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https://ko.wikipedia.org/wiki/%EB%B9%85%ED%86%A0%EB%A6%AC%EC%95%84_(%EC%98%81%EA%B5%AD)
위 문서에 보면 아래와 같은 평가가 있는데요,
정치
강하고 소박하며, 정직한 성격으로 내각의 보고서를 한 자,한 구절까지 면밀히 검토하는 성실한 왕이었다. 선거법 개정, 아프가니스탄 전쟁, 중국과의 전쟁, 아일랜드 문제, 초등 교육법, 크림 전쟁, 남아프리카 전쟁 등 국내외의 중대한 문제들을 교묘하고 과단성 있게 해결하여 제국의 번영을 실현시켜 국민의 존경을 받았다. 19세기 대영 제국이 번영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왕으로, 그가 정치를 하는 동안 영국은 사상 최고의 번영을 누렸다.
가정
[빅토리아는 입헌 군주로서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랐기 때문에 현실 정치에 미친 영향은 미미하였으나], 당시 영국 사회에 널리 퍼진 왕의 화목한 가정에 대한 이미지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엄격한 도덕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실례로 영국의 성공회 작가인 C.S.루이스가 쓴 《순전한 기독교》에서는 보수적인 성 문화를 빅토리아 시대의 성 문화에 빗대고 있다. 20세기 후반 내내 미국 문화가 무분별하게 범람했던 것을 정화하는 차원에서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문화가 새로운 대안으로 거론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두 항목에 서술이 많이 달라서 조금 의아스럽습니다. 무엇 하나가 잘못 서술되었는지, 아니면 둘다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른 배경지식이 연결고리로 필요한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