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13 11:00:29
Name younha
Subject [질문] 이명박 정부의 과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날씨가 다시 추워지고 있는데 다들 안녕하신지요?

저는 흔히들 말하는 범야권 지지자 (요새는 헛발질 하는 대선주자들이 많아서 어느새 문재인 지지자가 되어버렸네요.) 입니다.  

허나 박근혜 정부의 과야 더이상 말해봐야 입아플 지경이지만, 누군가 제게 이명박 정부에 과에 대해 묻는 다면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잘못한게 없습니다 라는 의미가 아니고 정말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 부모님도 '그래도 이명박은 잘했지' 라고 말씀하시는데에 저도 마땅히 반박을 할 게 없어서, 혹시 이명박 정부의 공과 과에 대해서 알 수 있을까요?

민생 관련해서 국민의 정부, 참여 정부에 비해 확실히 안좋다 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한 정부의 공과를 단편적으로 보는게 쉽진 않겠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알고계신 정보들을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운영진께서 민감한 주제라고 판단하신다면 언제든지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추위 조심하시고, 늘 건강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산양사육사
17/01/13 11:02
수정 아이콘
언론문제가 가장 크겠죠. 개인적으로는 4대강 보다 안좋게 봅니다.
이호철
17/01/13 11:08
수정 아이콘
사실이긴 하지만 어르신들 설득하기엔 안좋은 카드라고 봅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17/01/13 11:15
수정 아이콘
4대강, 선거개입으로 끝. 특히 정권바뀌면 그때 선거개입에 부역했던 사람들 더 엄하게 처리해 주면 좋겠는데 말이죠. 정말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
나가사끼 짬뽕
17/01/13 11:17
수정 아이콘
길게 쓰다가 말았는데;;; 자꾸 글이 잘리네요

민간인 사찰/선거개입 이것만으로 그냥 탄핵 당해서 자리에서 끌어내려졌어야 하는 인간이죠
Jace T MndSclptr
17/01/13 11:22
수정 아이콘
테마가 민생이나 경제라면 그렇게 명쾌하게 설득하실 수 있는 자료는 없습니다. 그냥 쓰잘데기 없는데 돈을 많이 썼으니 어딘가에서 문제가 생기는것에 책임이 있을것이다 정도? 부모님 의견을 존중해주세요.
빠니쏭
17/01/13 11:32
수정 아이콘
자원외교, 4대강, 언론 장악, 사찰
타마노코시
17/01/13 11:35
수정 아이콘
민간인 사찰이나 언론 문제는 어른들에게 있어 대통령은 그럴 자격 있다 혹은 다른 때에도 다 그랬다로 모두 얼버무릴(?) 수 있습니다.
차라리 손주가 있는 어른이라면 육아 대책, 손주가 없는 경우에는 4대강과 증세를 이야기하는 것이 그나마 잘 먹히는 거라 봅니다.
그리고 예산 낭비를 이야기하면서 그 돈이 다 어디서 나왔는지를 곁들여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예전에 설득할 때, 맨날 풀떼기만 먹이던 아버지를 싫어했는데 새아버지는 치킨도 사주고 고기도 사주고 좋았다가 알고보니 빚내서 잘해주고 5년 뒤에 빚만 남기고 튀었다고 이야기했네요.)
17/01/13 11:47
수정 아이콘
4대강, 자원외교같은 쓸데없는 돈낭비하고, 실제로 필요한 보육, 교육, 복지 예산 줄였잖아요.
국가에 빚이 엄청 늘었는데 나아진게 없으면 그건 중간도 못간거죠..
신중함
17/01/13 12:03
수정 아이콘
공은 도대체 뭐냐고 여쭤보세요.
마르스
17/01/13 12:22
수정 아이콘
언론장악중에 종편 만든건 의도는 굉장히 나빴는데 결과적으로 잘한게 되어버려서...좀 아니러니하죠.
소 뒷걸음질 치다 닭잡은격-_-;;
펠릭스
17/01/13 12:40
수정 아이콘
거제 지역 조선소를 깔끔하게 말아드셨습니다. 망한건 박근혜때라지만 거기 사장이 이명박 낙하산이었습니다.

4대강에 날린 돈 만큼 자원외교 한다고 다 말아드셨습니다.



잘한건 있네요. 부동산 막은거. 참여정부때 폭등하던 부동산을 아주 잘 잡았습니다. 크크크크크.
김수영
17/01/13 20:55
수정 아이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189758

지금에 와선 그 이명박의 부동산 정책이란 것도 결국 이명박이 능력을 발휘했다기보다는 참여정부가 만들어낸 과실을 받아먹었다라는 평이 지배적입니다. 참여정부 당시에는 이런저런 부작용이 많았지만 나중 들어선 결과적으로 정책이 효과를 봐서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았고 그것을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 손가락 하나 안 까딱하고 빨아먹었다는 거죠.
펠릭스
17/01/13 21:45
수정 아이콘
아니 그냥 경기가 망했기 때문에 부동산 폭등이 사라졌다고 비꼰겁니다.
김수영
17/01/13 21:48
수정 아이콘
아...네;
달과별
17/01/13 14:34
수정 아이콘
국가인권위원회를 식물로 만들어 놓은 거죠. 헌병철 생각하면 이가 갈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419 [질문] 특정 프로그램에서 복붙이 안 됩니다. [15] 솔지은3317 17/01/13 3317
96418 [질문] 자바 스크립트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2] 몽키.D.루피2839 17/01/13 2839
96417 [질문] 데이터분석 대학원 진학하려고 합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2] 라니안3275 17/01/13 3275
96416 [질문] 소개팅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고인규님사랑해요5230 17/01/13 5230
96415 [질문] 큰일났습니다 초보운전 눈길 고속도로 주행 질문입니다. [12] 복정동치킨도둑4515 17/01/13 4515
96414 [질문] [사내 휴게실] 안녕하세요? 사내 휴게실 이름 공모 이벤트를 한다고 하는데... [59] IU15943 17/01/13 15943
96413 [질문] 누군가가 5천만원 줄테니 개명하라고 한다면? [50] 데비루쥐5044 17/01/13 5044
96412 [질문] 천안 -> 청주공항 -> 제주 문의입니다. [1] BLitz.2804 17/01/13 2804
96411 [질문] 금요일 저녁6시경에 평택에서 서울까지 자차로 얼마나 걸릴까요? [9] 목캔디3228 17/01/13 3228
96410 [질문] 위대한개츠비 누구 번역이 좋을까요? [2] 크리스티아누2351 17/01/13 2351
96409 [질문] 운전면허 실기주행 합격후 면허안받으러 가면 어케 되나요? [10] 도깽이5882 17/01/13 5882
96408 [질문] (맨탈위기)(택배)배송지연에 따른 피해가 큽니다.. 보상받을 방법 없을까요? [12] kongkaka3915 17/01/13 3915
96407 [질문] [해외축구] 현역선수중 인자기 같은 유형의 선수는 누가 있나요? [9] 톰가죽침대3486 17/01/13 3486
96406 [질문] 터널 증후군 수술 내지는 재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6] 통풍라이프2725 17/01/13 2725
96405 [질문] 육군훈련소로 맥심 보내기 [19] 노엘갤러거7455 17/01/13 7455
96404 [질문] 양주맛 구별 가능하십니까? 로얄샬루트 병에 시바수 리갈이라면. [11] 빠니쏭5548 17/01/13 5548
96403 [질문] 차잘알 피지알분들께 질문드립니다. [5] 샤보덴2625 17/01/13 2625
96402 [질문] 주유/하이패스 신용카드 추천 부탁 드려요! [7] 도시의미학3643 17/01/13 3643
96401 [질문] 이명박 정부의 과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5] younha3093 17/01/13 3093
96400 [질문] [LOL] 왜 카타리나는 맞기만 하나요? [4] 니나노나3553 17/01/13 3553
96399 [질문] 유머게시판의 19금 기준... [5] 예쁜여친있는남자3792 17/01/13 3792
96398 [질문] 로또 당첨되면 지금 직장 계속 다니실건가요? [89] 레너블8261 17/01/13 8261
96397 [질문] [비자관련] 해외 취업비자 질문입니다. [1] 삭제됨3330 17/01/13 33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