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3 11:31:31
Name 무한궤도
Subject [질문] 1억이 있으시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그동안 적금이랑 예금 밖에 모르고 살아서,
목표금액인 1억을 달성하고 나니 뭘 해야할지...
질게 검색을 해보니까 딱히 운용방법은 없는 거 같더라구요 크크.
주식이나 펀드 등 다른 재테크 경험은 전무합니다...
질게 글을 열심히 읽은 까닭에 무서워서 엄두도 안나고요.

면허가 없어서 차를 살 수는 없고, 가방이나 지갑을 사도 백만원 내외만 쓰고 나머진 통장 속에 잠들어 있을 거 같은데...
그냥 이대로 2억까지 달리면 될까요??
여러분이라면 서른에 1억이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팅이
16/12/23 11:32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해피팡팡
16/12/23 11:35
수정 아이콘
집사는데 보탤것 같아요.
16/12/23 11:36
수정 아이콘
저도 집사는데 보탤듯합니다.

부럽네요 ㅠ
마스터충달
16/12/23 11:36
수정 아이콘
해외여행을 갈겁니다.
정지연
16/12/23 11:37
수정 아이콘
더 모아서 집살때 쓸겁니다..
덴드로븀
16/12/23 11:37
수정 아이콘
결혼예정 -> 계속 적금/예금
결혼미정 -> 면허+차사기+해외여행 등 날위해 돈쓰기
돈을 빠르게 불리고 싶다 -> 주식(1억만들기 가장 쉬운 방법은 2억으로 주식하기)

결론은 저라면 계속 예/적금이요. 100만원쯤으로 주식한번 해보고 싶긴 하네요 크크크
16/12/23 11:40
수정 아이콘
1억이면 지금 대출 싹 다 청산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돈을 모으로 싶은데..

이미 저축으로 1억을 모으신거면 집사는데 보태기위해 킵할겁니다.
16/12/23 11:41
수정 아이콘
대출 청산하고 남은 대출 갚기위해 더 열심히 살겁니다 ㅜㅠ
싸구려신사
16/12/23 11:42
수정 아이콘
집살겁니다. 집살필요가없는 상황이면... 그냥 예금할래요
미터기
16/12/23 11:42
수정 아이콘
원금+대출껴서 땅사서 다묶었네요 저같은경우는 안정적이기도하구요 제일
장기적으로 봐도 괜찮다고 생각들어서 저는
-안군-
16/12/23 11:44
수정 아이콘
조만간 목돈 쓸 일이 생길 것 같다 -> 일단 킵. 소소하나마 이자가 붙을만한 비과세 금융상품을 찾아본다.
목돈 쓸 일은 없을 것 같다 -> 부동산이나 블루칩 주식, 금... 등의 안정자산에 투자한다.
16/12/23 11:55
수정 아이콘
저라면 투자상품을 찾아볼 것 같긴합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간에요.
무무무무무무
16/12/23 12:05
수정 아이콘
예금했다가 나중에 집살때 보태요.
Arya Stark
16/12/23 12:06
수정 아이콘
좋아 합니다.
16/12/23 12:30
수정 아이콘
좋아 합니다. (2)
16/12/23 12:08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에 투자
김태동 No.1
18/02/07 15:23
수정 아이콘
시대의 현자 인정합니다.
보석상
18/02/07 15:31
수정 아이콘
여기는 어인일로 오셨나요
김태동 No.1
18/02/07 15:38
수정 아이콘
무한궤도 님 글 검색하다가요 크크
코인으로 많이 버셨나요
보석상
18/02/07 15:50
수정 아이콘
100만원 손해봤죠
김태동 No.1
18/02/07 16:07
수정 아이콘
애도를 표합니다...
파랑파랑
16/12/23 12:16
수정 아이콘
appl 주식 삼
16/12/23 12:21
수정 아이콘
저라면 발품팔아 원룸하나사서 월세받을거같습니다
겨울삼각형
16/12/23 12:26
수정 아이콘
내집마련하니 마이너스 5000 이되더군요.
아스트란맥
16/12/23 12:32
수정 아이콘
다른 분들이 괜찮은 의견을 많이 주셨으니
저는 돈을 쓰지 않고 돈으로 할 수 있는 개드립을 몇개 제시해보면...

1. 적당히 인출해서 침대 위에 돈 깔아놓고 잠자기 or 돈방석 만들어보기
2. 방 안에서 돈 뿌려보기
3. 돈다발로 따귀때리기
4. 섭섭지 않게 넣었다 라고 말하며 막장드라마 놀이

등이 있겠네요..쿨럭
최강한화
16/12/23 12:34
수정 아이콘
한진해운에 몰빵..
인생 한방 아닙니까?

그냥 저라면 예적금에 묶어두고 상황볼거 같습니다..
Betelgeuse
16/12/23 12:47
수정 아이콘
요플레 사서 뚜껑만 핥고 버려야죠..흠흠
반전여친
16/12/23 13:01
수정 아이콘
결혼!
Paul Pogba
16/12/23 13:50
수정 아이콘
제 상황에서는 빚청산 후 국산차 한대....아니면 저렴한 일본차?
아마안될거야
16/12/23 14:04
수정 아이콘
그냥 계속 해오신대로 적금 하세요. 그게 젤 낫습니다...
16/12/23 14:14
수정 아이콘
그냥 놔두고 돈을 더 모읍니다.
wish buRn
16/12/23 15:03
수정 아이콘
비슷한 테크트리 탔는데
결국 부동산밖에 없더라구요.(2)
예쁜여친있는남자
16/12/23 15:05
수정 아이콘
금액이 좀 애매해서.. 서울에서 부동산 투자하기엔 너무 작은 금액이고 그렇다고 모르는 지방에투자를할순없으니 그냥 새차 한대 더 뽑을랍니다. 아님 지금 타는걸 업그레이드를..
지구사랑
16/12/23 16:52
수정 아이콘
1억은 아주 큰 돈은 아니지만 그리 작은 돈도 아니지요. 이 정도면 자산 배분이라는 것을 시작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즉, 안전자산, 투자자산, 위험자산을 구분하고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어 배분하는 것이지요. (규칙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시작해서 차차 개선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가장 보수적인 자산 배분으로, 9천 8백은 예금을 하고 2백만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가 꽝이 돼도 1년이면 원금은 돌아오니까 하는 생각으로 조금 모험을 해보는 것이지요.
채권은 개별 채권, 펀드, ETF, 부동산은 신탁, 펀드 혹은 리츠, 주식은 개별 종목 외에도 펀드, ETF 등 그 외에도 정말 많은 종류의 투자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어느 것이 월등하게 우월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위험과 보상이 각기 다 다르니까요.
중요한 것은 아주 큰 금액이 아니어도 무엇인지 경험할 수 있고, 경험이 쌓여서 본인의 나름 지혜가 생기게 되면 그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습니다.
과도한 위험은 절대 지지 않고 최소한의 안전은 항상 확보한 상태에서,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시면 새로운 세계가 보이실 겁니다.
16/12/23 17:37
수정 아이콘
주위에 돈 있다고 알리거나 분위기 풍기지 마세요. 똥파리들 많이 달라 붙습니다.
그것만 조심해도 절반은 성공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273 [질문] 광명사거리에서 자가용으로 2~30분 거리이내 맛집이 있을까요?? 원스1912 16/12/23 1912
95272 [질문] 혹시 전자레인지 기능 되는 오븐 사용해보신분 있나요? 어느 브랜드가 좋을까요? [10] 판다3105 16/12/23 3105
95271 [질문] 로또 구매 질문입니다. [18] Healing3039 16/12/23 3039
95270 [질문] 청바지나 면바지 모두 어울릴만한 무난한 신발 없을까요? [21] 오렌지망고7291 16/12/23 7291
95269 [질문] 여자친구 생일선물(목걸이) 몰래 산다 vs 데려가서 고르게 한다 [25] 파츠12935 16/12/23 12935
95268 [질문] 취미로 화학chemistry을 배우고 싶습니다. [8] 몽유도원5454 16/12/23 5454
95267 [질문] 이런 폰 있을까요? [4] 테네브리움2354 16/12/23 2354
95266 [질문] [스타1] 맥북으로 런쳐 하는 방법..? [2] InDi4080 16/12/23 4080
95265 [질문] 갱비스트 멀티가 안됩니다 aSlLeR6577 16/12/23 6577
95264 [질문] [LOL] 방금 랭겜에서 겪은 일인데요. [5] Veneta3022 16/12/23 3022
95263 [질문] 컴퓨터 부품 램 질문입니다. (사진추가) [9] 바스티온2668 16/12/23 2668
95262 [질문] [하스스톤] 덱트래커 질문입니다. [6] ...And justice7293 16/12/23 7293
95261 비밀글입니다 삭제됨1242 16/12/23 1242
95260 [질문] 시스템 종료시 특정 프로그램이 종료되질 않습니다. [1] Googlo2522 16/12/23 2522
95258 [질문] 개헌을 왜 하나요? [12] 삭제됨3788 16/12/23 3788
95257 [질문] 5월 초 신혼여행 경로에 대한 질문입니다. [8] 초키초킥2653 16/12/23 2653
95256 [질문] 1억이 있으시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35] 무한궤도4688 16/12/23 4688
95255 [질문] 오늘 저녁 서울시 교통정체 난이도가 어떻게 될까요? [5] 튜브2582 16/12/23 2582
95254 [질문] 제게 맞는 핸드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니꽃2873 16/12/23 2873
95253 [질문] 원룸 사시는 분들 겨울에 가스비 얼마나 나오나요? [13] CoMbI COLa14430 16/12/23 14430
95252 [질문] 쇼트트랙 월드컵 질문 [2] 꽃샘추위1725 16/12/23 1725
95251 [질문] [PS4] 용과같이제로 혹은 다른 타이틀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info21c4254 16/12/23 4254
95250 [질문] 인터넷 통신사 추천 가능할까요!? (서울 송파/빌라) [25] ManG4004 16/12/23 40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