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3 11:45:43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개헌을 왜 하나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23 11:46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아무런 비전도 공유된바없이 일단 개헌하자??
16/12/23 11:56
수정 아이콘
정권창출이 힘드니 개헌으로 돌파하자는 심산이죠. 한마디로 쩌리들 헤쳐모여 입니다.
문재인과 더불어민주당에는 개헌=개혁 이라는 프레임을 가지고 개혁을 하지 않으려는 프레임을 씌우는 효과도 있구요.
고통은없나
16/12/23 11:57
수정 아이콘
뽑히는게 문제가 아니라 뽑힌후에 내려오게 하는것.그리고 뽑힌 사람에게 어느정도나 전권이 있는지가 중요합니다.현재난 가장 부적절한 사람에게 가장 많은 권한을 주는 구조죠.게다가 내려오게 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수미농
16/12/23 12:08
수정 아이콘
혹시 예를 들어주실 수 있나요?
피지알중재위원장
16/12/23 12:33
수정 아이콘
일단 지금 대통령제가 굉장히 기형적입니다.
군부 쿠테타의 위협에 대비해 대통령에게 막강한 권력을 몰아줘놓고 또 장기 집권에 대한 반감을 우려해 5년이란 애매한 임기를 줘버렸거든요.
그러니 5년마다 왕을 추대하기 위한 전쟁이 벌어지는 거죠.

지금껏 모든 대통령이 친인척 비리가 있었듯이 견제가 힘든 권력인데
아이러니하게도 막상 리더십이 발휘되는건 5년중 3년 정도에 불과하다는 거죠.
앞 1년은 대선 후유증 정리하고 뒤 1년은 레임덕에 차기 왕 선출에 포커스가 맞춰지니까요.
게다가 단임제다보니 연속성없이 정책도 5년마다 180도 뒤집혀 버리는 일이 다반사고요.

개헌은 아주 예전부터 논의되던 것이고 '개헌하자'고 국회에서 합의한 것만 벌써 몇년이 지났습니다.
우윤근 전 민주당 의원이 쓴 '개헌을 말한다' 한번 읽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개헌에 대해선 여러가지 안이 있지만 핵심 줄기는 같습니다.
대통령의 권력을 나누자.
51:49에서 49의 의견은 허공에 사라져버리는 지금의 올인식 대통령제를 바꾸자는 거죠.
수미농
16/12/23 13:34
수정 아이콘
심도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키리하
16/12/23 12:36
수정 아이콘
개헌을 하는 이유는 87년에 마지막 개헌 이후 헌법이 그대로 유지되어왔기 때문이죠.
30년 정도면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생길만하니까요.

개헌 주장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매우 다양합니다.
대통령 4년 중임제로 바꾸자
내각제로 바꾸자
소선거구제를 비례대표를 강화하는 방향(독일식 비례대표제, 혼합형 비례대표제 등)으로 바꾸자
결선투표제 도입하자 등등

제왕적 대통령의 문제점을 제도 개선을 통해 해소하려는 방향도 있고..
국민들의 사표 방지를 통해 국민들의 투표가 좀 더 많이 반영되게 하려는 방향도 있고 그렇습니다.
캐리커쳐
16/12/23 12:51
수정 아이콘
일단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현재 대통령제의 문제점은
1. 뽑히고 나면 눈치를 안 본다 (정치인생 끝이니까-)
2. 뭔가를 해보기엔 좀 짧다 (국가 백년 대계를 만들어가는데 5년은 좀 짧은 감이...)
가 아닐까 합니다.

개헌논의는 여기서부터 시작된거고, 그래서 미국식의 4년 중임제에 대한 개헌여론이 있었던거죠.

내각제로의 개헌은 적어도 MB 정권까지는 단 한번도 대한민국 주류 개헌론이었던 적은 없고요,
(과거에는 자민련의 김종필 전 의원이, 최근에는 정의당계열이 독일식 정당명부제를 바탕으로 한 내각제를 주장하는 가장 핵심 세력이었는데
둘 다 주류라고 보기는 어렵죠)
이번 정권 들어서 새누리의 정권 재창출이 어려워보이게 되면서부터
새누리 + 야권 일각 (지방 호족들) 중심으로 개헌론이 급부상하게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근데 문제는 저들이 원하는 개헌은 주류 개헌론(4년 중임제)이 아니라 의원 내각제죠.
개헌이라는 같은 단어를 이용한 속임수입니다.
녹차킷캣
16/12/23 13:06
수정 아이콘
저도 묻어가는 질문 하나만 드리면,
윗 댓글 정보를 빌렸을 때 87년부터 이어져온 잘못된 제도인데,
왜 이제서야 얘기가 나오는 건지 궁금하네요.
고통은없나
16/12/23 13:14
수정 아이콘
이제야 이야기 나오는게 아니라 원래부터 항상 나왔습니다.그런데 여태까지 실행이 안된 이유가

대통령 임기 초중반 권한이 막강할때는 대통령은 당연히 자신의 권한을 깎고 정국 주도권이 흔들릴수 있는 개헌 논의가 달갑지않으니 개헌을 반대합니다.대통령 힘이 빠지는 후기에는 차기 유력 대선 후보들이 자기가 대통령 되어서 막강한 권력 한번 휘둘러 봐야하니까 개헌을 반대합니다.

이러니 개헌을 하고 싶어도 추진할 동력이 없는거죠.
16/12/23 19:47
수정 아이콘
이런 이유로 누군가는 임기 초기에 자기 임기 단축시키는걸 감수하면서 추진해야하는 상황이죠.
설탕가루인형형
16/12/23 13:15
수정 아이콘
대통령 임기 말에 자주 등장했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도 원포인트 개헌을 말했었고, MB도 개헌 추진했었고, 박근혜도 얘기했었죠.
차기 대통령도 임기 후반 되면 한번쯤 말을 할테고, 또 왜 지금이냐 논란이 생길겁니다.

개헌이 꼭 필요한 것이라면 최소한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고 진행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지금은 때가 아니다 라고 넘기는건 지금의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하는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한 핑계일뿐이죠.

어차피 국회 표결도 해야 하고 국민투표도 해야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274 [질문] 크리스마스 이브에 하남 스타필드(18개월아기포함)방문 어떨까요 [4] 라니안2559 16/12/23 2559
95273 [질문] 광명사거리에서 자가용으로 2~30분 거리이내 맛집이 있을까요?? 원스1912 16/12/23 1912
95272 [질문] 혹시 전자레인지 기능 되는 오븐 사용해보신분 있나요? 어느 브랜드가 좋을까요? [10] 판다3105 16/12/23 3105
95271 [질문] 로또 구매 질문입니다. [18] Healing3039 16/12/23 3039
95270 [질문] 청바지나 면바지 모두 어울릴만한 무난한 신발 없을까요? [21] 오렌지망고7292 16/12/23 7292
95269 [질문] 여자친구 생일선물(목걸이) 몰래 산다 vs 데려가서 고르게 한다 [25] 파츠12935 16/12/23 12935
95268 [질문] 취미로 화학chemistry을 배우고 싶습니다. [8] 몽유도원5454 16/12/23 5454
95267 [질문] 이런 폰 있을까요? [4] 테네브리움2354 16/12/23 2354
95266 [질문] [스타1] 맥북으로 런쳐 하는 방법..? [2] InDi4080 16/12/23 4080
95265 [질문] 갱비스트 멀티가 안됩니다 aSlLeR6577 16/12/23 6577
95264 [질문] [LOL] 방금 랭겜에서 겪은 일인데요. [5] Veneta3022 16/12/23 3022
95263 [질문] 컴퓨터 부품 램 질문입니다. (사진추가) [9] 바스티온2668 16/12/23 2668
95262 [질문] [하스스톤] 덱트래커 질문입니다. [6] ...And justice7293 16/12/23 7293
95261 비밀글입니다 삭제됨1242 16/12/23 1242
95260 [질문] 시스템 종료시 특정 프로그램이 종료되질 않습니다. [1] Googlo2522 16/12/23 2522
95258 [질문] 개헌을 왜 하나요? [12] 삭제됨3789 16/12/23 3789
95257 [질문] 5월 초 신혼여행 경로에 대한 질문입니다. [8] 초키초킥2654 16/12/23 2654
95256 [질문] 1억이 있으시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35] 무한궤도4688 16/12/23 4688
95255 [질문] 오늘 저녁 서울시 교통정체 난이도가 어떻게 될까요? [5] 튜브2582 16/12/23 2582
95254 [질문] 제게 맞는 핸드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니꽃2873 16/12/23 2873
95253 [질문] 원룸 사시는 분들 겨울에 가스비 얼마나 나오나요? [13] CoMbI COLa14430 16/12/23 14430
95252 [질문] 쇼트트랙 월드컵 질문 [2] 꽃샘추위1725 16/12/23 1725
95251 [질문] [PS4] 용과같이제로 혹은 다른 타이틀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info21c4254 16/12/23 42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