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07/03 16:37:16
Name bifrost
Link #1 http://www.statiz.co.kr
Subject [스포츠]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1루수편)
재미 삼아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상상에서 정리해 본 글입니다.
기존의 골든글러브 수상자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WAR 순으로 골든 글러브를 주자고 주장하는 글은 더더욱 아닙니다.
(그러면 투표가 무슨 의미가 있고 각 선수들의 스토리가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그저 재미 삼아 정리해 본 글이라는 점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실제 수상자와 WAR 1위가 다른 경우 (괄호안은 WAR)
1982년 김용달 (1.61) / 김봉연 (3.68) - 이 당시 골든글러브는 수비율로 수상, 베스트 텐은 김봉연
1983년 신경식 (1.32) / 김성한 (3.65) - 이 당시 골든글러브는 수비율로 수상, 베스트 텐은 김성한
1993년 김성래 (6.30) / 양준혁 (6.85)
1994년 서용빈 (3.85) / 김경기 (4.25)
1996년 김경기 (3.64) / 이승엽 (3.65)
1997년 이승엽 (6.78) / 김기태 (7.30)
1998년 이승엽 (6.73) / 김기태 (7.28)
2010년 최준석 (3.86) / 박정권 (3.94)
2012년 박병호 (6.51) / 김태균 (6.97)
2017년 이대호 (3.75) / Wilin Rosario (5.00) - 타자버전 장원삼 vs 나이트



7회 수상
김성한 (6회)

6회 수상
이승엽 (7회)

5회 수상
박병호 (6회)

3회 수상
김태균 (2회) / 이대호 (4회)

2회 수상
장종훈 (-) / 양준혁 (1회) / 김기태 (0회) / Eric Thames (2회) / 강백호 (2회)

1회 수상
김봉연 (0회) / 김용철 (-) / 김상훈 (-) / 김경기 (-) / 최희섭 (-) / 박정권 (0회) / Wilin Rosario (0회)

0회 수상
김용달 (1회) / 신경식 (1회) / 김성래 (1회) / 서용빈 (1회) / 최준석 (1회)



수비적인 측면에 대한 강조가 덜한 1루수 답게 타 포지션에 비해 상대적으로 WAR과 부합하는 결과가 많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KBO의 WAR은 사실상 타격 지표라고 해도 무방하기 때문에)
그리고 WAR 글에서 빠지지 않는 위엄 모먼트는 김성한에게로.
투수를 병행하면서 1루를 지배했던 김성한의 위엄 덜덜덜 (투수 WAR은 빼고 계산한 결과입니다)



<데이터 정리 시리즈>
주말리그 개편 이후 전국대회 고교별 우승 횟수 - https://pgr21.com/spoent/76448
재미로 보는 KBO 40주년 레전드와 WAR - https://pgr21.com/spoent/76586
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들이 가장 많이 거쳐간 프랜차이즈는? - https://pgr21.com/spoent/76627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투수편) - https://pgr21.com/spoent/77035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포수편) - https://pgr21.com/spoent/77056



포수편 A/S
2009년 포수 이도형에 대한 이의 제기가 있었습니다.

데이터를 좀 더 찾아본 결과.
2009년 이도형 선수가 출장한 경기 수는 98게임.
이 중 포수로 출장한 경기 수는 54게임에 불과하므로 골든글러브라는 수식어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

2009년 포수 WAR 1위를 이도형 -> 정상호 (2.28)로 정정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더치커피
23/07/03 16:52
수정 아이콘
98년은 우즈 골글을 이승엽이 가져간게 논란이었다고 들었는데 진짜 주인은 눕동님이셨군요 크크
설사왕
23/07/03 17:01
수정 아이콘
93년도 양준혁, 김성래는 같은 팀, 같은 포지션에서 전체 war 1, 2 등을 차지했네요.
이것도 진기록일 듯.
에바 그린
23/07/03 17:11
수정 아이콘
2017년 유독 골글 개판으로 준 해죠. 이대호도 대참사 수준이지만
박건우가 못 받은건 진짜 역대급... 덕분에 박건우는 아직도 골글 0회 외야수 크크크크크
심지어 약물러는 챙겨준것도 참
김유라
23/07/04 14:45
수정 아이콘
2012~2018 이 전반적으로 개판이었는데, 2016~2018 이 진짜 올타임급 엉망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부분의 정점은 약물러 MVP 라고 생각하고요 크크크
캐러거
23/07/03 17:53
수정 아이콘
미스터인천 김경기!
탑클라우드
23/07/03 18:40
수정 아이콘
김경기 야구 잘했죠 허허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22435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671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80734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52675 0
88571 [스포츠] [해축] 디 애슬래틱 선정 24-25 올해의 선수 [4] 손금불산입437 25/05/22 437 0
88570 [스포츠] [KBO] 크보에서 롱런한 외국인 선수들 [15] 손금불산입436 25/05/22 436 0
88569 [스포츠] [KBO] 롯데 자이언츠 단일 시즌 투타 WAR 순위 [9] 손금불산입310 25/05/22 310 0
88568 [스포츠] [해축] 3번째로 챔피언스 리그 진출을 확정한 토트넘 [30] React Query3395 25/05/22 3395 0
88567 [스포츠] [해축]아모림: 팬들과 보드진이 나가라고 한다면.. [23] 카린3954 25/05/22 3954 0
88566 [스포츠] 오늘 유로파 우승의 주역.jpg [15] Anti-MAGE5271 25/05/22 5271 0
88565 [스포츠] [해축] 토트넘 우승, 손흥민 첫 메이저 트로피.gif (용량주의) [71] SKY927776 25/05/22 7776 0
88564 [연예] [트리플에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음방 1위 + 여러 영상 [6] Davi4ever2303 25/05/21 2303 0
88563 [스포츠] [KBO] 어제에 이어 오늘도 정품 엘롯라시코 [30] 김유라5189 25/05/21 5189 0
88562 [연예] [아이들] 스튜디오 춤 퍼포먼스 + 여러 영상들 [4] Davi4ever2066 25/05/21 2066 0
88561 [스포츠] [해축] 남들보다 2점 앞서가는 맨시티.mp4 [8] 손금불산입2954 25/05/21 2954 0
88560 [스포츠] 대략 8시간 후에 펼처질 희대의 매치업 [38] 포스트시즌6390 25/05/21 6390 0
88559 [스포츠] [KBO]이대호가 뽑은 대한민국 야구 국대 라인업 [40] 포스트시즌5103 25/05/21 5103 0
88558 [스포츠] [NBA] 동부컨파 피자 이벤트 [117] SKY922624 25/05/21 2624 0
88557 [스포츠] [KBO] 4년전 오늘 크보에서 있었던 일 [29] kapH5221 25/05/21 5221 0
88556 [스포츠] [MLB] 애런 저지 16호 홈런 [12] kapH3814 25/05/21 3814 0
88554 [연예]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2차 예고편 [28] a-ha4101 25/05/21 4101 0
88553 [연예] 아이유 꽃갈피 셋의 타이틀곡은.....(전체 트랙리스트) [30] 스트롱제로5455 25/05/21 5455 0
88552 [스포츠] [해축]요즘 세리에 득점 1위 .avi [13] 카린3866 25/05/21 38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