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8/07 01:14:42
Name nameless..
Subject 서기수 선수의 공성전을 보고
그동안 여타 토스분들이 이기는 경기를 볼 때면
저런 토스의 플레이는 분명 파해법이 있는 전략인데
상대 분의 미흡한 대처 때문에 승패가 갈렸다는 생각이 들 때가 종종 있었습니다.
반면에 서기수 선수의 경기를 보면 왜 저런 플레이를 하시는지 이해가 잘 안 갈 때는 있었으나
단지 이해가 잘 안갈 뿐이지 그런 플레이가 좋다든지 나쁘다든지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었었는데,
오늘 공성전의 경기는 공감 되는 점이 많았습니다.

1경기.
하이퍼덥님의 덥밥류 테란은 덥님 말씀으로도 날빌이 아니면 토스가 이기기 힘들다고 합니다.
서기수 선수도 그 빌드 때문에 힘들어 하신적이 있고요.
그래서 오늘 빠른 점멸연구를 한 것은 그 전략에 대한 맞춤형 운영이었다고 봅니다.
상대가 덥밥류가 아니었다면 빠른 점멸이 약간 리스크는 있었겠으나 극복이 불가능한 정도는 아니었을테니 적절한 판단이었다고 봅니다.
덥밥류 테란은 바이킹으로 상대의 옵을 잡고 클로킹 벤시와 마린으로 마무리 하는 전략인데
이건 정석적으로 대처를 할 경우 파해법을 알아도 그런류의 테란과 여러판 연습을 하지 않으면 막기가 거의 불가능한 전략입니다.

2경기.
상대 저그 입구 쪽에 2파일런을 짓는 전략은 근래에 서기수 선수가 특히 많이 사용해서
빠른 프로브 정찰을 확인 할 경우 1드론으로 마킹을 해주거나
입구 쪽에 파일런 짓더라도 무심하게 바라보며 언덕쪽에 성큰을 건설해서 드론 째고 중후반을 더 유리하게 가는 방법이 있는데
뒤늦게 여러 드론이 파일런을 부수러 나가고 앞마당에 해처리 짓다가 파괴 된 점에서, 저그분의 초반 대처가 미흡했던 것 같습니다.
이런 불리한 출발 때문에 4차관 러쉬를 막지 못하였습니다.

3경기.
개인적으로 테프전 스페셜 리스트는
DayFly, lain, Mio 님이라고 보았었는데
현재 DayFly님은 종족을 바꾸신 상태이고 lain님은 행방불명 되신 상태입니다.
그러나 Mio님과 경기가 치뤄져서 최고 수준의 프테전 경기를 볼 수 있었습니다.
관측선 정찰 후 멀티를 늦게가시고 거신을 빨리가신 뒤 불곰 위주의 조합을 보고
불멸자를 늘리신 서기수님의 운영이 돋보인 경기였습니다.

4경기.
상대가 2관문 광전사 체제일 경우 심시티를 잘 해주면 굳이 따라가는 2관문 광전사 체제를 선택 안해도
추적자로 2관문 광전사 푸쉬를 별 손해 없이 막은 뒤 역공 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상대 토스분이 따라가는 선택을 함으로써 초반에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는 기회를 놓쳤습니다.
이후는 가위 바위 보 싸움에서 서기수 선수가 승기를 가져갔네요.
이번 경기도 정찰 후 가위 바위 보 싸움을 한 것이 아니라
1경기 처럼 상대가 자주 쓰는 패턴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운을 이용한 가위바위보 싸움을 하였었는데
(상대의 병력 규모를 보고 상대가 거신을 하는지 암흑기사를 하는지 알 수 있는 정보는 없습니다.)
이런 패턴은 스1 프로 출신 다운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5경기.
상대 저그분이 최고수 저그라인 답게 초반 상대의 프로브 견제에 완벽히 대응하였습니다.
그러나 서기수 선수는 애초에 광자포 러쉬를 준비하지 않았더군요.
그 후 땅굴망 러쉬는 상대의 수정탑 시야 때문에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환상 불사조로 상대 병력 규모 파악 후 찌르는 전략과 적절한 수비병력으로 광자포에 역장을 친 점이 굉장히 돋보였습니다.
마지막 교전시 알게 된 사실은 버로우 바퀴가 역장을 통과한다는 점입니다.
패치로 통과 못하는 줄 알았는데, 다시 패치가 되었나 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가리
10/08/07 01:25
수정 아이콘
Dayfly이중헌 선수가 종족을 바꿨나요? 어제 까지만 해도 테테전 하시던데요.
아무튼 제가 중국에 있어서 중국 사이트에 VOD가 하루 늦게 올라오는데, 플토유저로 오늘 경기 정말 보고 싶네요.
nameless..
10/08/07 01:27
수정 아이콘
중국 사이트 말고 한국 사이트 곰티비로는 접속이 안되나요?
문앞의늑대
10/08/07 01:43
수정 아이콘
토스라면 무조건 봐야합니다.
마스터오브블
10/08/07 02:24
수정 아이콘
방송보니 어제 까지만 하고 바꿀꺼라고 하는거 같던데요
nameless..
10/08/07 03:08
수정 아이콘
네, 방금 말씀하시기를 확실히 바꾸셨다고 하네요. 토스로요.
박루미
10/08/07 03:16
수정 아이콘
와 서기수 선수는 정말 잘 하대요.. 역시 상대의 미묘한 움직임을 예측하고, 옵저버로 재확인하고
대응빌드면 대응빌드, 역빌드면 역빌드, 추적자 1.4컨트롤도 환상에다가 -_- ;;
특히 4셋트를 보고
"서기수도 역시 프로의 피가 여전히 전신에 흐른다" 는 걸 느꼈다지요.. 공허를 보고 당황한 상대를
어떻게 몰아붙이는지도 알고 있고 말이죵
밀가리
10/08/07 03:38
수정 아이콘
서기수 선수의 역장활용은 전세계 최고입니다. 역장 사용의 바이블이더군요.
강태훈
10/08/07 09:23
수정 아이콘
저도 어제 경기를 봤는데... 프로게이머의 피가 얼마나 무서운지 느낄 수 있는 게임이었던 것 같습니다. 완벽한 경기력을 보여준 건 아니었다고 해도,
프로토스 유저라면 꼭 챙겨봐야 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특히 포톤 역장은 생각도 못했던 건데 -.-;;
빅토리고
10/08/07 09:25
수정 아이콘
5경기 땅굴망 러쉬 시도했는데 서기수 선수가 발견하고 부수지 않았나요??? 전 그렇게 봤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90 [스포] 캠페인 상에 나오는 설정상에서 옥의 티 [30] 고형석3703 10/08/07 3703
1288 스타2 배틀넷은 새로운 사람들과 게임하기 어렵군요; [6] 오월3545 10/08/07 3545
1287 저는 다이아 진입이 상당히 쉽게 됐습니다. [8] 넌좀굶어임마3254 10/08/07 3254
1286 스타2 채팅기능 문제 [2] oij14189 10/08/07 4189
1285 PvT 탱크 중심의 테란을 상대하는 환상불멸자! [12] nameless..4221 10/08/07 4221
1284 다이아몬드 올라가려다 성질 버릴 뻔 [11] 허느님맙소사3144 10/08/07 3144
1283 스타2 한정판 패키지를 받았습니다 [8] Nerion3535 10/08/07 3535
1282 서기수 선수의 공성전을 보고 떠오른 잡념이랄까요.. [24] TSX3702 10/08/07 3702
1281 캠페인을 일정 수 클리어하다보니 갑자기 느려지네요 [4] 유니콘스2613 10/08/07 2613
1280 8월7일 제1회 게릴라 토너먼트 [1] 러브큐피터2142 10/08/07 2142
1279 프프전 패러다임... [5] 오월2441 10/08/07 2441
1278 토토전 날빌전략 [1] 시즈트럭2537 10/08/07 2537
1277 다이아는 정말 무서운곳이군요 ㅜ_ㅜ;; [10] 시즈트럭3432 10/08/07 3432
1276 서기수 선수의 공성전을 보고 [12] nameless..4443 10/08/07 4443
1275 스타1 프로게이머의 스타2 성공여부에 관해 [13] 좋은풍경3361 10/08/07 3361
1274 테란대 플토 전략 이거 어떤가요? [5] 밍밍밍2542 10/08/07 2542
1273 도타? 소티스라는 맵이 나왔네요. [6] 엔뚜루3154 10/08/07 3154
1272 '사막 오아시스'맵에선 테란이 저그를 어떻게 상대해야할까요? [9] 거침없는몸부2608 10/08/06 2608
1271 스타2 방송에 hd는 필수일듯.... [3] 빅토리고3359 10/08/06 3359
1270 P VS T, 파수기란 녀석은 어떻게 써줘야 하나요? [11] SwordDancer3225 10/08/06 3225
1268 스타2 할려고 컴업글을 할려고 하는데 CPU와 VGA 추천 부탁 드립니다. [10] 왜그래아잉2810 10/08/06 2810
1266 프프전에서 4차관 광전사 러쉬는 어떻게 막아야되나요? [13] 밀가리4014 10/08/06 4014
1265 [정보] 스타크래프트2 세계 TOP 7 웹진 리뷰점수와 메타크리틱 점수 [2] RATM3144 10/08/06 31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