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9/01 20:22:17
Name AfnaiD
Subject 제가 본 스타2 앞으로 수정되어야 할 문제
pgr에 글쓰는거 처음인데 복사 안 해두고 있다가 엄청난 장문의 글이 단어하나때문에 날아가서 그냥 대충 씁니다.

1.사신삭제/컨셉 대폭 변화
초반엔 엄청난 사기지만 후반엔 쓰잘데가 없습니다. 저그전에서 후반에 난전유도하고 배럭 한번 돌려서 나오는 양을 테러에 써먹는정도는 할 수 있지만 그럴바엔 차라리 의료선에 기본유닛 태워서 보내는게 더 낫네요. 아예 삭제하던가 테크를 올리고 비싸게 하는 등 컨셉을 대폭 변화시켜서 다크템플러처럼 대처가 느리면 엄청난 피해를 입되 대처가 빠르면 별 피해를 못 입히는 그런 유닛이 됐으면 합니다.

2.퀸 알까기 자동시전/간편화
시간증폭이나 지게차등과 달리 일일히 찍어서 알까기 해줘야 되는데 이건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봅니다. 자동시전을 해주던가 단축키만 누르면 가까운 해처리로 가서 시전하도록 간편화시키는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3.불곰 너프
어느정도를 너프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토스전때문에 너프는 좀 해야 한다고 봅니다. 만... 그럼 테프전 후반이 걸리네요. 개인적으론 메카닉을 토스전에서 쓸만하게 변화시켰으면 좋겠는데 이럼 저그전에서 또 문제가 발생할거같아서 섣불리 건들기엔 참 힘든 문제라고 봅니다. 어찌됐던 건드리긴 해야 함.

4.맵 대폭 거대화+유닛들 거대화
맵이 워낙 조그맣고 유닛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200싸움도 한번에 끝나버리고 무엇보다 유닛별 기동성의 중요성이 꽤나 떨어진다는 느낌이 있는데 이런 점은 수정을 가했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 블리자드맵은 마음에 드는게 없네요.

5.유닛 식별성 개선
스타2는 뭉치기가 안그래도 쉬운데 뭉친 유닛들을 보면 뭐가 뭔지 당최 알아먹기가 힘듭니다.(특히 테란) 쉬운 문제는 아니겠지만 스타2리그에 생각이 있다면 블리자드가 밤낮을 새서라도 고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p.s.
솔까 스타2 공성전 보면 프로리그나 개인리그랑 방송의 질이 다르던데 온게임넷은 그냥 GSL 하는거 재방 틀어주는 역할로밖에 스타2에 손댈수가 없는건가요? 전 온게임넷 스타2리그를 보고 싶은데 그건 불가능한 꿈인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9/01 20:22
수정 아이콘
3-> 저그를 위한 불곰너프는 어느정도 동의합니다만 토스를 위해서...?

밑에서도 논쟁중이지만 전 토스땜에 불곰너프 하자는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아까 스2갤에서 본 재밌는 글 내용 한번 써볼게요. 기억은안나지만,

토스: 저그야 불곰 사기지않냐?

저그: 응! 불곰 개사기!!!

토스: 그렇지? 불곰 너프해야지??

저그: 응! 그리고 저그 상향좀 해야돼..

토스: 안돼! 그럼 프저전 황금밸런스 5:5가 깨지잖아..^^

저그: 끵..
지니쏠
10/09/01 20:24
수정 아이콘
시간증폭의 경우 넥서스클릭-증폭클릭-대상건물 클릭 의 세번의 클릭이 필요하고 알까기의 경우도 퀸클릭-알까기클릭-대상건물 클릭의 세번의 클릭이 필요합니다. 지게로봇역시 세번의 클릭이 필요하구요. 일일이 찍어줘야 하는 것은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저그의 버프필요성에 대해서는 다음패치를 기다려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음패치이후 다시 저그가 최강종족으로 부상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해서 저그를 요즘 연습하고 있거든요. 4번의 맵 거대화자체는 저도 찬성하는 바이지만 막상 러쉬거리가 긴 맵인 사막오아시스나 쿨라스협곡을 생각하니 내키지 않네요. 밸런스나 게임양상이 지나치게 많이 변할것 같아서 무섭기도 하구요. 능력있는 맵퍼께서 좀 더 크고 좋은맵을 만들어 주셨음 좋겠습니다. 크크
도달자
10/09/01 20:33
수정 아이콘
사신이 정말 악의축인것같습니다. 저그에게 발업을 강요하고 막을줄 알면 어찌되지만 몇번 안당해보면 무조건 당할수밖에 없는.. 게임의 진입장벽을 높인달까요?
사실 그것보단 팀플에서 .... 사신링ㅠ
아나이스
10/09/01 20:46
수정 아이콘
사신 삭제하고, 테란 유닛에게 뭔가 다른 걸 주던가 했으면 좋겠습니다.
진짜 이 유닛은 컨셉이 좋고 뭐고 그냥 없어져야 할거 같습니다.
10/09/01 20:48
수정 아이콘
4번에 대해서는 정말 공감합니다.
전쟁초원은 아직도 왜 래더에 있는지 궁금합니다. 뭘해도 암울하던데요... 덕분에 기사도님 방송에서는 안쓰이고요.
잃어버린 사원도 중앙을 좁게하는 언덕과 앞마당 견제 언덕이 나름 문제이고...
델타사분면도 맵은 재밌어 보이는데 저테전이...
빅토리고
10/09/01 20:54
수정 아이콘
스타1과 같은 플레이를 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가 사신인것 같습니다. 테란 상대로 선멀티 운영하는게 거의 미친짓처럼 보이니까요....
10/09/01 20:51
수정 아이콘
1번 사신은 이미 약화 패치 예정 되어 있구요. 이거 5초 길어지는걸로 뭐가 변한다는거냐...는 얘기 하시는 분도 가끔 있습니다만, 5초가 말이 5초지, 한번 싸이클이 돌 때마다 5초씩 길어진단 얘깁니다. 8사신 정도 모으려면 이전보다 15~20초 정도 더 걸린단 얘기죠. 게다가 벙커도 빌드타임 길어져서 사신 벙커링도 약해지구요. 개인적으로는 안그래도 초반 사신러시 때문에 패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었는데, 나름 적절한 패치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구요. 이래도 견적이 안나오는 수준이라면, 그때는 확실히 유닛의 컨셉을 바꾸거나 해서 다른 테크트리로 밀어넣는게 나을수도 있겠지요.

2번은 위의 지니쏠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세번의 액션(1번의 마우스 클릭+2번의 단축키 사용)이 필요한 건 퀸이나 지게로봇이나 똑같죠. 오히려 오토 시전으로 바꾸는게 형평성에 맞지 않는거라고 봅니다.

3번은 글쎄요, 탱크가 그대로였다면 조금 너프하는게 옳다고 얘기하겠지만, 탱크가 너프가 됐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게다가 현재도 초고수분들은 플테전 밸런스 괜찮다고 하는 것 같더라구요.

4번은 정말 정말 동감입니다. 유닛들이 쬐끄매져서 클릭하기도 힘들고... 알아보기도 힘들고... 맵도 너무 작아서 쪼끔 걸어가면 이미 상대방 앞마당이고... 아무래도 스타1에 익숙해져서 그런 걸수도 있겠습니다만, 맵을 좀 더 거대화 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5번 역시도 동감입니다. 유닛 좀 크고 시원하게 알아보기 쉽게 해주면 좋겠네요.
무한의 질럿
10/09/01 20:58
수정 아이콘
사소한것이긴 한데 테란이 건물을 지을때 건설로봇을 공격하기 쉽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전진 병영이나 벙커링을 발견하고 일꾼을 동원해서 막으려고 해도 건설로봇이 건물속에 파묻혀있어서 공격을 할 수가 없더군요. 스타1처럼 건물 밖에서 건물을 지었으면 좋겠네요.
jagddoga
10/09/01 21:04
수정 아이콘
퀸 알까기 오토까지는 안 바라고 퀸찍고 V 누르면 알아서 가까운 해처리에서 알까는 정도의 자비만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나인에스
10/09/01 21:41
수정 아이콘
전 사신을 볼때마다 워해머의 어썰트마린이 생각나는데요.. 던 오브 워2를 했을때 어썰트 마린은 원거리 공격보다는 빠르게 부스터로 접근하여 근접 공격을 하는 유닛이라는 느낌이었습니다.

사신도 공격을 근접공격으로 하면 어떨까요 -_-? 대신 데미지 or 체력은 조금 올려주고 무기는 워해머처럼 전기톱 같은거 들려주면 보기에 멋질것 같기도 하고... 무빙샷이 불가능해지고 등등..?

음.. 이게 너무 안좋다 싶으면 광전사의 돌진과 비슷하게 부스터로 확 달려드는 스킬을.....?

베타때 잠깐 저그로 스타2를 즐긴 사람의 뻘소리였습니다.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 아핫핫
10/09/01 21:45
수정 아이콘
친구(테란유저)와 팀플하면서 서로 항상 중얼거립니다.

'사신만 없어도 스타2가 두배는 재밌을텐데'

당하는 입장에서도 짜증나고, 쓰는 입장에서도 '이기기 위해서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일 뿐이더군요.
10/09/01 21:43
수정 아이콘
사신은 그냥 공학연구소로 올려버리고 뭔가 상향을 시켜주든지 아니면 컨셉을 바꿔버리던지 했으면 하네요. 무엇보다 팀플에서 사신때문에 살수가 없죠...
무한의 질럿
10/09/01 21:50
수정 아이콘
사신이 게임의 재미를 망치고 있긴 하죠. 팀플에서는 밸런스 파괴자, 1:1에서는 빌드의 획일화를 강제하는 원인.
엑시움
10/09/01 22:40
수정 아이콘
거신이랑 사신의 컨셉을 처음 봤을 때 경악했죠. 기본적인 장애물인 언덕을 마음대로 뛰어넘을 수 있다면 그건 그냥 공중 유닛이 땅으로 기어다닐 뿐이지, 지상 유닛의 특징이 전혀 없다는 거 아닙니까.

그나마 거신은 중후반 유닛이라 언덕 넘어다니는 게 큰 메리트가 되지도 않고 무엇보다 그만큼 페널티가 큰지라 적절한 유닛이죠. 한데 이놈의 사신은 테크도 빨라, 이속도 빨라, 업글도 싸, 특수능력도 막강해, 뭐 어쩌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후반 가면 극잉여이긴 하지만요. 한데 모든 게임은 초반에서 비롯되는데 초반에 개사기고 후반에 극잉여면 뭘 하나요...
후후맨
10/09/01 23:43
수정 아이콘
퀸이 알까기 자동시전이되면 그야말로.. 생산 자동화나 마찬가지 수준인데....... 자동생산이라.. 불편함해소를넘어서 좀 오버밸런스급이라고 생각됩니다만.. 토스로치자면.. 차원관문변신후 생산할때 파장에 직접 선택클릭하기가 손이많이가므로
렐리를 파장위에다가 해놓으면 유닛생산키누르면 해당지역으로 바로 생산이되게 해주세요라고했을때 수긍하시겠습니까?
생산자체를 자동화시켜버리면... 여러모로 문제점이 많을것같습니다. 제가 저그를 많이해보진않았지만 퀸 알까기가 지게로봇이나 시간증폭보다 특출나게 손이많이간다는느낌은 별로 못받은거같네요.. 차라리 점막종양 펼치는데에 손이 많이간다면 모를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61 반성+의견+짜증 [2] 빼꼼후다닥2581 10/09/02 2581
1560 밸런스를 파괴하는 불곰의 너프 방안 [91] 배럭오바마6007 10/09/02 6007
1559 이젠 1:1서치를 누를 자신이 없네요.. [17] Rest3651 10/09/02 3651
1558 미쳐버리겠습니다. [13] 오줌똥토3532 10/09/02 3532
1557 대토스전에서 다른 저그분들의 빌드가 궁금합니다. [15] 맹독충2903 10/09/02 2903
1556 IEM American Championship이 뉴욕에서 개최되네요 [1] Firehouse2342 10/09/02 2342
1555 GSL open 개막식 이벤트!! [7] 항즐이3058 10/08/31 3058
1554 저그 생각보다 상당히 무섭네요;; [24] 에버츠포드3634 10/09/02 3634
1553 선 분광기 다크 무섭네요 [8] 김연우3608 10/09/02 3608
1552 스타2 클랜 목록 9.0 [3] Fix_me2437 10/09/02 2437
1551 제가 생각하는 저그의 상향목록 [23] Inocent3020 10/09/02 3020
1550 PgR21 스타2 토너먼트 - 접수 마감. 각 종족별 통계. [16] kimbilly2743 10/09/02 2743
1549 저징징 [20] Typhoon2791 10/09/01 2791
1548 블리자드가 판매전략을 바꿀려는 걸까요? [12] 그랜드파덜3175 10/09/01 3175
1547 저그가 사용할 수 있는 재미있는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3] DEICIDE2600 10/09/01 2600
1545 TG 삼보-Intel Starcraft 2 OPEN Season1 예선전 리플레이 영상입니다. [7] kimbilly2914 10/09/01 2914
1544 그 많은 스타2 유저들은 다 어디에 있을까 [12] Sunsu5776 10/09/01 5776
1542 제가 본 스타2 앞으로 수정되어야 할 문제 [30] AfnaiD3352 10/09/01 3352
1541 스멀스멀 올라오는 추적자의 공포 (2) [17] 견랑전설2785 10/09/01 2785
1540 2:2에서의 테란 저그의 사신 저글링 조합의 파훼법은 정말 없나요? [6] 멍하니하늘만2623 10/09/01 2623
1538 2:2 저그토스 조합... [15] 헥스밤3079 10/09/01 3079
1537 불곰 너프는 말이 안됩니다. [263] 그랜드파덜8901 10/09/01 8901
1536 블리자드 공식 래더 순위가 갱신되었습니다. [9] KARA3015 10/09/01 30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