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8/19 12:14:30
Name 체념토스
Subject 곰티비 공성전을 보고 느낀점...
초창기 곰티비에서 하는 스타2 방송을 보다...
점점 무대 세트나 여러가지 환경들이 많이 개선되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네요.

그런데 사실 해설은 불만족스럽습니다.

제가 워낙 온겜 엠겜 스타1 해설에게 길들여져서 그런지 몰라도...
스타2게더에서 보여주는 해설은 아직은 아닌것 같아요.

가령 게임안에서 분위기나 흐름이 올라가야될 시점에서...
그런부분을 캐취하기보단 이상적인 부분만을 강조해서 분위기를 못 올리고 따로 노는 것 같습니다.

소리를 지른다거나 흥분하라는 것이 아니라 해설본연의 해박한 지식을 뽑내는 해설이기보단
게임의 맞춰서 재미라는 측면을 부각시켜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스타2가 아직 시작단계이고 많은 분들이 유닛의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한단계 더 낮춰서 그런 부분을 더 잘캐취해줘하기도 하구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이기 때문에 해설자분들의 부담이 클거라 생각이듭니다만...
좀더 재밌는 방송을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게임 연습도 좋지만 말투 억양도 자연스럽게 나올수 있게 연습도 하시고
언제나 피드백이 활발한 곰티비 해설진인 만큼 좋은 모습 기대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19 12:30
수정 아이콘
지금 초기인데 좀 지나면 잘하겠죠..
온겜스타리그 해설은 몇년이 지나도 발전이 없는 해설..
해설보다는 따른 이야기 잘하는 사람도 있고
그거보단 잘할뜻..
빼꼼후다닥
10/08/19 13:10
수정 아이콘
이건 스타1도 해당되는 말이지만, 해설할 때 발음 좀 제대로 해줬으면 좋겠어요. 가끔 그냥 노래방 오신건지, 해설하러 오신건지 구분이 안될 때가 있어요.
제가못배와가
10/08/19 14: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제가보기엔 분석적이고 차분한해설이 방송사해설과 차별화되서 맘에 듭니다. 일반적인 스포츠나 혹은 바둑이나 장기같은 중계를 봐도 방송사 스타중계는 너무이상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차후에 지상파에서 GSL중계되면 해설과 옵져버, 맵퍼들은 모든종족으로 일정점수되는분들만 했으면 좋겠어요. 직접 해보지도 않고 그냥 무조건 5:5입니다. 같은 멘트는 이젠 그만 나왔으면 좋겠어요. 해설의 질은 둘째치고 안좋은 종족이 힘든맵에서 실력으로 커버해서 좋은경기해주는데 선수나 팬들 힘빠지게하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10/08/19 15:16
수정 아이콘
댓글이.. 이런이런
10/08/19 15:45
수정 아이콘
예능해설을 원하시는것 같네요..

전 취향의 문제라고 봅니다. 다큐해설을 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스포츠 중계 많이 보시는지 모르겠지만..중립적인 시각에서 하는 해설..
(국대해설이 아닌경우) 은 대부분 감정을 억제하고 차분하게 해설합니다.
스포츠 본연의 경기내용으로 재미를 보장하는것이지..해설자가 재미를
더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는거죠..그게 꼭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10/08/19 16:39
수정 아이콘
뭐 일부에겐 좋을지 몰라도, 흥행 면에선 글쎄올시다입니다. 적어도 지금까지 곰티비 해설은 스타1때부터해서 흥행면에선 확실히 마이너스인거 같습니다. 특히 스타2 같은 경우는 이제 본격적으로 방송리그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취향문제로 치부하기엔 좀 중요한 문제 아닐지.
엉클구
10/08/19 18:06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뻘소리 해서 피식하는게 좋던데요...
샤르미에티미
10/08/19 18:22
수정 아이콘
뭐, 개인 취향 문제가 있는 거긴 하지만 웬만한 스포츠는 (바둑이나 골프 같은 종목 빼고는) 다 신나는 톤의 중계가 잘 어울리고
대중들도 그것을 원합니다. 차분하게 해설만 하는 것은 다수가 원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정확한 상황 전략 능력까지 있다면 금상첨화겠죠. 그런 해설 능력이 메이저 스포츠 중계진들에게는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온게임넷 해설진들 몇몇은 노력을 해야 하고 엠비씨게임 해설진들 몇몇도 다른 부분에서 노력을 해야하고
곰티비 해설진들이 가장 노력을 많이 해야할 것 같습니다.
이스포츠는 하는 입장에서는 거의 정적이지만 동적인 해설을 해야 걸맞은 것 같네요.
10/08/19 18:25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곰티비 공성전 해설진이 더 좋던데요.
일단 해설진들이 굉장히 전문적이라는 느낌이 팍팍 듭니다.
저야 겨우 골드 리거이지만, 오히려 그래서 그런지 곰티비 해설진들 얘기하는거 들으면서 배우는게 굉장히 많습니다.

그에 반해 현재 스타1 해설진들은 최근에 선수에서 해설로 전향한 분들 제외하고는 솔직히... 하수인 제가 봐도 이건 좀 아니올시다하는 해설이 많습니다.
톡 까놓고 말해서 현재 온게임넷 해설진은 10년 이라는 긴 세월동안 우리가 익숙해져서 그렇지 실력면으로 본다면;;
스타 해설진이라면 자고로 게임의 흐름을 정확히 읽어내고 선수들의 의도를 아마추어에게 알기쉽게 해설해줘야하는데, 아마추어인 제가 보기에도, 그리고 결과론적으로 봐도 정말 아니올시다라면 실력이 정말 없는거죠. (그에 반해 MSL 해설진은 전문적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Hibernate
10/08/19 19:16
수정 아이콘
저 그런데 뻘질문입니다만, 공성전 기사도님이 예전 나모모 기사도님이신가요?
개낑낑
10/08/19 23:53
수정 아이콘
저는 곰티비 중계진 맘에 들던데요..
개인적으로 싫어하는 해설은 김캐리임..
해설의 질은 갈수록 떨어지고 겉모습만 업그레이드되는거 같아서..
nameless..
10/08/20 11:03
수정 아이콘
곰티비 중계진 해설할 때 명백하게 판을 잘못읽는 경우도 종종 있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00 PvsT의 현재 문제점 [15] 허느님맙소사3167 10/08/21 3167
1399 테란유저인데요 [2] 레몬커피2392 10/08/21 2392
1398 테란너프에대한 지극히 주관적인생각. [95] 통파5093 10/08/21 5093
1397 드디어 다이아입성.. [8] 베일2439 10/08/21 2439
1396 스타 2의 테란크래프트화는 예상된 일.. [19] Snim3517 10/08/21 3517
1395 스타2 한글화 명칭 어느 정도 쓰세요? [25] 빼꼼후다닥3195 10/08/21 3195
1394 유럽에서 열리는 IEM 8강 보셨습니까? (스포) [8] Firehouse2801 10/08/21 2801
1393 아프리카 연승전 BJ -gisado 인터뷰 [10] 구름을벗어난달3319 10/08/20 3319
1392 스타2 명칭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7] ISUN2555 10/08/20 2555
1391 테저전, 원햇 뮤탈은 어떻습니까? [25] 맹독충4105 10/08/20 4105
1390 스타2를 하면서 게임하곤 상관없는 궁금증이... [3] 리얼리스트가2591 10/08/20 2591
1389 스타2를 하면서 몇가지 느끼는점 [20] 수지3788 10/08/20 3788
1388 스타크래프트 ost에대해 [5] 고마유3833 10/08/19 3833
1387 지금 기사도 연승전 보시는 분 계신가요? [21] 하나4151 10/08/19 4151
1386 토스로 불곰함대를 상대할 방법은 정녕 없는 것입니까? [14] 불멸자4541 10/08/19 4541
1385 초보 저그 유저들 다이아보내기! [11] 0ct0pu53733 10/08/19 3733
1384 곰티비 공성전을 보고 느낀점... [23] 체념토스4937 10/08/19 4937
1383 스타2 클랜 목록 5.0 [4] Fix_me2593 10/08/19 2593
1382 저징징글의 완성본이 나왔네요. [82] Monring6900 10/08/19 6900
1381 승급관련 궁금증이 있습니다. [6] 오줌똥토3007 10/08/18 3007
1380 스타1 유저를 위한 스타2 가이드 [24] 김연우7212 10/08/18 7212
1379 저그유저입니다. [11] 블레이드2868 10/08/18 2868
1378 대테란전에서 파수기를 어떻게해야 잘 쓰는지 궁금하네요. [10] ColdWM3240 10/08/18 32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