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9/11 09:16:05
Name nearby
Link #1 FIFA 월드컵 예선
Subject [스포츠] 월드컵 사상 첫 진출 혹은 오랜만에 진출이 유력한 나라들
일단 아시아부터 갑니다.

1. 우즈베키스탄-아시아 3차예선 A조 2위-사상 첫 진출
항상 아시아 최종예선 문턱에서 미끄러지던 우즈베키스탄이 드디어 월드컵에 처음으로 발을 디디는데 성공합니다. 옆동네 카자흐스탄이 유럽으로 소속을 옮길때 우즈벡은 아시아 잔류를 선택했는데, 카자흐스탄의 월드컵 진출은 아직도 요원한 반면 우즈벡은 여러번의 도전 끝에 드디어 월드컵 예선의 문턱을 넘는데 성공합니다.

2. 요르단-아시아 3차예선 B조 2위-사상 첫 진출
요르단도 처음으로 월드컵에 출전합니다. 2023년 아시안컵에서 돌풍을 일으키더니, 그 돌풍이 우연이 아님을 증명하며 처음으로 월드컵 출전에 성공합니다.

3. 남아공-아프리카 예선 C조 현재 1위-2010년 이후 첫 진출
남아공은 개최국으로 출전한 2010년 이후 첫 진출이 유력합니다. 2경기 남겨두고 2위 베냉과 승점 3점차. 남은 대진도 하위권인 르완다와 짐바브웨라 16년만에 월드컵 무대에 오를 공산이 큽니다.

4. 카보베르데-아프리카 예선 D조 현재 1위-사상 첫 진출
서아프리카 대서양 지역의 섬나라 카보베르데도 사상 첫 진출이 유력합니다. 2경기 남겨두고 2위 카메룬과 승점 4점차. 남은 대진 중 꼴찌 에스와티니와의 대진이 있어 상당히 유리합니다.

5. 북중미카리브 최종예선 B조 1위
왜 이렇게 적는고 하니 B조의 국가들이 하나같이 월드컵 진출이 없거나 매우 오래된 나라들이기 때문입니다.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퀴라소, 버뮤다로 구성된 조인데 퀴라소와 버뮤다는 월드컵 진출이 없고, 자메이카와 트리니다드토바고는 월드컵 진출이 딱 1회(자메이카는 1998년, 트리니다드토바고는 2006년)입니다. 누가 나가든 이 목록에 들 수 있습니다.

6. 파라과이-남미 예선 6위-2010년 이후 첫 진출
파라과이도 2010년 남아공 월드컵 8강 이후 도통 월드컵 진출을 못하다 16년만에 월드컵 무대를 밟게 되었습니다. 90년대 말~00년대까지는 나름 잘 나가는 국가였는데, 그때의 모습을 다시 보여줄 수 있을지?

7. 뉴질랜드-오세아니아 예선 우승-2010년 이후 첫 진출
호주가 떠난 후 오세아니아의 1황이 되었지만 번번이 대륙간 PO에서 넘어지던 뉴질랜드가 월드컵 티켓 확장으로 인해 대륙간 PO를 거칠 필요가 없어지면서 2010년 이후 16년만에 월드컵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뉴질랜드는 별일 없는한 앞으로 수십년은 월드컵 고정손님이 될 확률이 높습...

8. 노르웨이-유럽 예선 I조 현재 1위-1998년 이후 첫 진출
홀란국 노르웨이도 1998년 이후 첫 진출이 상당히 유력합니다. 3경기 남겨두고 2위/3위와 승점 6점차. 승점차도 승점차지만 득실 차이가 굉장히 벌어져 있고 홀란과 외데고르를 앞세운 경기력도 상당히 좋습니다. 28년만에 온 노르웨이의 황금기를 살려낼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인트루이스
25/09/11 09:31
수정 아이콘
역시 유로/챔스 이런거 다 필요없고 월드컵이 최고야 크크크
벌써부터 내년 기다려지네요
윤지호
25/09/11 09:35
수정 아이콘
중국은 48개국에도 못드는..;; 어떻게 동남아보다 못할수가.
25/09/11 09:49
수정 아이콘
지난 글에 이어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국대에 관심이 없어지니 다른 국가들의 상황은 어떤가에 더 관심이 가네요.
DownTeamisDown
25/09/11 09:57
수정 아이콘
퀴라소가 예전에 히딩크가 감독 한적있어서 지금 누가 감독하나 보니 딕 아드보카트더라고요 예전에 06월드컵때 국대 감독이었죠.
파라슈
25/09/11 09:57
수정 아이콘
오세아니아 지역이 따로 있었어요? 호주는 왜 거기 안있고 아시아로???
베라히
25/09/11 10:09
수정 아이콘
호주가 아시아로 옮겼을 때
오세아니아는 0.5장이던 시절이었습니다.
25/09/11 10:10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1966년에 설립되서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나갔었죠..
다만, 월드컵 확대전까지는 월드컵 진출을 위해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로만 진출이 가능했습니다.
섬지역들이라 호주, 뉴질랜드외에는 실력이 없기도 하고요.
1. 매번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고생
2. 경쟁할 상대가 부족해 축구 리그 & 대륙별 컵대회의 흥미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시아로 복귀를 결정하였고, 아시아 축구 연맹 회원국들, FIFA와 협의 끝에 2006년에 복귀했습니다.
베라히
25/09/11 10:15
수정 아이콘
호주가 오세아니아에 있었을 때에는
대륙별 플레이오프 대결을 해야 해서
(98년-이란, 2002년-우루과이, 2006년-우루과이)
월드컵에 가려면
아시아로 가는게 훨씬 더 좋았습니다.
윤니에스타
25/09/11 10:36
수정 아이콘
와 98년-이란 정말 추억 돋네요. 이란이 호주한테 0-2로 끌려가다 내리 2골 따라잡으며 드라마같은 본선행.. 그때 호주 정말 쎄보였는데 말이죠.
無欲則剛
25/09/11 10:51
수정 아이콘
황금기였죠. 알리 다에이, 바게리, 아지지, 마다베키아 등등
윤니에스타
25/09/11 11:01
수정 아이콘
이란은 그때부터 한국 일본 이상이었고 줄곧 강팀 이미지인데 이상하게 월드컵 16강이랑은 인연이 없네요.
無欲則剛
25/09/11 11:47
수정 아이콘
경제력이 있는 일본과 한국에 비해 경기외적 요인? 캠프지 선정, 환경, 숙박, 식사등 지원 이런것들에서 차이가 났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카스
25/09/11 09:5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현재 2시드는 유력한가요?
DownTeamisDown
25/09/11 10:51
수정 아이콘
애매합니다. 끝까지 봐야합니다. 이게피파랭킹같은것도 문제인데 독일이나 이탈리아같은팀들이 UEFA 플옵으로 가냐 직행으로가냐도 변수라서요.
베라히
+ 25/09/11 12:20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는 플옵으로 갈 확률이 높아보이네요
바카스
+ 25/09/11 12:47
수정 아이콘
하아 어제 멕시코 다 잡았다가 극장골 먹힌게 아쉽네요.

한끗한끗이 아쉬울수 있는데 원정에서 상위 팀들 상대로 2승이면 포인트도 클텐데ㅜ
동굴곰
25/09/11 09:57
수정 아이콘
중국의 진출방법은개최뿐인가. 아시아 티켓 늘면서 들어가려나 했더니 우즈벡이나 요르단에 수혜가. 크크크.
코우사카 호노카
25/09/11 09:58
수정 아이콘
중국 오라고 늘려놨더니 크크크
Chasingthegoals
25/09/11 10:00
수정 아이콘
뉴질랜드는 축구에서도 시합 전 하카를 보여주겠죠?
25/09/11 10:18
수정 아이콘
홀란정도 되는 선수가 나오면 노르웨이도 월드컵을 오긴하는군요 크크
25/09/11 11:29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가 축구를 못하기도 해줘야합니다만..
25/09/11 12:03
수정 아이콘
어 거긴 월드컵에서 못본지 오래된 약팀아닌가요?
쵸젠뇽밍
25/09/11 10:18
수정 아이콘
과거엔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야해서 아시아로 가는 것이 더 좋았던 게 아니라,
티켓이 늘어난 지금도 아시아로 온 것이 더 좋습니다.
호주 없는 오세아니아에서 뉴질랜드가 좋아진 거지, 오세아니아에 호주가 있다면 여전히 아시아보다 빡세죠.
누가 뭐래도 아시아가 가장 널널합니다. 최소한 98년 이후로는 쭉이요.
카페알파
25/09/11 10:21
수정 아이콘
중국이 축구 못하는 건 생각해 보면 이상하긴 하네요. 뭐, 각종 비리나 꽌시 문화 때문에 그렇다고 하는데, 그러면 그런 일들이 축구에서만 일어나고 중국이 세계적으로 그래도 좀 한다고 하는 종목에서는 없을 것이냐 하면, 그건 아닐 것 같거든요. 중국 사람들이 태생적으로 축구에 소질이 없는 건가 하는 생각도 해 보지만, 만의 하나 그게 맞더라도, 그 정도 인구면 돌연변이 11명 정도는 나올 것 같은데...... 그렇다고 축구 열기가 다른 나라에 그렇게 뒤지는 것도 아니구요. 여러모로 중국이 저 정도로 못하는 건 미스테리하긴 합니다.
25/09/11 11:42
수정 아이콘
축구 못하는거 진짜 논문대상이죠. 10억 인구 가지고 세계 32강도 못들어간다는건.. 다른스포츠 성적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죠. 단체구기종목 농구 배구 등등생각하면 다 순위권인데 유독 축구만 그래서 더 신기해요.
윤니에스타
25/09/11 10:32
수정 아이콘
카보베르데 신선하네요. 아프리카는 티켓이 많아졌는데도 강호들이 은근 고전하더라고요. 잘못해서 2위하면 상위 2위국끼리 플옵, 그리고 또 대륙간 플옵.. 오징어게임이 따로 없는 ㅠ 홀란의 노르웨이는 예전 셰브첸코의 우크라이나 이상이려나요. 약간 비슷하네요.
25/09/11 10:36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예선이 본선 진출국 확대 전이나 지금이나 레알 지옥불맛이죠. 사실상 조1위 말고는 나가지마란거랑 똑같아서... 조2위는 9개 팀중 성적 상위 4개팀만 짤라서 싱글 토너먼트 거쳐서 단 1팀만 살아남고, 그 살아남은 팀도 본선행이 아니라 대륙간 PO행입니다. 본선 나가고 싶으면 무조건 조1위를 해야...거기다 아시아처럼 상하위 팀이 전력차가 나는것도 아니고 해서 이변도 심심찮게 나고요.
윤니에스타
25/09/11 10:42
수정 아이콘
네네 대륙 플옵이라고 적었는데 못보신듯 크크. 아프리카는 5장 시절에도 저는 티켓이 적다 생각했는데 9.5장이 됐는데도 많은 느낌이 안 듭니다. 예전엔 진짜 카메룬-나이지리아 미만 잡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 카메룬-나이지리아가 털릴 정도로 강팀이 많아진..
ShamanRobot
+ 25/09/11 14:36
수정 아이콘
조2위도 나가도록 조짜기엔 국가도 너무 많고,
그렇다고 타 대륙처럼 1차 2차 3차 예선 돌리기엔 거의 다 저개발 국가들이라 경기수 많이 잡기도 힘들다보니 이렇게 된 것 같은데
그래도 9.5장은 너무 가혹하긴 하네요...
아조레스다이버
+ 25/09/11 21:49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가 하나의 대륙인 것도 말도 안 되죠... 어떻게 이집트와 남아공이 같은 대륙인지.
안희정
25/09/11 10:43
수정 아이콘
사실상 중국을 위한 확대였을거같은데ㅠ
handrake
25/09/11 10:59
수정 아이콘
예선참가대비 출전티켓수만 따지면 10나라중 6.5장이니 남미가 가장 꿀인데 거긴 깔아주는 만만한 팀이 없어서 그런 느낌이 안드네요.
그나저나 오세아니아는 뉴질랜드 영구출전권주는 셈인데 좀 그렇긴 합니다.
ShamanRobot
25/09/11 11:38
수정 아이콘
호주가 떨어지고 뉴질랜드 올라가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네이버후드
25/09/11 11:24
수정 아이콘
호주는 저럴거면 그냥 오세아니아로 다시 돌아가면 개꿀같은데
25/09/11 12:03
수정 아이콘
월드컵 가는게 최종목표라면 그렇겠죠.
덴드로븀
25/09/11 11:31
수정 아이콘
중국은 깍두기로!
25/09/11 11:55
수정 아이콘
중국은 축구 잘 할 자원들이 다 탁구 치고 있는 건가
철판닭갈비
+ 25/09/11 12:25
수정 아이콘
오우 노르웨이 크크 음홀대전으로 한 몇년 즐거울거 같았는데 둘이 생각보다 부진(?)하고 갑자기 치고 올라오는 벨링엄, 페드리, 비니시우스, 야말 등등...이번 월드컵에서 음바페 홀란드가 어느정도 할 지 궁금하네요 지금 폼 보면 스페인이랑 아르헨티나가 젤 세보이던데
요르단은 왜케 갑자기 잘해진건가요? 우리나라 이길 때도 보면 실력 만만치 않던데
ShamanRobot
+ 25/09/11 12:53
수정 아이콘
아시안컵에서 준우승한게 혈 뚫린것 같긴 합니다.
리그 앙에서 뛰는 무사알타마리나 서울에서 뛰는 야잔도 잘하고 있고
철판닭갈비
+ 25/09/11 12:55
수정 아이콘
아 그때가 기점이었나요..?
클린스만 아니라 벤투였으면 경기 어땠을지 궁금하네요...
윤니에스타
+ 25/09/11 13:08
수정 아이콘
사실 요르단은 늘어난 티켓의 수혜자이면서 전력이 급상승한게 맞는게 우리나라-이라크-요르단 이조에서 정배는 우리와 이라크가 1,2위 하는 거였죠. 그런데 이라크가 우리나라만 만나면 잼병이었던데다 아시안컵에서 보여준 경기력이 전혀 나오지 못하더라고요. 그래서 요르단이 당당히 플옵도 안 가고 본선 티켓을 얻었네요. 알타마리, 알나이마트, 야잔 등등 나름 황금세대가 온 듯합니다.
+ 25/09/11 12:52
수정 아이콘
진짜 줘도 못 먹는다는 말이 딱이네 크크크크
김건희
+ 25/09/11 12:55
수정 아이콘
중국이 축구 못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실력 있는 선수가 팀에서 주전으로 뛸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이죠.

아래 유튜브 영상들 보시면 감 잡히실 겁니다. 배 나온 축구 선수가 말이 됩니까?

https://youtu.be/qG9xQoWRHw4?si=ZJrSvJHENxurJQ3w

https://youtube.com/shorts/CfL03RSS1mc?si=sX4UwZM00GIp5OkL
無欲則剛
+ 25/09/11 13:06
수정 아이콘
원인중 하나일지는 몰라도 그것때문은 절대 아니죠. 괜히 논문감이라고 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애초에 실력있는 선수자체가 별로 없어요.
+ 25/09/11 13:48
수정 아이콘
간단합니다.
사람들이 축구를 안해요
고등학교 축구부수가 우리나라랑 비슷하고 
축구동호회 같은 수는 우리나라 절반도 안되요
중국에서 축구는 보는 스포츠로 인기있는거지 하는 스포츠로는 인기가 없어요
지니팅커벨여행
+ 25/09/11 13:18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는 없네요?
아.. 아직 미확정이구나. 이번에도 못 나갈 수 있겠네요.
+ 25/09/11 15:06
수정 아이콘
저기 노르웨이의 밑에 깔린 조2위가 다름아닌 이탈리아입니다. 노르웨이와 득실차가 너무 벌어져서 이번에도 PO행이 매우 유력합...
지니팅커벨여행
+ 25/09/11 17:17
수정 아이콘
역시나 그렇군요.
이탈리아는 어떻게 약팀이 되었나...
달팽이의 하루
+ 25/09/11 13:37
수정 아이콘
카보베르데는 처음 들어서 찾아봤더니 인구수가 53만정도네요;; 대단하네요.
ShamanRobot
+ 25/09/11 14:30
수정 아이콘
여기는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영향이 있어서 포르투갈 리그에도 많이 진출해있죠
나니가 대표적이고, 스위스 국대 뛰는 젤송 페르난데스도 여기 태생입니다.
48개국으로 넓어지면서 비슷한 배경을 가진 다른 국가들이 올라올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네덜란드 식민지였던 수리남이나 퀴라소도 북중미 예선에서 나름 선전중이라
달팽이의 하루
+ 25/09/11 14:34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처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25/09/11 14:27
수정 아이콘
맘편하게 중국은 개최하는게 더 빠를듯 크크

한국은 참 작은 나라가 야구, 축구, IT, 반도체, 조선업, 제조업, 민주주의 등이 되는게 싱기방기
마작에진심인남자
+ 25/09/11 23:56
수정 아이콘
중국때매 바꾼 룰아닌가요.. 왜 못가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979 [연예] 김종국 결혼발표 유튜브 [9] 껌정3671 25/09/11 3671 0
89978 [연예] 주연급 여배우가 말아주는 피들스틱 모사 [8] 밥과글4784 25/09/11 4784 0
89977 [스포츠] [복싱] 88올림픽 박시헌 금메달 상대방에게 반환 [40] 중년의 럴커6657 25/09/11 6657 0
89976 [연예] 뉴진스·어도어, 2차 조정도 결렬…10월 30일 법원 선고 [66] 카루오스6737 25/09/11 6737 0
89975 [스포츠] [KBO] 이번 시즌 크보 지명타자 빠따 순위 현황 [11] 손금불산입2968 25/09/11 2968 0
89974 [스포츠] [KBO] 강민호 "롯데로 돌아갈 수도 있다." [35] 손금불산입4548 25/09/11 4548 0
89973 [스포츠] [KBO] 한화 15승 듀오 vs LG 10승 4명 [20] 손금불산입2577 25/09/11 2577 0
89972 [연예] 56세에 골떄녀 복귀한 박선영 근황.mp4 [10] insane3590 25/09/11 3590 0
89971 [연예] 2025년 9월 1주 D-차트 : 골든 1위 탈환과 함께 6번째 1위! 아이브는 2위 진입 [1] Davi4ever580 25/09/11 580 0
89970 [스포츠] [오피셜] 프랑크 리베리, 개인 사유로 아이콘매치 불참 (+대체선수 확정) [12] Davi4ever2919 25/09/11 2919 0
89969 [스포츠] 월드컵 사상 첫 진출 혹은 오랜만에 진출이 유력한 나라들 [53] nearby5061 25/09/11 5061 0
89968 [연예] 같은 날 올라온 에스파와 아이브의 비하인드 영상 [1] Davi4ever3887 25/09/10 3887 0
89967 [스포츠] 9/10 한화 vs 롯데 [41] 엘브로7315 25/09/10 7315 0
89966 [연예] 신승훈 정규 12집 선공개 타이틀곡 'She Was' M/V [7] Davi4ever4945 25/09/10 4945 0
89965 [연예] [레드벨벳] 웬디 미니 3집 타이틀곡 'Sunkiss' M/V [1] Davi4ever2772 25/09/10 2772 0
89964 [연예] [아이브] 가을에 책 추천하는 가을 영상 Davi4ever2729 25/09/10 2729 0
89963 [스포츠] 양궁) 세계선수권 중간 결과 [7] 김티모4951 25/09/10 4951 0
89962 [연예] 크라임씬 제로 - 공식 예고편 [15] 키스도사4258 25/09/10 4258 0
89961 [스포츠] [KBO] 이번 시즌 크보 우익수 빠따 순위 현황 [19] 손금불산입3214 25/09/10 3214 0
89960 [스포츠] [KBO]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KT 위즈 [26] 손금불산입3677 25/09/10 3677 0
89959 [스포츠] [해축] 공중분해 수준의 무패우승 레버쿠젠 [8] 손금불산입3742 25/09/10 3742 0
89958 [연예] 윰댕이 남긴 대도서관에 대한 이야기 [34] 유료도로당6270 25/09/10 6270 0
89957 [연예] [아이유] ‘바이, 썸머 (Bye, Summer) 음원 발매 [4] VictoryFood1424 25/09/10 14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