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2/12/22 17:16:15
Name 그렇군
Subject [펀글]네티켓10원칙
▒ 네티켓 10원칙


▒ 1원칙 - 인간임을 기억하라.

가상공간에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태도는
상대방이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실제 인간이라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전자적으로 대화할 때 단지 눈앞에 보여지는
컴퓨터 스크린만을 통해 상대방이 인간임을 간과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서로 대면하지 않고도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는 매체의 특성과 익명성은
때론 사람들로 하여금 음란하고 무례한 행동을 유발하기도 하고,
실생활에서는 행해질 수 없는 부분까지도 허용될 것이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상에서 글을 게재하거나 메일을 띄울 때,
"나는 지금 사람의 얼굴을 마주하고 이야기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볼 필요가 있다.

다시말해 본 원칙이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가상공간에는 보이지 않는 실제 사람들이 존재함을 명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 2원칙 - 실제생활에서 적용된 것처럼 똑같은 기준과 행동을 고수하라.

실생활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떠한 처분이나 적발되는 두려움 때문에
그런대로 법을 준수하게 되지만,
가상공간상에서는 윤리기준이나 인간적인 행동규범의 적용을 덜 받는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로 인한 혼란은 이해가 가지만, 이러한 생각을 지닌 사람은 잘못된 것이다.

사이버공간 상에서의 행동기준은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실생활보다 적은 규제를 받는 것은 아니다.

만일 사이버 공간에서의 윤리적인 딜레마에 빠질 경우
실생활에서 지켜지는 규범을 참고하여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 3원칙 - 현재 자신이 어떤곳에 접속해 있는지 알고,그곳 문화에 어울리게 행동하라.

네티켓은 해당영역마다 다양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어떤 영역에서는 이상적으로 허용되는 것이 타영역에서는 몹시 무례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영역에서는 네티켓 또한 다르기 때문에
당신이 어느 곳에 접속해 있는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가상공간에 새롭게 참여하고자 할 때에는 그 환경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채팅하는 것을 들어보거나 게재된 글을 읽어보는 등의 준비를 통해
그곳에 소속된 사람들과 그들의 생각을 파악하고 나서, 직접 참여하도록 한다.



▒ 4원칙 - 다른 사람의 시간을 존중하라.

메일을 보내거나 토론그룹에 글을 띄울 때,
다른 사람들의 시간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즉, 글을 읽게 되는 다른 사람들이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글을 올리는 사람 각자의 책임이다.

특히 시간과 대역폭
(사이버 공간상에서 모든 사람들이 통신회선과 채널을 통해 정보를 가져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나 저장용량)을 잘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어떠한 글을 올리기 전에 다른 사람들이 진정으로 그것을 알고 싶어하는지 따져봐야 하며,
만일 다른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정보라면, 그들의 시간을 빼앗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5원칙 - 온라인상의 당신 자신을 근사하게 만들어라.

온라인상에서는 익명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자신의 외양이나 행동보다는 그 사람이 쓴 글의 수준에 따라 평가를 받게 된다.

따라서 글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당신이 무엇에 관해 이야기하는가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락별로 철자나 문법의 오류없이 완벽하게 글을 쓰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당신이 쓴 글을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만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공격적인 언어의 사용을 자제하고, 기분좋고 정중한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 6원칙 -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하라.

가상공간의 힘은 바로 그 수에 있다.

온라인상에서 질문을 하면 수많은 지식을 보유한 사람들이 그 질문을 읽게 되고,
그들중 일부만이 재치있는 답변을 하게 되더라도 세계의 지식을 모두 모아놓은 듯한 효과를 가져온다.

내가 아는 무언가를 공유하고자 할 때, 뭔가 남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거라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특히 내가 질문한 것에 대한 결과를 공유하는 것은 특히 예의 바른 것이다.

당신이 지닌 지식을 공유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이는 네트웍상의 오랜 전통이며, 세상을 좀더 좋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 7원칙 - 논쟁은 절제된 감정 아래 행하라.

"논쟁"은 어떠한 격렬한 감정을 절제하지 않고 강하게 표현할 때 생겨난다.

논쟁은 오랜 동안 지속되어온 관행이며, 많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로 네티켓에서는 이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논쟁을 지속시키는 것을 금하고 있다.

논쟁의 시작단계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끌수 있으나,
격렬한 논쟁이 지속될 경우 이에 끼여 들고 싶지 않는 사람들은 곧 싫증을 내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논쟁은 토론그룹의 분위기를 지배하거나
그룹원간 우애를 깨뜨릴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 8원칙 -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하라.

아무리 가상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부분이지만,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존중하는 마음이 없다는 것은 단지 나쁜 네티켓만으로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당신의 일에도 피해를 주게 되므로 전자우편을 비롯한
상대방의 정보를 훔쳐보거나 허가없이 복사하여 배포하는 등, 타인의 사적인 영역을 함부로 침범해서는 안된다.



▒ 9원칙 - 당신의 권력을 남용하지 말라.

사이버공간에서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권한을 가진다.

일상사무에 능하거나 모든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처럼 다중 사용자영역에서 재능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

다른 사람들보다 좀더 잘 안다거나 그들이 하는 일 보다 더 많은 권한을 지닌다고 해서
그들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남용해서는 안된다.



▒ 10원칙 - 다른 사람의 실수를 용서하라.

누구나 처음엔 네트웍 초보자였다.

따라서 누군가 실수를 할 때에는 그것에 관해 친절을 베풀 줄 알아야 한다.

만일 그것이 아주 사소한 실수라면 그냥 넘기도록 하고,
비록 그것이 크다고 느껴질지라도 정중하게 그것을 지적하도록 한다.

타인의 실수를 지적함에 있어서도 신중하게 다시한번 생각하도록 하고,
공개적이 아닌 개인적인 메일을 보내도록 한다.

또한 의심이 가는 부분들에 대해 그들이
단지 더 좋은 무언가를 알지 못했다고 가정하고 좋게 해석해 주도록 한다.

// 네티켓에 관해서 몇가지 유용한 조언입니다.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지요, 가끔씩 잊어버리기 때문에 문제긴하지만요.
밑의 사이트는 원래 사이트구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된다고 하네요.
http://www.albion.com/netiquette/introduction.html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zingerⓩ
02/12/22 19:23
수정 아이콘
정말 이대로만 지켜졌으면 하네요...
물빛노을
02/12/22 20:51
수정 아이콘
좋은 글입니다. 특히 3번 현재 자신이 어떤곳에 접속해 있는지 알고,그곳 문화에 어울리게 행동하라. 전적으로 공감입니다. 그리고 7번은 폐부를 찌르는 아픈 말이군요. 반성, 자중하겠습니다.
박성우
03/05/18 17:42
수정 아이콘
전적으로 옳은 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27443
3619 세계 인구 80억 육박 소식을 듣고 [6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161 22/11/14 10161
3618 [테크 히스토리] K(imchi)-냉장고와 아파트의 상관관계 / 냉장고의 역사 [9] Fig.18685 22/11/08 8685
3617 [LOL]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25] 어빈8887 22/11/06 8887
3616 [LOL] 좌절감이 사나이를 키우는 것이다 [39] 마스터충달8707 22/11/06 8707
3615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4] 물맛이좋아요9244 22/11/05 9244
3614 사진다수) 1년간 만든 프라모델들 [27] 한국화약주식회사13107 22/11/05 13107
3613 야 너도 뛸 수 있어 [9] whoknows12476 22/11/05 12476
3612 [바둑] 최정 9단의 이번 삼성화재배 4강 진출이 여류기사 최고 업적인 이유 [104] 물맛이좋아요12849 22/11/04 12849
3611 이태원 참사를 조망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론장은 가능한가 [53] meson12070 22/11/02 12070
3610 글 쓰는 걸로 먹고살고 있지만, 글 좀 잘 쓰고 싶다 [33] Fig.112051 22/11/02 12051
3609 따거와 실수 [38] 이러다가는다죽어12951 22/11/02 12951
3608 안전에는 비용이 들고, 우리는 납부해야 합니다 [104] 상록일기13140 22/10/30 13140
3607 술 이야기 - 럼 [30] 얼우고싶다12094 22/10/27 12094
3606 [테크히스토리]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셋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은? [16] Fig.111912 22/10/19 11912
3605 어서오세요 , 마계인천에 . (인천여행 - 인트로) [116] 아스라이12171 22/10/21 12171
3604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59] 김은동13084 22/10/21 13084
3603 술 이야기 - 위스키 어쩌면 1편? [80] 얼우고싶다12318 22/10/18 12318
3602 [과학] 2022 니콘 작은세계 사진전 수상작 소개 Nikon Small World Competition [17] AraTa_PEACE11964 22/10/17 11964
3601 40대 유부남의 3개월 육아휴직 후기 (약 스압) [28] 천연딸기쨈12153 22/10/12 12153
3600 [테크히스토리] 너의 마음을 Unlock / 자물쇠의 역사 [10] Fig.111587 22/10/05 11587
3599 [역사] 고등고시 행정과(1950~1962) 역대 합격자 일람 [20] comet2113076 22/10/10 13076
3598 [역사] 한민족은 어디에서 왔는가 [40] meson12975 22/10/03 129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