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8/24 22:54:05
Name 처음그때로
Subject 스타2 구매했습니다.
조금은 일기형식이 될 듯도 한데, 쓸데없는 정보라도 마구 집어넣어 보겠습니다. 쓸데있을지도?

1. 새로워진 배틀넷 및 계정관리

배틀넷 2.0으로 통합되면서, 혹시라도 스타크래프트2 베타에 당첨이라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오픈 직후 바로 아이디를 만들었습니다.
그와 동시에 아주 유용하게도, 구매한 제품의 시리얼키를 입력하면 바로 다운로드 설치가 가능하도록 바뀌었죠.
그래서 서랍장에 묵혀둔 디아블로2와 워크래프트, 그리고 말할것도 없이 스타크래프트를 꺼내어 등록 하려했더니, 클라이언트 내려받기가 윈도우즈 버전밖에 지원하지 않더군요!.
다행히도 북미 지역 계정으로 생성하면 맥용 클라이언트 내려받기가 지원된다는 말을 듣고 북미로 생성하여 정상적으로 등록했습니다.
그런데 북미라서 그런건지, 고대하던 베타키는 안오고...최근에도 자주 출몰하시는 '손'님의 계정을 양도받아 겨우 즐길 수 있었네요.(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오픈베타.

대만과 대한민국에서만 이뤄지기 때문에 기존에 실명계정을 도입한 한국에서는 당연히 본인인증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본인 명의의 휴대폰' 혹은 '범용 공인인증서'와 '아이핀' 중 하나를 소지하고 있어야 플레이가 가능해 진 것이 문제가 됐네요.
해외 거주관계로 휴대폰은 물론이고 유학 생활 도중에 도입된 아이핀 또한 금시초문이었던 데다가 범용 공인인증서는 꿈도 못꿨습니다.
그래서 잠시간 한국에 돌아간 참에 가장 쉬워보이는 공인인증서에 도전했습니다.(아이핀이라면 직접방문하여 대면확인도 가능하니, 서울지역에 거주하신 다면 이 쪽이 편할 수도 있습니다.)

http://epostmall.signra.com/ra_apply.sg

위 링크에서 현재 무료로 개인용 범용 공인인증서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서를 꼼꼼히 작성하시고, 서류 제출을 위해 본인이 직접 방문 가능한 가까운 우체국을 지정합시다. 방문서비스도 있지만 이 경우는 유료입니다.
작성 후에 확인서가 창에 뜨게 되고, 출력하셔서 본인의 서명을 기입하신 후에 지정한 우체국으로 찾아가서 '주민등록증 앞뒤 사본'과 원본을 함께 제출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제가 복사해 간 주민등록증은 조금 흐릿했는지 직원분이 직접 복사하여 송부해 주시더군요. 인터넷으로 신청 후 3일 정도 지나서 방문했지만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메일함을 열어보시면 공인인증서가 도착 해 있습니다. 안내도 자세히 나와있으니 이 후 안전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인인증 방법이 없어서 못하고 계시다면 이 기회에 만들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1년간 유효합니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고, 주 거래 은행으로 가서 인터넷 뱅킹도 신청하여 계좌 이체로 바로 구매했습니다.

-기존에 다른 국가 계정이었다면 주소지 변경을 통하여 대한민국으로 바꿔주시면 바로 오픈베타가 활성화 됩니다. 한가지 문제점이 있다면 분명히 기존에 등록된 게임들은 (US)버전이었는데 (KR)버전으로 일괄적으로 바뀌더군요. 오히려 좋은 부분도 있지만, 처음에 밝혔던 맥용 클라이언트가 비활성화됩니다. 미리 저장해 두고 변경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기서 다시 북미계정으로 바꾼다면 SC-II(KR)도 US로 바뀔 것인가? 라는 생각이 잠깐 듭니다만 테스트 해보진 못했습니다. 아마도 배틀넷2.0 도입 이후에 출시된 게임들은 해당되지 않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2. 프로토스

요새 저징징이 대세입니다만;; 프로토스를 하면서 참 재미없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타종족 보다 찌르기가 약한 것 같기도 하고요. 바퀴도 인구수2 이후로는 많이 약해졌긴 하지만요..
(어이, 촌놈! 새로 보여줄 게 있다네. 불곰이야! 아주 무지막지한 놈들이지. 이놈들이랑 추적자랑 맞붙여 보면 알 거라고.)

물론 기습적인 암흑기사와 공허포격기라는 카드가 있고, 분명히 제가 평범하게 플레이할 때 보다 승률이 좋긴 했습니다만;; 문제는 질 때는 너무 원사이드하게 진다는 것이죠. 날빌이란게 어쩔 수 없겠습니다만..
하지만 상황이 어느정도 진정되었을 때는 견제 혹은 카운터용으로 위력을 발하더군요. 다이아 700이상과는 붙어본적이 없으므로 논외입니다;

암흑기사는 우선 상대가 방업을 눌러주지 않았을 때는 일꾼을 정말 잘 썰어줍니다. 건설 로봇 체력이 너프된것이 암흑기사 견제에 보람을 느끼게 해주네요. 물론 견제를 귀찮아 하는 분들이 행성요새 + 터렛 한두기면 뭐...딱히 견적이 안나오긴 하지만요.
하지만 암흑성소라는 긴 빌드타임에 어마어마한 가스를 먹는 친구를 소환해야 하니, 어중간하게 이용하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초반에 빠르게 암흑기사 테크를 타서 올인성 공격을 하지 않는 이상은 로봇 공학과 고위 기사 테크에 투자하는것이 무난하니까요..
광물 150, 가스 250 인 주제에 빈 깡통인 암흑 성소에 암흑 기사의 점멸 업그레이드를 넣어주면 좀 더 사용하게 되려나요.. 어차피 근접공격이라 별 소용없을련지...

공허포격기는 얼마나 잘 컨트롤 하여 풀차지로 만들고, 유지시키는가가 실력 차이인 것 같습니다. 공성전을 찾아보다보면 꾹꾹 초반 막고 공허포격기 한기로 펑펑(..) gg를 받아내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같은 프로토스 유저로서 존경할 따름입니다. 그 분들이 사용하면 꼭 본진 구석 동떨어진 곳에 차징하기 좋게 상대 건물이 있고, 상대가 도착하면 풀차지가 되고, 결국 본진 건물까지 쑥쑥 밀리는 그림이 나오더군요. 뭐야 이거..
여담이지만 개별 전투를 하면서 바이킹과 밴시로만 하나하나 깨고 돌아다니면서 유희를 즐기고 있을 무렵 나타난 공허떼가 정말 제일 무섭더군요. 초반에야 바이킹이 공허포격기를 살살 녹여주는데, 대부대의 반이 터져나가도 나머지 반이 풀차징이 되면 이건 핵입니다.;;

뭐, 이뿐만 아니라 다이나믹한 유닛들이 상당히 많아진데다가 차원관문 소환이라는 새로운 요소의 도입으로 전장이 이그러지고, 전술자체의 유동폭이 늘어난 건 좋긴 합니다만 그런거 말고 불곰 줘..

각 종족의 특색을 잘 살려 플레이하는 것은 플래티넘 이상은 되어야 하나 봅니다. 저그로는 한국 100위정도..?

3. 승급 좀..

승급이야기는 워낙 게시판에서도 많이 나와서 말이죠. 허허...오픈베타 때 후배녀석 아이디로 조금 즐긴게 도움이 된 건지 현재 11승 2패입니다만..이기면 이길 수록 다이아는 왜 멀어보일까요. 다이아 800분에게 깨지고 이제 연패시작인가? 라고 생각했는데 다이아 500~600대 분들에게 다시 3연승, 뭐 이런 패턴이네요. 베타 초기에는 주로 비슷한 실력의 상대들과 겨루고, 슬슬 상위리그와 대결할 때는 승급이 코앞이라는 두근거림이 있었는데 지금은 어떤 방식으로 승급이 되는건지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군요.
다이아 보내두고 휴식점수 쌓아두려고 했더니 계속 플래티넘에서 깎아먹고 있습니다.
..플래티넘에 배치되자마자 8판을 다이아분들하고만 붙여줄 꺼면 왜 플래티넘으로 보낸 거요?..



-그래도 최근 오랜만에 게임의 즐거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항상 색다른 재미가 있는 시뮬레이션 장르인데다가 대전이 바로바로 진행될 수 있을만큼의 유저수가 뒷받침이 되다 보니 상당히 빠져들게 되네요. 제가 즐기던 fps들은 다 사람이 빠져나가서....ㅠㅠ

-RENTON님이 정리해주신 리스트에도 있지만..
클리프행어.914
혹은 메일주소로 ublisto골뱅이 핫메일닷컴
프로토스/플래티넘
입니다. 친구추가 언제나 환영이구요. 팀플도 매우 좋아합니다만 2:2는 아직 엄두를 못내고 있네요.
빨리 채널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스크롤 내리셨다면 이 부분만이라도 봐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진나라
10/08/24 23:10
수정 아이콘
3번에 사족을 달자면 다이아는 배치고사에서 바로 올라가진 않습니다. 승리만 한다고 가정하더라도 래더 십몇판 정도는 뛰셔아 올라갈 수 있어요.
10/08/24 23:23
수정 아이콘
아 공인인증서 .. 고생하셨네요
플래티넘 1위만 유지하면 다이아 올라가는데 오래 걸리지 않더라구요.
정형돈
10/08/24 23:37
수정 아이콘
전 배치고사 전승으로 플래티넘 직행했습니다.
나름 엣헴 ' ^' 하면서 래더를 시작했지만
포풍연패 후 봉인..ㅠㅠ
10/08/24 23:46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유저의 실력을 가르는 것 중에 역장 컨트롤이 빠졋네요. 무작위 유저인데 솔직히 공허 차지 시키는거나 그러는거는 대충하겠습니다만 역장을 좀 남발해야 좋은 전장을 만들겠더라고요. 심지어 역장 실수도 가끔해서...
10/08/25 00:36
수정 아이콘
그런거 말고 불곰 줘...정말 가슴에 와 닿습니다. 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2 오늘 기사도 연승전 저그 흥하네요! [10] 베일3750 10/08/26 3750
1450 프레임이 512를 기록했네요..-_-); [4] 개돼지만한놈3613 10/08/25 3613
1449 이제 플레티넘 진입한 초보입니다. [15] Vulture2646 10/08/25 2646
1447 개인적으로 스타2가 스타1에 비해 가장 아쉬운점은.. [23] 도달자4286 10/08/25 4286
1446 초반 배치경기 5전이 빠른 승급을 결정하는거 같습니다. [5] 플토빠3296 10/08/25 3296
1445 SOTIS 아시나요? [10] sisipipi3249 10/08/25 3249
1444 스타2를 처음해보았습니다.(궁금한점도 있습니다) [8] 코리아범2572 10/08/25 2572
1443 접속 안정적이신가요? [8] Johndon2179 10/08/25 2179
1442 저그에 아쉬운 것. [38] 빼꼼후다닥4000 10/08/25 4000
1441 컴퓨터가 자동으로 밸런스를 맞춰주는 시스템은 불가능할까요? [15] 마르키아르3622 10/08/25 3622
1440 스타2 클랜 목록 7.0 [6] Fix_me2721 10/08/25 2721
1439 각 종족별 테란의 기본 빌드오더 ? [7] 무사4369 10/08/25 4369
1438 다이아 승급.. [2] Darkmental2520 10/08/24 2520
1437 스타2 구매했습니다. [11] 처음그때로3556 10/08/24 3556
1436 기사도님 연승전 흥미진진하네요. [38] 밀가리4301 10/08/24 4301
1433 팀플들 많이 하시나요??? [10] 비빔밥2728 10/08/24 2728
1431 오늘 5시에 곰TV에서 기사도 연승전이 시작합니다. [14] Schol4214 10/08/24 4214
1430 캐리어(우주모함) 어떻게 상향시켜야 될까요? [25] 아나이스4831 10/08/24 4831
1429 토스의 빠른 광전사발업 및 하템 막기가 힘드네요; [8] 엉클구3355 10/08/24 3355
1428 사기다 사기다 말만 들었지 이렇게 사기일 줄 꿈에도 몰랐네 [53] Siriuslee6590 10/08/24 6590
1427 GSL에서 외국인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냈으면 좋겠네요. [9] 이스트2944 10/08/24 2944
1426 스타2에 추가해줬으면 좋을것 같은 몇가지. [5] 파벨네드베드3077 10/08/23 3077
1425 실버5위에서 플래5위로 점프 ㅡㅡ;; [7] KARA3000 10/08/23 30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