보면서부터 임빠가 되었다는.... 김동수 선수덕분에... 후후후
햇빛이좋아
07/03/02 13:11
수정 아이콘
Jay, Yang//저랑 비슷하시구요.저두 그후에 처절한 임빠가 되었슴
HoSiZoRa
07/03/03 08:32
수정 아이콘
해바라기님 저 못보셧나요? (웃음)
(저도 그때 그자리에서 "김동수"를 외쳤습니다.)
PS. 하지만 그때 임요환팬이었다는거...(자리는 김동수쪽)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8 "이 멋진 세계로 나를 초대해줘서 고마워요." [15] 네로울프11062 07/04/15 11062
487 FP를 이용한 게임단 평가입니다. [19] ClassicMild9447 07/04/14 9447
486 허영무. 부지런함의 미학. [19] 김성수14426 07/04/03 14426
485 3인의 무사 - 오영종, 박지호, 김택용 [20] 나주임10555 07/04/02 10555
484 양방송사 개인대회 순위포인트를 통한 '랭킹' [27] 信主NISSI12265 07/04/01 12265
483 FP(Force Point) - 선수들의 포스를 측정해 보자! [40] ClassicMild11410 07/04/01 11410
482 김택용 빌드의 비밀 [42] 체념토스18519 07/03/31 18519
481 광통령, 그리고 어느 반란군 지도자의 이야기 (3) - 끝 [35] 글곰11041 07/03/11 11041
480 [추리소설] 협회와 IEG는 중계권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를 했을까? [40] 스갤칼럼가12340 07/03/10 12340
479 쉬어 가는 글 – PGR, 피지알러들에 대한 믿음2, 그리고… [20] probe9310 07/03/08 9310
478 드라마 [9] 공룡9148 07/03/05 9148
477 마에스트로의 지휘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35] 연아짱17630 07/03/05 17630
476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13] 초코머핀~*11594 07/03/02 11594
475 MSL 결승전에 대한 짧은 분석. [3] JokeR_11240 07/03/04 11240
474 일주일의 드라마 - StarCraft League, Must Go On. [4] The xian8671 07/03/04 8671
473 [설레발] 광통령, 그리고 어느 반란군 지도자의 이야기 (2) [30] 글곰11686 07/03/03 11686
472 최연성과 마재윤은 닮았다. [17] seed12149 07/03/02 12149
471 마재윤선수의 '뮤탈 7마리' (in Longinus2) [48] 체념토스18390 07/02/28 18390
470 잃어버린 낭만을 회고하며... 가림토 김동수 [21] 옹정^^10431 07/02/27 10431
469 임요환의 패러다임 그리고 마재윤의 패러다임 [20] 사탕한봉지11766 07/02/27 11766
467 제 관점에서 바라본, 마재윤의 테란전 운영 [27] A.COLE13221 07/02/25 13221
466 마재윤을 낚은 진영수의 나악시 두번 [30] 김연우15277 07/02/25 15277
465 이윤열vs마재윤 1경기 롱기누스2 마재윤의 라르고 그리고 프레스티시모 [23] 그래서그대는13578 07/02/25 135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